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관상태가 자동차용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성능 감소에 미치는 영향

        조은애,Cho, Eun-Ae 한국전기화학회 2010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3 No.4

        자동차용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열화는 시동 또는 정지 시에 'reverse-current condition'이라 불리는 현상에 의해 촉진된다. 연료전지 자동차의 운전 종료 후 장시간동안 주차를 해 두면, 대기 중의 공기가 스택 내로 서서히 유입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소분압이 점차 높아져 궁극적으로는 연료극과 공기극의 유로가 모두 공기로 충진된다. 이때 재시동하면서 연료극으로 수소가 공급되면, 연료극 유로 내에 수소와 공기가 공존하게 되고, 연료극에 공기가 존재하는 부위의 공기극에 1.4 V 이상의 높은 전압이 발생하는데, 이를 reverse-current condition 이라고 하며 공기극의 탄소담지체와 백금 촉매 산화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시동시 스택 내에 존재하는 산소의 농도에 따른 열화 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Durability of automotiv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strongly depends the startup/shutdown procedure. Formation of hydrogen/air boundary in the anode gas channel, so-called reverse current condition, particularly induces fast degradation of the cathode. Under the reverse current condition, high voltage is present at the cathode facing air in the anode gas channel and is a function of residual oxygen concentration in the gas channels, that increases with storage time and reaches 21% (air) eventually. In this study, effects of residual oxygen concentration in a PEMFC on degradation of the PEMFC.

      • KCI등재

        불전소재 ‘녹녀설화’의 유형과 의미

        조은애(Cho, Eun-A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6

        본 연구는 불전에 수록된 ‘녹녀부인’ 설화의 전개양상과 주제에 따른 수용형태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녹녀설화’는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는 선인과 사슴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 왕비가 되는 이야기인 ‘사슴딸 설화’와 이상탄생으로 버려진 아들과 어머니가 전쟁터에서 ‘수유’모티브를 통해 재회하는 이야기인 ‘모자재회설화’가 결합한 형태(결합형)이다. 둘째는 이야기의 전반부인 ‘사슴딸 설화’가 생략되고 후반부의 ‘모자재회설화’가 독립한 형태로 ‘구사론계통’의 불전문헌을 중심으로 전승되었다. 불전자료에 수록된 ‘녹녀설화’의 주제는 부모 · 자식 간의 인연과 윤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유형이 나뉘어져 전승되는 이유에는 ‘어머니’와 ‘자식’이라는 측면에서 각각 어느 쪽에 중심을 두고 이야기가 전개되는가에 의한다. 즉 이 설화가 삽입된 문헌 안에서 ‘결합형녹녀설화’의 경우 ‘어머니’에 중점을 둔 모자간의 인연과 윤회가 주제가 된다. 그리고 ‘구사론계통’의 ‘녹녀설화’는 ‘자식’의 입장에 초점이 맞추어져 어머니와의 인연과 그에 따른 자식의 도리라는 주제로 인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12세기 일본의 설화집인 『금석물어집』에 수록된 ‘녹녀설화’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져 있는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이는 부모와 자식의 인연이라는 주제 하에 부모(어머니)와 자식에 각각 대응하는 이야기를 연속해서 수록한 것으로, 그 배경에는 편자가 독자적인 의도로 재구성하여 수록한 것이 아닌 이미 불전문헌에서 두 가지 유형의 설화가 각각의 주제를 전제로 전승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구사론계통’의 문헌은 자식의 도리를 강조하는 주제를 바탕으로 부모의 추선공양을 위한 법회의장에서 인용되었다. 그 예로 일본가나자와문고(金沢文庫)가 소장하고 있는 쇼묘지(称名寺)의 ‘천자문설초(千字文説草)’를 제시하였다. 즉 설법에 사용되는 ‘설초’자료에 ‘구사론계통’의 ‘녹녀설화’인 ‘반차라왕의 오백 알 이야기(般遮羅王五百卵事)’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는 ‘녹녀설화’의 후반부인 ‘모자재회설화’가 법회에서 강창(講唱)의 소재로 인용된 실상을 구체적으로 전하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the traditional aspects and meaning of the “deer woman folktale” in Buddhist literature. The story of the “deer woman” folktale is as follows. The daughter born to a deer and Immortality becomes a queen. She breaks up with her sons because of her abnormal birth. She later meets her sons, who have grown up in other countries, on the battlefield. At this point, milk flies into their mouth to prove that they are really her sons. The “deer woman” folktale is narrated in two forms in Buddhist literature. First, the complete story is narrated. Second, it foretells that children who are abandoned by their parents will meet them again. The “deer woman” folktale is based on karma and the filial duty of parents toward their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karma particularly stress on the mother in the first narration of the story. This is Maya, who after several reincarnations and relationships gave birth to a Lunar after samsara sakyamuni. Similar stories are repeated again in the treasure trove of characters like “lotus woman” and “deer woman.” This is symbolic of how Maya repeats itself. The second story of the woman born of a deer is an example of oviparity as can be seen from its commentary. This story is narrated during the memorial service of a Buddhis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of the mother. “Shomyouzi · Senzimonsesso:称名寺 · 千字文説草,” which are found in “Kanazawa-Bunko” of Japan prove this fact. This form of two tales became the basis for the legend being listed in the 12th century “konzakumonogatarisyu今昔物語集,” an epigraph nest of stories.

      • KCI등재

        『석가여래십지수행기』 제10지 〈실달태자〉에 나타난 ‘향’ 모티브의 수용과 의미

        조은애(Cho, Eun-Ae)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6

        『석가여래십지수행기』의 제10지 〈실달태자〉는 석가의 출생과 출가 그리고 깨달음 이후의 행적과 열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석가일대기’ 이다. 여기서 석가는 출가하기 직전에 부인인 야수다라에게 위험한 상황이 닥치거든 사용하라며 ‘향’을 건네준다. 그러나 후에 향이 사용되는 전개는 없으며 석가가 출가한 이후의 내용이 매우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다는 점에서 본 텍스트의 후반부는 미완성이거나 혹은 전사의 과정에서 생략되었다고 여겨져 왔다. 또한 저본불경에서는 향의 모티브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석가여래십지수행기』의 편자가 독창적으로 고안했다는 해석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중국의 돈황변문자료인 『태자성도경』과 『실달태자수도인연』에서 향의 모티브를 찾을 수 있었으며 양국의 텍스트가 강창의 소재로 사용되었다는 공통점을 통해 보다 대중에게 친근한 ‘석가일대기’로의 변이라는 특징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실달태자〉의 후반부가 간략화 되는 특징 역시 돈황의 석가일대기의 영향이며, 나아가 『석가여래십지수행기』가 출가이전의 수행과 가족 간의 관계를 중시하는 주제의식 하에 가족과 헤어진 이후의 전개는 간략하게 기술했다고 보았다. 또한 중세 이후 동아시아에서는 불교경전의 내용에서 벗어난 다양한 ‘석가일대기’가 다수 간행 향유되는데 유일하게 한국의 ‘석가일대기’에서만 돈황자료에 등장하는 향의 모티브가 전승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향의 모티브는 석가의 인간적인 면모를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이를 통해 한국의 ‘석가일대기’가 석가의 영웅성이나 위엄보다는 대중이 공감할 수 있는 인간적인 모습과 이를 극복하고 부처가 되는 과정을 중시하고 있다고 보았다. 앞으로의 ‘석가일대기’에 대한 연구는 저본경전과의 내용비교에서 보다 시야를 넓혀 대중을 대상으로 변이된 동아시아의 석가일대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Sakyamunisipjisuhanggi” (釋迦如來十地修行記; Record of Sakyamuni’s Ten Stages of Ascetic Exercises) is the story of the Buddha, including the birth of Sakyamuni, his marriage, and entry into Buddhist priesthood and nirvana. The book tells the story of how Buddha gives incense to his wife, Yaśodharā, before entering Buddhist priesthood. Sakya tells her to use the incense if she is in danger. However, there is no scene with incense in “Sakyamunisipjisuhanggi.” Past studies have explored this issued but have failed to find suitable explanations. The explanation for the motif of incense was found in the data of Dunhuang, proving that the “Sakyamunisipjisuhanggi” and Dunhuang data are related. Both texts have many new motifs apart from Buddhist scriptures. They emphasize human nature rather than the dignity of Buddhism. The story of the Buddha in East Asia not only contained the motif of incense but also passed it on to the story of the Buddha in Korea. The incense symbolizes themost the Buddha’s human nature being concerned about his wife and sons. The story of the Buddha in Korea enhanced people’s religious beliefs by emphasizing the human nature of the Buddha.

      • KCI등재

        구로사와 아키라(黑澤明)의 영화 『꿈』(1990)에 그려진 삶과 죽음

        조은애 ( Cho Eun-ae )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7 日本硏究 Vol.0 No.72

        It`s composed of Akira Kurosawa`s “dream” by an episode of 8. “Dream” was called director`s will. Because they`re director`s autobiography and a work for the old director. In particular, `Akahuzi` was watched again for `Eastern Japan great earthquake in 2011` and a nuclear accident. There is only a thesis about each episode for a movie “dream” up to now. And a subject about the whole movie isn`t learned about. This thesis is consideration about a view of life and death of “dream”. The meaning of each episode was analyzed in the theme of nature and `life` of a symbol of `death` and natural regression by human relation and break mainly. An episode from 1 to 3 drew the state of the man who forgot the nature symbolized by `kitune. peach and snow fairy`. Nature and the existence with which you can sympathize were KUROSAWA only, and experience of KUROSAWA was drawn. An episode from 4 to 7 drew self-murder and a human collapse by radioactivity and war as `death` from a feud with nature. But a director proposes life and death of natural by the 8th episode. I thought the work trying relief and prayer by the thing even the people who have achieved unfortunate death take in the nature again.

      • KCI등재

        일본 민간전승과 ‘녹녀부인’ 설화

        조은애(Cho Eun Ae) 일본어문학회 2017 일본어문학 Vol.78 No.-

        本研究は、仏典を出処とする「鹿女夫人」説話が、民間伝承においていかに展開され変容したか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鹿女夫人」の説話の構成は、仙人と鹿の間で生まれた女が王后となる「鹿娘説話」と、異常誕生で捨てられた息子たちと母親が戦場で再会する「母子再会説話」に分けることができる。特に「鹿娘説話」には、妃となる鹿娘の前世譚が含まれ(鹿因縁譚)、布施の功徳と母をののしった果報と輪廻の主題が主な軸となる。仏典や仏教説話集での「鹿女夫人」説話は、「鹿娘説話」と「母子再会説話」が続いている「結合型」、そして「母子再会説話」のみが独立した二つの類型をもって伝わってきた。しかし、民間伝承においては 「鹿娘説話」が主となり、光明皇后、大宮姫、浄瑠璃御前、和泉式部の伝承として伝わっている。そして、光明皇后と大宮姫では、鹿から生まれた娘が王后になるという共通点があり、浄瑠璃御前と和泉式部の場合、貴人との出会いはあるものの王后にはなれず、むしろ「放浪する女人」としての展開に共通点をみることができ、この「王后」と「放浪」の展開は、「鹿因縁譚」の主題である「功徳」と「輪廻」の痕跡が深く関わっていることを確認した。 In the present article, we explore the way in which the Buddhist script based tale “Noknyobuin” has been developed and transformed in folklore. In the literature concerning the Buddhist scripts, the Buddhist‐tales, and so on, two differing assumptions are identified. According to one common view, the story in “鹿女夫人” proceeds in the order of “鹿娘説話” and “母子再会説話”. According to another view, “母子再会説話” stands alone, Our research, however, shows that in the folktale, “鹿娘説話” handed down as the story of women who are reborn as the daughters of deer. This story was transmitted through Koumyou Kougou, Oomiya Hime, Joururi Gozen, and Izumi Shikibu. In the cases of Koumyou Kougou and Oomiya Hime, the daughter of a deer “becomes the wife of an emperor.” In the cases of Joururi Gozen and Izumi Shikibu, although the ladies meet noble persons, they cannot be the wife of an emperor but they are rather described as “wandering women.” We argue that this very difference between “wife of an emperor”and “wandering woman” are closely related to the traces of “virtuous deed” and “transmigration,” which are the deleted theme of “鹿因縁譚.”

      • KCI등재

        이광수의 언어공동체 인식과 『조선문단』의 에크리튀르

        조은애(Cho Eun-ae) 韓國批評文學會 2009 批評文學 Vol.- No.34

        Gwang-Su Lee assumed language community as a place where transl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medium of modern literature acquired by the experience of studying in Japan. In the process, the image of Chosun language as a literary language was established. In this study, I will address the logic by which literary circle's intention to exclusively possess 'Chosun Language' in the privileged literary discourse of 1920s was concluded. The absence of the concept that “literary language is Chosun language” was caused by his yearning for japanese literature during his studying years in japan. Japanese language was the pre-condition for japanese literature at the time and, more importantly, japanese was a language that can translate modern literature. For the intelligentsia including Gwang-su Lee who studied modernity and modern literature by studying in japan in the early 1920s,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ncept that Literary language is Chosun language depended upon the possibility of equal replacement with japanese language. The reality of national representation that Gwang-su Lee asked to new writers in 『Chosunmundan』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problem of 'language community' and the 'possibility of translation', which was recognized by Gwang-su Lee. The first novel of 『Chosunmundan』, Gwang-su Lee's short story, Writing in Blood[Hyeol-seo] is very symbolic in this regard. The status of Chosun language as literary language in Writing in Blood is deducted from the problem that the main character, a foreign student should establish new social relationship through language journey and from the problem of how to represent this new relationship. The possibility that Chosun language is literary language suggested in Writing in Blood was also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anguages, which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ire and colony, to the relationship of class, gender or something else. Chosun language that he thought as an ideal language was a language that can capture the natural conversation with japanese person in japanese. The reality that he asked to 『Chosunmundan』 started from his own ecriture but the status of the concept that literary language is Chosun language, as requisite for the reality suggested in Writing in Blood, implies contradicted intention from the ideal of 'national representation'.

      • KCI등재

        정반왕을 통해서 본 불전문학의 주제와 의미 - 정반왕과 석가의 부자지간의 정을 중심으로 -

        조은애(Cho, Eun-A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0

        본 연구는 석가와 그의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는 불전문학에서 아버지인 정반왕과 석가의 부자지간의 정에 대한 주제를 생각해 보았다. 불전문학은 석가와 가족과의 갈등 그리고 인간적인 고뇌를 그려냄으로써 독자들에게 공감을 통해 불도로 이끄는 과정을 주제로 하는 특징이 있는데 출가로 인한 석가와 정반왕의 대립과 갈등 그리고 아버지로서의 정반왕의 모습은 이러한 불전문학의 주제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불전문학인 『월인천강지곡』은 아내와 아들을 잃은 세종의 마음이 정반왕의 상황에 겹쳐지면서 가족의 정이라는 주제가 두드러진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정반왕의 이야기는 크게 석가의 출가와 귀향 그리고 정반왕의 임종에서 석가와 대립하거나 아버지로서의 번뇌와 깨달음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월인천강지곡』의 대구형식은 석가와 대립하는 정반왕을 매우 효과적으로 보여주면서도 출전에는 없는 내용을 추가하거나 표현을 바꾸어 유교적인 이념에서의 비판을 완화하고자 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족을 구제하겠다는 석가의 의지와 자식을 염려하는 아버지로서의 마음 때문에 죽기 전까지 깨달음에 이르기 어려웠던 정반왕의 모습과 임종에 이르러 열반을 하게 되는 내용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어머니 마야부인의 공덕과 이에 대한 석가의 효양에 집중되어 있던 불전문학 연구에 있어서 이에 대응하는 아버지의 정에 대한 주제의 중요성 지적하였다. Buddhist literature is a story about a Buddha and his family. Buddhist literature has been effective in encouraging people to believe in Buddhism through Buddha and his family affection and conflict. Everyone sympathized with the characters in Buddhist literature as parents, children and wives. So people were more sympathetic to the human form, not the Buddha. This study is the subject of affection between father “Śuddhodana” and son Buddha. In particular, the “Weolincheongangjigok” of the Joseon Dynasty is a representative work of Buddhist literature. The author, King Sejong, wrote “Weolincheongangjigok” for his dead wife and son and shared the situation of Śuddhodana. The couplet form of “Weolincheon gangjigok” was effective in represent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Śuddhodana and Sakyamuni. And added was not in the original text and changed the wording. so Trying to ease criticism in Confucian ideology. The story of Śuddhodana is largely about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of Sakyamuni and Sakyamunis Homecoming, Śuddhodanas deathbed. Śuddhodana got into conflict with Sakyamuni because of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and not reach Nirvana because worries about his son. But this is close to the subject of Buddhist literature and a characteristic of Buddhist literature. Until now, study of Buddhist literaturethe focus was had been on Sakyamunis mother Māyā. But this study emphasized also that Śuddhodana and fathers affection is important subject of Buddhist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