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은미 ( Eun Mi Cho ),한안나 ( Ahn Na Ha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효과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학습몰입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2009학년도 2학기 A사이버대학에서 개설된 `인적자원개발론`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효과 변인인 성취도와 참여도, 만족도를 측정하여,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이며(ß= .791), 사회적 실재감의 하위요인에서는 상호지원 및 집중(ß= .477)과 개방적 커뮤니케이션(ß= .259)요인 만이 학습몰입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임이 밝혀졌다.둘째,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자의 성취도(ß= .435), 참여도(ß= .337), 만족도(ß= .764)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셋째,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학습몰입을 통해서 학습효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나 학습몰입의 효과를 증진 시키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기 보다는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다.본 연구는 사회적 실재감과 몰입의 관계,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와의 관계, 몰입과 학습효과와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social presence on learning flow, learning effects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flow o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Data from 150 students who are tak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subject in the 2nd semester of 2009 at A cyber universit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se variables were measured by social presence, learning flow,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of learners. The date was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as a variable predicting learning flow proved to be significant(ß= .791), and out of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only mutual support and empathy(ß= .477)and open communication(ß= .259) was a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learning flow. Second, the results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as a variable predicting learner`s achievement(ß= .435), participation(ß= .337) and satisfaction(ß= .764) proved to be significant. Third, it was proved that learning flow acted as a mediating variable. That is learning effects appeared to affect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flow. Therefore, learning effects could be evident when learner`s learning flow is high. This study focuses on whether the learner`s social presence has an effect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effects rather than suggesting methods of stimulating the learner`s socia lpresence, inducing learning flow.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flow,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and learning flow and learning effects are investigated on the whole.

      •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은미(Cho, Eun-mee)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5 경영관리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태도가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 사회적기업 제품 신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사회적기업 태도가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고, 둘째, 사회적기업 태도가 사회적기업 제품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셋째, 사회적기업 제품 신뢰가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넷째,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다섯째, 사회적기업 제품 신뢰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소비자들은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로부터의 만족과 충성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사회적기업은 시장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제품 및 판매전략을 방안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사회적기업 태도는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와 사회적기업 제품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기업 제품 신뢰는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social enterprises’ attitude on attitude toward their products, reliability in their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as follows: first, to determine how social enterprises’ attitude affected attitude toward their products; second, to determine how social enterprises’ attitude affected reliability in their products; third, to determine how reliability in social enterprises’ products affected attitude toward the products; fourth, to determine how attitude toward social enterprises’ products affected purchase intention; and fifth, to determine how reliability in social enterprises’ products affected purchase intention.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allow consumers to feel satisfied with the purchase of social enterprises’ products and become loyal to the products and to induce social enterprises to develop products and sales strategies so that they could become competitive in the market. To put the results together, first, social enterprises’ attitude significantly affected attitude toward, and reliability in, their products. Second, attitude toward social enterprises’ products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Third, reliability in social enterprises’ product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attitude toward the products but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학습장애 현황 비교를 통해 본 한국형 중재반응모델 제언

        조은미 ( Eun Mi Cho ),변찬석 ( Chan Suk Byun ),최나리 ( Na Ri Choi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3

        본 연구의 동기는 한국과 미국의 학습장애 학생 출현율의 현저한 차이로 인하였다. 먼저, 두 나라간 학습장애 진단과 평가 현황에 대해 고찰하고 두 나라의 학습장애 정의 및 특수교육법, 그리고 판별과정과 교육의 현재 상황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지난 10년간 미국의 일반교육과 특수교육계에서 심각하게 논의되어 왔고 연구 및 적용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는 중재반응모델(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과 이를 위한 교육시스템의 인프라개혁 (infrastructure reform of the education system)을 위한 노력 및 그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것들이 한국 내 학습장애 진단 평가 및 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중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 연구 및 다양한 통계자료 등을 통해 두 나라의 현황을 상호 비교ㆍ분석하고 한국 학습장애 학생 판정을 위한 중재반응모델의 성공적 실행요건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 부분 제언은 보다 정확한 한국 학습장애학생의 진단 및 평가와 적절한 교육방법을 위한 ‘한국형 중재반응모델’의 개발과 적용 그리고 체계모색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significant gap in the prevalence of Learning Disabilities(LD)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aused us to raise the inquiry of the cause. The inquiry led us to compare education laws, do literature reviews on LD evaluations and education, and check statistics related to the LD population between two countries. This paper critically compared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s for students with LD in two countries. The comparison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ing and implementing the RTI(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as one of LD evaluation methods. It also explained how the state of Florida in the United States did its infrastructure reform of the education system to implement the RTI model successfully. Then later part of this paper, we made suggestions from the findings that we gathered from the comparisons to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field with a hope that they would be helpful in developing Korean RTI mode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사회적 책임 유형에 따른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의도

        조은미(Eun Mi Cho) 대한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저널 Vol.26 No.2

        본문은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 변인에 따른 소비자 집단별 차이를 파악하고, 사회적 책임의 집단 유형에 따라 사회적기업 태도,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 사회적기업 제품구매의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또한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여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의도를 높이고, 사회적기업제품 구매를 촉진하기 위한 시장세분화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책임 변인인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환경적 책임의 유형은 군집 1(환경적/경제적/자선적)이 31.5%이며, 높은 점수를 가지고 있다. 남성이 다소 많이 분포하나, 여성들 중 가장 많이 포함된 집단이며, 대학교재학/졸업 이상의 고학력, 40대, 회사원/공무원, 주부, 전문직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군집 2(경제적/법적/윤리적)는 18.8%이며 남성과 여성이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며, 대학교재학/졸업이 많이 분포하지만, 다른 집단에 비해 전문대재학/졸업과 대학원 재학 이상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20대, 회사원/공무원과 학생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군집 3(경제적/법적/환경적)은 18.8%이며, 남성, 대학교재학/졸업, 30대, 회사원/공무원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군집 4(환경적/법적/경제적)는 30.8%이며, 남성, 대학교재학/졸업, 30대, 회사원/공무원이 주류를 이루고 학생들 중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집단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책임 유형에 따른 사회적기업 태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군집 1(환경적/경제적/자선적)이 가장 높았고, 군집 2(경제적/법적/윤리적), 군집 4(환경적/법적/경제적, 군집 3(경제적/법적/환경적)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유형에 따른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군집 1(환경적/경제적/자선적), 군집 4(환경적/법적/경제적), 군집 2( 경제적/법적/윤리적), 군집 3(경제적/법적/환경적)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 유형에 따른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의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군집 1(환경적/경제적/자선적), 군집4(환경적/법적/경제적), 군집 2( 경제적/법적/윤리적), 군집 3(경제적/법적/환경적)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사회적 책임 변인이 사회적기업 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인구학적 변인, 사회적 책임 변인이 사회적기업 제품 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자선적 책임과 경제적 책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인구학적 변인, 사회적 책임 변인이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자선적 책임만 의미 있게 나타났다. 제 변인들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사회적기업 제품태도, 사회적기업 태도, 성별, 학력이 의미 있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differences among consumer groups by the variables of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and determine variation in attitudes toward social enterprises, attitudes toward goods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goods of social enterprises by group type of social responsibility. It aimed to determin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purchase goods of social enterprise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make market segmentation to enhance the intention to purchase goods of social enterprises and promote purchase of goods of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Group 1 (environment/economic/philanthropic) that formed 31.5% scored high for economic, legal, ethical, philanthropic,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mong the variables of social responsibility. This group included slightly more males than females but included the largest number of females;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and those at higher education levels, those in their forties, company employees and public officials, housekeepers, and professional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is group. Group 2 (economic/legal/ethical) formed 18.8%, had similar distribution of males and females, and included more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and those at higher education level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is group. This group included lots of persons in their twenties, company employees and public officials, and students. Group 3 (economic/legal/environmental) formed 18.8% and included lots of males,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those in their thirties, and company employees and public officials. Group 4 (environmental/legal/economic) formed 30.8%, mainly included males,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those in their thirties, and company employees and public officials, and included the largest number of student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variation in attitudes toward social enterprises by social responsibility type: Group 1 (environment/economic/philanthropic) was at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Group 2 (economic/legal/ethical), Group 4 (environmental/legal/economic), and Group 3 (economic/legal/environmental). There was significant variation in attitudes toward goods of social enterprises by social responsibility type: Group 1 (environment/economic/philanthropic) was at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Group 4 (environmental/legal/economic), Group 2 (economic/legal/ethical), and Group 3 (economic/legal/environmental). There was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intention to purchase goods of social enterprises by social responsibility type: Group 1 (environment/economic/philanthropic) was at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Group 4 (environmental/legal/economic), Group 2 (economic/legal/ethical), and Group 3 (economic/legal/environmental). Third, ethical responsibility among the variable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had the greatest relativ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social enterprises, followed b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among the variable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had the greatest relativ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goods of social enterprises, followed by economic responsibility; and onl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among the variable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had significant rela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goods of social enterprises. Such variables as attitudes toward goods of social enterprises, attitudes toward social enterprises, gender, and education had significant rela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goods of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