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권적 갱생보호를 통한 보호관찰 주거지원 모델 연구

        조윤오(Cho Youn Oh) 한국공안행정학회 200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8 No.3

        보호관찰 감독을 받으면서 노숙자나 부랑자로 살아가는 일부 범죄자들은 알코올 의존, 약물남용, 정신질환, 경제파탄 등 많은 문제를 복합적으로 갖고 있어 스스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어려운 여건에 놓여 있다. 본 연구는 주거부정 보호관찰대상자에 대한 갱생보호의 개념과 범위를 살펴보고 미국의 범죄자 주거지원 교정모델을 적용, 우리나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출소자 생활관 운영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주거부정 보호관찰대상자의 재범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사회적응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갱생보호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주거부정 범죄자 보호관찰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주거 부정자 본인 또는 관계기관의 신청이나 동의가 있을 때에만 주거지원 등의 원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적 갱생보호(voluntary aftercare) 형식으로 보호관찰이 실시되고 있어 참여를 원치 않는 비자발적 보호관찰대상자에게는 적극적인 갱생보호활동을 할 수 없고 실무 차원에서 그로 인해 효과적인 행동수정 및 사회복귀를 기대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tessa와 Allen(1997)이 발표한 거주센터 대안모델 세 가지를 기본으로 보호관찰 특별준수사항과 점진적 제재수단을 활용한 새로운 한국형 범죄자 주거지원 모델을 제시해 보도록 한다. 본 연구는 임의적 갱생보호가 아닌 생활관 거주의무 부과를 활용한 유권적 갱생보호도입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지역사회 참여가 강조되는 "깨진 창문 보호관찰(Broken Window Probation)"이론과 "범죄자 리엔트리(Offender Reentry)" 접근법을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삼아 주거부정 보호관찰대상자에 대한 구체적인 주거지원 모델 활용방안을 검토하고 그 실천 방안과 관련된 주요 쟁점에 대해 논의한다. There are complicated issues that contribute to alcohol addiction, drug abuse, mental health problem, and finance difficulty among homeless offenders leaving prison. Due to the lack of social and economic support, homeless offenders are more likely to face numerous barriers in solving their problems and in handling their dysfunctional conditions. In this context, homelessness leads to the increased risk of committing crimes in community.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new housing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community correctional system by introducing Probation Housing Model. Probation officers have preferred to provide homeless offenders (probationers or parolee) with voluntary aftercare in a passive way because probation officers could assign the homeless offenders to shelter or residence only when the offender requested the aid of housing in Korea. Interestingly, most homeless offenders released from prisons have refused to ask probation officers of obtaining official help in seeking temporal housings. As the result, the unstable conditions of the homeless offenders were exacerbated and it caused critical, perhaps insuperable, obstacles to reentry and successful adjustment to community. In this sense, this research challenges the voluntary aftercare structures of offender residency policy in Korea. This study focuses on innovative offender housing plans for the homeless probationers by emphasizing mandatory aftercare system. The new residence plans for the homeless offenders are based on the models that Latessa and Allen had recommended in 1997. Concentrating on the obligatory accommodation systems that are run by housing staffs and probation officers under the structured regime, this study address "Broken Window Probation" and "Offender Reentry" approaches as crucial community correction philosophies. A wide range of strategies and consideration for the offender housing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성범죄자에 대한 교정단계 폴리그래프 활용의 한계 및 고려사항

        조윤오(Cho, Youn-Oh),이미정(Lee, Mi-Jeo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1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5 No.4

        폴리그래프(polygraph)는 거짓진술에 따른 신체적 스트레스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범인의 기만행위를 탐지하고자 하는 대표적인 법과학 범죄수사 기법이라고 하겠다. 보통 수사단계에서의 폴리그래프 검사는 피의자의 거짓말 또는 진실 여부 를 가려내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반면, 교정단계에서의 검사는 범죄자의 사회복귀 치료 및 지역사회 교정 업무의 효율성 강화를 핵심 목표로 한다. 영국의경우, 2007년부터 성범죄자를 상대로 한 폴리그래프 사용이 의무화되었고, 미국 역시 지난 30여 년 동안 꾸준히 교정단계에서 폴리그래프 사용이 확대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교정단계에서의 폴리그래프 사용이 일반화되지 않아 실증적 자료 분석이나 실태 제시 등의 분석적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외국의 사례 및 검사 자체의 한계점 등을 세심히 검토하여 향후 국내로의 제도 도입 시 나타날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들을 이론적, 정책적 차원에서 세심히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폴리그래프 검사의 근본적 문제점 및 한계를 검토하고, 이와 관련하여 교정단계 성범죄자대상 폴리그래프 활용 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밝힌 네 가지 고려사항 을 요약하면, 첫째, 폴리그래프의 효율성 및 타당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교정단계에서 폴리그래프 결과와 재범 변인 간의 정기적인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성범죄자인 피검사자에 대한 기만행동 기본 구성 비율 및 폴리그래프 예측 정확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교정단계에서 나타나는 특정 사건 부재(event free) 상황에 대한 폴리그래프의 구조적 문제점을 통제질문 기법 (Control Question Technique: CQT)에서 어떻게 최소화시킬 것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넷째, 왜곡된 성인지 의식 및 범죄 합리화 태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피검사자의 회피 방어기술 억제를 통한 부정오류(false negative) 문제의 해결이 시급하다. 이와 같은 잠재적 문제점들을 고려하면서 사전에 폴리그래프가 야기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준비하며 교정단계에서의 폴리그래프 도입을 더욱 고민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potential limitations of applying polygraph examination for post-conviction sex offenders. The use of polygraph for sex offenders has become widely expanded in the field of community corrections as well as law enforcement interrogation sections. Moreover, mandatory polygraph test has been initiated for sex offenders in UK to enhance the important functions of offender supervision in community. However, there are not sufficient cautions against the application and use of polygraph examination toward sex offenders.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articulating crucial problems of fundamental logic of polygraph test and consideration for utilizing polygraph test. First, due to the fact that Control Questions Test (CQT) has inherent flaws such as non-scientific examination and lack of test validity, it is highly necessary to be cautious to use CQT for convicted sex offenders. Second, the outcome of polygraph for convicted sex offenders is likely to be misguided and biased because the CQT questions in the correctional field are coupled with hypothetical behavior and non-specific event situation. Third, the false negative fallacy of polygraph might result in detrimental outcomes because the sex offenders who were convicted are vulnerable to countermeasures. Therefore, the consequence of using polygraph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negative results which include increased level of cognitive distortion, habituation, biased rationalization, and problematic behavior. Further policy implication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범죄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윤오(Cho, Younoh) 한국피해자학회 2012 被害者學硏究 Vol.20 No.1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later engagement in delinquency. Few studies had investigated the bullying and peer rejection as crucial cause of adolescent delinquency. According to General Strain Theory of Agnew(2001),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might be among the most traumatic events that are associated with delinquency. The current study provides a test of GST perspectives on adolescent crime and delinquency controlling negative family circumstance, poor school achievement, delinquent peer, and impulsivity. The current study used a sample of 854 homeless juveniles in youth shelters. The first step in the analysis wa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adolescent delinquency by using t-test analysis. The next concern in the study was to find impact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internalizing response(drug abuse and suicide attempt) and externalizing response(theft and robbery) in order to reduce level of strain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sistent with GST,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sta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delinquency regardless of the type of delinquency. In addition, the full model indicated that gender, student status, parents neglect, impulsivity, and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ons for internalizing response oriented delinquency controlling other variables. This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violence victimization on different types of delinquency controlling family, school, peer, and personality factors.

      • KCI등재

        소년원 임시퇴원 기각결정과 재범발생 간의 관계

        조윤오(Cho, Younoh) 한국형사정책학회 2020 刑事政策 Vol.32 No.3

        최근 소년원 출원 이후, 전체 비행 청소년의 약 20%가 다시 3년 이내에 범죄를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나 비행 청소년들의 소년원 회전문 효과(revolving door effect) 가 심각해지고 있다. 소년 보호관찰의 성패는 소년원 임시퇴원 대상자가 보호관찰등의 준수사항을 받게 되는 보호 관찰심사위원회의 결정(기각 혹은 인용)에서부터시작된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소년 보호관찰대상자의 재범 요인이 임시퇴원 기각요인과 서로 어떤 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비교, 검토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2018 년에 서울 보호 관찰심사위원회에서 약 4개월 동안 임시퇴원 적격 여부를 검토했던소년대상자(N=233명) 관련 자료를 살펴보고, 2020년 4월에 수집한 이들의 범죄경력 사항을 분석해 보았다. 검토 결과, 반복적으로 상신 된 대상자가 70명이고, 총163명 중 143명(87.7%)이 임시퇴원 인용 결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임시퇴원 후 약 1년 반 동안 재범을 저지른 비율은 전체의 약 54.6%(89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은 다른 관련 변인들을 모두 통제했을 때, 성별(남자>여자)과 소년원 잔형기간(-), 범죄유형(재산범>성폭력사범) 세 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호 관찰심사위원회의 기각결정은 성별(남자)과 소년원 잔형기간(+) 두 가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년원 수형 잔형기간 변인에 있어, 두 모델이 서로 반대의 방향을 보였고, 심사위원회의 우려와 달리, 소년원 수용 잔여 기간이 길게 남았던 조기 퇴원자들이 상대적으로 더 재범을 저지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소년원 수용 잔형 의무기간에 대한 가중치를 줄이고, 심사위원회 결정 단계에서부터 탄력적인 임시퇴원 허용결정이 광범위한 수준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key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recidivism of young probationers in South Korea. The revolving door effect of juvenile delinquents who had been released from detention center has dramatically been worsened. It is estimated that about 20% of young offenders upon release from detention center have committed additional crimes since they were released from the institutions. Applying the objective and systematic decisions mechanism from the parole board for the released detainee can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correctional services for reducing the rearrests rates of juvenile delinquents. In this aspect,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official rearrest records and relevant documents of young probationers who had been incarcerated in juvenile detention center highlighting the static factors and dynamic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following recidivism. The current study utilized the data of 233 young detainee from Seoul Juvenile Detention Center for applying early release in 2018. The recidivism records from Seoul Probation Parole Board were also collected and examined by conduct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demonstrated that about 89 young offenders(54.6%) upon release has been arrested with new crimes after 18 months of early releas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male), remaining prison terms(-), and types of crime(property cri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may affect the odds to commit additional crimes upon release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Furthermore, gender(male) and remaining imprisonment service ter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probability of rejecting the early release application.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성별에 따른 학교폭력 발생실태 및 유발요인 차이 분석

        조윤오 ( Youn Oh Ch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1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gender differences in school violence by focusing on physical bullying and relational bullying. In physical bullying, the bully usually harasses victims in direct way of kicking, hitting, and attacking victims without manipulating group dynamic. On the other hand, relational bullying depends on behaviors that are intended to isolate victims from other peer groups by spreading malicious gossip or causing feelings of exclusion toward victims. The current study examines physical bullying and relational bullying by using 2,044 participants of five elementary school, seven middle school and eleven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the end of May, 2012 for about 15 days. The result of chi-square test showe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olescent girls and adolescent boys in terms of physical bullying and relational bullying. In addi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low school grading and delinquent peer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explaining the physical bullying of adolescent girls. Policy implications for gender-specific treatment toward adolescent girls and boys are discussed.

      • KCI등재

        성범죄자의 연령별 특징 및 재범 요인 연구

        조윤오 ( Younoh Cho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社會科學硏究 Vol.4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범죄자의 특징을 연령별로 살펴보고, 연령대별로 성범죄자의 사후 재범 관련 요인을 비교·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과 2014년에 우리나라 법무부 신상정보 등록 시스템에 입력된 전체 성범죄자 16,190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성범죄자의 연령대별 특징을 다양한 차원에서 검토한다. 총 321명이 신상정보 등록 이후, 동종 성범죄 재범을 저질렀고, 그 연령별 비율은 30대(37.5%)>50대(21.2%)>40대(18.4%)>20대(18.1%)>60대 이상(5.0%)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범죄자의 연령별로 과거 성범죄 전과와 교도소 수용이 공통적인 재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 연령별로 직업 유무나 죄명, 전자발찌 부착 등 일부 상이한 요인이 사후 재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바, 성범죄자의 연령을 고려한 연령-특성 기반(age-specific)의 새로운 고위험군 평가 및 지역사회 교정 정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current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16,190 sex offenders focusing on the recidivism rates of various age groups of sex offenders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emphasizes the crucial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recidivism across the different age groups of sex offenders who were officially registered by Korean Ministry of Justice from 2013 to 2014.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number of prior sexual offenses and incarceration experience are common factors that are linked with recidivism of sex offenders among all sex offenders of various age groups. Further policy implication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성범죄자의 성적 일탈경험과 자기합리화에 관한 연구

        조윤오(Cho Youn Oh),이미정(Lee Mi Jeo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0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8 No.1

        이 연구는 성범죄자의 성도착 행위와 자기합리화의 관계를 탐구한다. 특히 노출증, 소아기호증과 같은 성적 일탈행위가 범죄자의 인지 왜곡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주된 목적이다. 여기에서 성범죄자의 성적 일탈행위는 노출증, 음란전화, 소아기호증, 스토킹, 마찰도착증 다섯 가지이며 자기합리화는 성역할 태도와 강간통념, 성폭력인지도 세 가지로 성폭력 범죄자의 왜곡된 인지구조를 측정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핵심 대상은 성적 일탈경험이 있는 성폭력 범죄자이다. 관련 변수 및 자료 분석을 위해 2007년도에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설문조사로 수집한 성범죄자 데이터를 한국사회과학자료원에서 다운받아 활용하였다. 원래 설문대상은 조사 당시 성폭력 범죄로 보호관찰 처분을 받고 있거나 교도소에 수용된 남성성범죄자 658명이었으나 이 연구에서는 결측값(43명)을 제외하고 성도착증 범죄자(81명)와 일반 성범죄자(534명) 두 집단의 데이터만을 활용하여 총 615명의 성폭력범죄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성폭력범죄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적 일탈경험이 있는 성범죄자가 일반 성범죄자와 자기합리화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t-test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성적 일탈경험이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 보다 동종전과, 강간, 성희롱 모든 측면에서 성범죄를 더 많이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성도착증 범죄자들의 자기합리화 태도를 일반 성범죄자들과 비교해 본 결과 성적 일탈집단이 일반 성범죄집단보다 인지 왜곡이 더 심하여 자기합리화가 강하게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 결과 다른 변수들을 통제했을 때 연령, 정신장애, 성폭력 인지도가 성적 일탈행위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핵심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selfrationalization on sexual offenders with particular sexual preference. Specific goals of the study are to reveal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sexual offenders and compare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sex offenders with deviated sexual preference and sex offenders with normal sexual taste. Little have been investigated or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preference and self-rationalization in the field of criminology. In this sens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ggestion of effective policy for sexual offenders' treat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offenders with exhibitionism, stalking or pedophilia. Samples of this study include 534 predators who were incarcerated in prisons and 81 sex offenders who were referred to probation offices. This study uses the secondary data set that was downloaded from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KOSSDA). Original raw data sets were collected from official data and survey toward sexual offenders in 2007(No A-2007-0006). From the data sets, five sexual deviation variables are recomputed and recoded into one categorial variable in order to find differences between sexual offenders with deviated sexual taste and sexual offenders with normal sexual preference. Furthermore, the concept of self-rationalization is formed from three different sub-concepts (attitude toward traditional gender roles, cognitive mechanism toward violent sexual offense, distorted faith toward rape). By using SPSS package program, t-test statistic is conducted to compare mean differences between sexual offenders with distorted sexual preference and sex offenders with regular sexual taste in terms of their self-rationalization. In addi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find relevant factors that can affect the likelihoods of being sexual offenders with problematic sexual prefer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x offender group with particular sexual preferences and the group with non-sexual preference in terms of (1) total numbers of sex offenses, (2) cognitive structure toward violent sex offense, and (3) distorted faith toward rape. When logistic regression is conducted for explaining the factors of the sexual deviation, (1) age, (2) mental health, and (3) cognition toward violent sexual offens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More specifically, when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one unit of age increase the odds of having sexually deviated behavior among sex offenders by 1.02 times(2%). When sex offenders have mental issue such as depression or anxiety, the likelihood of having sexual deviation increase by 1.96 times(96%) controlling other variables. In terms of self-rationalization scores, only cognitive mechanism toward sexual offens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ogistic model. This logistic regression model shows that one unit of sexual assault score decrease the odds of being sexual deviants by 0.89(0.11%) when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In other words, as sexual offenders have less positive attitude toward sexual assault by one unit of sexual assault score, the chances of becoming offenders with deviant sexual preferences are decreased by 0.89(0.11%).

      • KCI등재

        부모의 음주행동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조윤오(Cho, Youn-Oh) 한국피해자학회 2011 被害者學硏究 Vol.19 No.2

        This study aims at assessing the relationship of alcohol abuse of parents to three different types of child abuse which include physical abuse, sexual abuse and neglect. Child abuse has become controversial concern recently among the media and academic professionals during the last decade in South Korea since heinous child abuses committed by parents had been revealed. More importantly, parental drinking problem or parents' alcohol abuse issues have been recognized as crucial factor for resulting in child abuse by numerous scholars. However, the essential impact of parents with drinking habit in associating with child abuse has received surprisingly little attention. The current study uses secondary data from Korea Social Science Data Archive. The original data(A1-2009-0042) was collected from 1,9885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a survey questionnaire regarding "Child Abuse Victim Survey" in Busan. SPSS Package package program was used to estimate the impact of parents' alcohol abuse on child abuse. Specifically,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adjusted grade, gender, potential response to child abuse, family structure, family income, domestic violence were used to explore the effect of drinking problems of father and mother in terms of occurrence of child abuse. Child physical abuse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father's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in the first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Although physical child abuse had statistical association with a father with alcohol abuse, the problem of drinking problems of parents was not identified as a key factor in increasing child sexual abuse in the second model. Interestingly, children exposed to neglect have been reported to be at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having mother with a problem of alcohol abuse in the third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enhance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ecological model of child abuse and stress the individualiz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he three different types of child abuse in South Korea.

      • KCI등재

        The Study on the Key Factors of Recidivism Rates of Sex Offenders under Electronic Monitoring Program

        Cho, Youn-Oh(조윤오) 한국형사정책학회 2016 刑事政策 Vol.28 No.2

        본 연구는 위치추적 전자감시 자료를 분석하여 성범죄자의 기본 특징과 재범률 관련 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무엇보다도 전자감시 제도의 효과성을 성범죄자의 재범률로 검토한다는데 분석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연구에서는 전체 성범죄자 16,190명을 위치추적 전자발찌 부착자와 전자발찌 비부착자로 구분하여 두 집단을 비교,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연구 자료는 2013과 2014년 우리나라 신상정보 등록 성범죄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법무부 성범죄자 신상정보 등록시스템 내에 기록된 16,190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자감시제도의 효과성을 재범률 차원에서 검토하였고, 재범률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재범률 산정은 데이터 내 동일 기간 동안에 발생한 동종범죄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범죄자의 재범률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과 2014년 전체 기간 동안 다시 성범죄를 저질러 신상정보 등록 시스템에 재입력된 성범죄자를 따로 구분해 내는 방법을 사용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자감시 부착이 성범죄자의 재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체 성범죄자 모델(Full Model)에서 위치추적 전자감시 부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범죄자의 재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범죄 유형과 피해자의 연령이 전자감시 부착 성범죄자의 재범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범죄자의 재범(동종)이라는 것이 결국 범죄자가 저지른 특정 “성범죄 형태”와 “피해자 연령”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는바, 전자감시 부착시 관련 변수들을 고위험군 사정 단계에서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와 함께 양형 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보호관찰 및 다양한 지역사회교정 단계에서 관련 핵심 변수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개별화된 성범죄자 재범방지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학교폭력피해와 우울증 간의 관계에서 교사 및 부모관계 조절효과

        조윤오(Cho, Youn-Oh) 한국피해자학회 2012 被害者學硏究 Vol.20 No.2

        Numerous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there is strong association between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and a wide range of psychological problems, including depression, aggression, impaired cognition, and learning problems. In this contextx,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violence exposure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symptom by conducing survey toward 2,044 students in Seoul. In particular,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moderating function of student-teacher communication and child-parents relationships in the middle of association between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and student-teacher and child-parent relationship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by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the end of May, 2012 to the 15th of June, 2012 in Seoul.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exposure to viol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ant factor that affects the depression symptom score.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fter controlling violence exposure and other variables, relationships with teacher and parents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the psychological distress. Moreover, two-way ANOVA analyses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of student-teacher and child-parents relationships was significant at higher level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but not at lower levels of school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communication with teacher and parents might serve a the crucial role for students to release and minimize their stress and psychological problems. Further policy implication regarding school violence prevention will b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