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부지원을 받는 신생 ICT 벤처기업의 특성에 관한 연구

        조유리(Yuri Jo),김정호(Jungho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어떤 특성을 가진 신생 벤처기업이 정부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대표적인 기술집약적(high-tech) 산업이며 창업관련 정부지원이 많은 정보통신(ICT)산업에서 최근 3년 내에 창업한 벤처기업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기업특성이 정부지원 수혜가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신생 벤처기업의 특성을 창업 요인(창업주의 창업 경험, 자금조달 방법 중 정책자금 비중), 혁신 요인(혁신활동 유형의 개수, 주요 제품의 기술력 수준), 경영전략요인(상대적으로 중요시하는 전략 유형), 기업성장단계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요인에 관한 가설의 지지 여부를 파악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생 ICT 벤처기업 중 창업주가 창업 경험이 없거나 정책자금 의존도가 높을수록, 적정한 수준의 혁신활동을 수행하며, 마케팅관련 전략을 중시하며, 상대적으로 창업초기 단계에 있는 기업일수록 전반적으로 정부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본 연구는 정부지원 유형을 구분함으로써 신생 ICT 벤처기업의 특성들이 특정한 유형의 정부지원 수혜가능성에 선택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보였다. 예를 들어, 창업주의 창업경험이 없거나 자금조달에서 정책자금 비중이 높은 기업, 전략적으로 마케팅을 중시하는 기업은 다른 기업들에 비해서 자금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일정 수준의 다양한 혁신활동을 수행하거나 품질·비용 개선을 중시하는 기업은 공동연구개발 지원과 인력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 그리고 창업기 단계에 있는 기업은 자금 지원, 성장기 단계에 있는 기업은 판로·마케팅 지원, 안정기 단계에 있는 기업은 공동연구개발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which new technology-based firms (or venture companies) are more likely to receive public support. The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irm-specific factors on the likelihood of receiving the support, by using the sample of venture firms less than three years old in the ICT industries where technological intensity is high and public supports for start-ups are abundant. The factors a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founding characteristics (a founder’s pre-entrepreneurial experience, the proportion of public subsidy in financing since birth), innovation (the number of innovation types, technology level of main product), strategy (the relative importance of strategy types), and corporate growth stage. Hypotheses on each factor are tested, by analyzing the data. Empirical results show that new technology-based firms with an inexperienced founder, more dependence of public subsidy for financing, a moderate level of innovation activities, more marketing-oriented strategies, or early stage of growth are more likely to generally receive public support than their counterparts. The results also find that these characteristics have selec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receiving different types of support. For example, new technology-based firms with a inexperienced founder, more dependent on public subsidy or more marketing-oriented strategies tend to receive financing support, while those with a moderate level of innovation activities or focusing on quality-improvement and cost-reducing tend to receive supports for R&D alliance and human resources. In addition, those on early, expansion, or mature stage are more likely to receive support for financing, marketing, or R&D alliance, respectively.

      • KCI등재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에너지 개념 분석: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교과서 에너지 관련 서술을 중심으로

        조유나(Jo, Yuna),전영석(Jhun, Youngseok)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1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에너지 관련 서술과 관련지어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가진 에너지 개념을 조사하는 데에 있다. 초등 예비교사 95명을 대상으로 에너지 개념을 확인할 수 있는 6개 문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응답 결과를 분석하여 과학적 개념을 유형별로 범주화하였으며,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과학 교과서 및 지도서의 ‘우리 생활과 에너지’ 단원의 관련 진술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대체에너지를 활용한 전기 생산 과정에 대해 예비교사의 과반수가 에너지 전환과정에서의 에너지 보존과 에너지 전환 효율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설명하지 못했으며, 약 20%의 예비교사는 에너지와 물질을 구분하여 설명하지 못했다. 에너지와 관련한 예비교사들의 개념이 과학적인 개념과 다소 차이가 나는 이유 중의 하나로 일상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데 익숙하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현행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지도서에서도 일상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에너지 관련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에는 과학적이고 정확하게 관련 내용을 설명해야 하며, 에너지에 대한 과학적인 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에서의 융합적인 적용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는 학습 주제를 선정하여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ergy concept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 relation to the energy-related description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guidebooks. A survey was conducted for 95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on 6 questions that can confirm the concept of energy, and the results of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o categorize scientific concepts by type. We also examined the relevant statements in the ‘Our Life and Energy’ chapter of science textbooks and guidebooks in the second semester of elementary school 6th grad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jority of pre-service teachers did not scientifically explain the energy conservation and efficiency in the energy transition process for the electricity production process using alternative energy, and about 20% of preservice teachers could not differentiate between energy and matter. One of the reasons that the concept of energyrelated preservice teachers is different from the scientific concept may be that they are used to using everyday expres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guidebooks use everyday expressions to explain energy-related phenomen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textbook should explain the relevant contents scientifically and accurately, and select and organize the learning topic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convergence application in various situations so that the scientific concept of energy can be formed.

      • 수리산 병목안 지역의 식물군락구조 특성

        조유나 ( Yu-na Jo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경기도 군포시, 안양시, 안산시를 포함하는 수리산은 한강 남쪽에서 서울을 감싸며, 군포시 서측에 남북으로 능선이 길게 뻗어 있다. 태을봉(489m)을 중심으로 남서쪽에 위치한 슬기봉(451.5m), 북쪽의 관모봉(426.2m) 북서쪽의 수암봉(395m)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 되었으며, 면적은 6.97㎢ (군포시 62.4%, 안양시 36%, 안산시 1.6%)이다. 수리산의 납덕골 및 매쟁이골 공원 습지에는 천연기념물인 반딧불이 및 도롱뇽의 서식처가 존재하며, 조사대상지인 병목안 등지에는 변산바람꽃 등의 야생화 자생지가 존재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임과 동시에 시가지 밀집구역에 자리해 녹지섬 역할을 하고 삼림욕장, 공원 등 시민들의 이용이 높은 지역이다. 그러나 수리산 인근의 지속적인 주거단지 확장, 교량 및 터널을 포함한 도로 건설로 인해 간섭과 교란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어 수리산의 생물다양성 보전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이를 위한 기초자료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식물군락구조 조사는 2021년 6월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에 위치한 수리산 병목안 지역의 주요 식생 및 위치에 12개의 조사구를 선정하고 20m×20m(400㎡) 크기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진행하였다. 층위에 따라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으로 구분하였으며, 수목은 수고와 흉고직경, 초본은 초장과 피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구의 군락분류는 TWINSPAN 및 DCA 분석을 실시하여 군락별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고, 군락 내에서 각 수종의 상대적 우세를 비교하기 위하여 층위별 가중치를 부여한 상대 밀도(Relative Density), 상대피도(Relative Coverage), 상대 우점치(Importance Value), 평균상대우점치(Mean Importance Value)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류된 군락별로 Shannon의 수식을 이용하여 종다양도(H'), 균재도(J'), 우점도(D)를 계산했으며, 군락 간 유사도를 알아보기 위해 유사도지수를 산정하였다. TWINSPAN분석 시 level 1의 Division 1에서는 굴피나무(+)로 분리가 되었으며, level 2의 Division 2에서는 잣나무(-)로 나뉘어 졌으며, level 3의 Division 5에서는 층층나무(-)를 중심으로 분리가 되었다. TWINSPAN과 DCA 분석 결과, 조사구는 4개의 군락으로 나누어졌다. 상대우점치(I.V)에 따르면, 잣나무 군락(Ⅰ)은 잣나무 조림지로, 교목층은 잣나무(99.18%)가 우점하지만 아교목층에서는 잣나무의 세력이 약해지며, 관목층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아교목층은 때죽나무(32.22%)와 층층나무(29.20%), 관목층에서는 국수나무(25.88%)와 때죽나무(20.05%)가 우점한다. 낙엽활엽수군락(Ⅱ)은 교목층은 졸참나무(17.82%)와 고로쇠나무(14.07%), 비목나무(9.29%), 층층나무(9.00%) 등이 주로 출현하며, 아교목층에서는 졸참나무(20.43%), 비목나무(17.63%), 당단풍나무(17.16%), 관목에서는 비목나무(19.71%), 괴불나무(12.53%), 국수나무(11.00%)가 경쟁 관계에 있다. 갈참나무 군락(Ⅲ)은 교목에서는 갈참나무(54.39%)가 우점하고, 아교목에서는 때죽나무(27.26%), 피나무23.66%), 비목나무(21.71%)가 경쟁관계에 있다. 관목에서는 비목나무(38.25%)가 우점종이다. 굴참나무-굴피나무 군락(Ⅳ)은 교목에서 굴참나무(55.82%)와 굴피(27.15%)가 우점하며, 아교목에서는 굴참나무(34.48%), 관목에서는 비목나무(26.92%)가 우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제적으로 대상지는 잣나무 조림지가 주로 분포하지만 전석지대를 중심으로 수도권 대도시 주변에서는 드물게 고로쇠, 비목, 피나무, 굴피나무 등이 다수 분포하고, 그 생육 상태도 양호하여 적극적인 보전이 필요한 산림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유아의 식습관과 자기조절력의 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조유나(Jo Yu-Na),최윤이(Choi Yun-Y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1

        본 연구는 유아의 식습관이 자기조절력과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매개 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G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 216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연령, 학력, 취업유무 등은 유아의 식습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균형적 식습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합리적 행동과 애정성이 높을수록 유아의 균형적 식습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균형적 식습관은 자기조절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자기 결정, 자기 평가, 행동억제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균형적 식습관이 자기조절력에 영향을 미칠 때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그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에서 자기 평가 요인에서 매개 효과가 가장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whether Children's eating habits has a relationship with self-control and what mother's fostering activity mediates in the relationship. For the purpose, the study selected 216 children of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G City, Gyeonggi-do and their mothers as study subjects. The result revealed that mother's age, academic background and employment did not give significant effects to Children's eating habits.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mother's fostering activity gave a significant effect to balanced eating habit. The higher reasonable activity and affection were, the better Children's balanced eating habit wa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i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decision, self-evaluation and activity restriction. In addition, when Children's balanced eating habits gave an effect to self-control, mother's fostering activity mediated it. Among sub factors, the mediating effect was highest in self-control factor.

      • KCI등재

        아토피유발인자 억제효과를 증대하는 Lactococcus Lactis의 배양방법

        조유란 ( Yu Ran Jo ),강상모 ( Sang Mo Ka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2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0 No.4

        유세포 형광분석에 의한 유산균의 면역증진 효과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유산균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여 항아토피 기능성이 있는 유산균을 탐색하고 그 배양법을 검토하였다. T cell에서 CD4+/CD25+/foxp3+ 증가는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Lc. lactis)의 순으로 면역증진효과를 보였고,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력은 Lc. lactis, Lb. plantarum의 순으로 나타냈다. Lc.lactis 배양액 첨가배지에 Lb. plantarum을 배양한 실험에서는 항균력의 증가가 없었으나 Lb. plantarum 배양액 첨가배지에 Lc. lactis를 배양한 실험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항균활성 증대가 나타났다. 항균력을 증가시키는 유산균 첨가배지법의 최적조건은 Lb. plantarum 배양상층액 10%를 첨가하고 가열살균한 배지에서의 Lc. lactis 배양으로 나타났다. 이때 유산균의 항균역가는 Lc. lactis 순수배양 시보다 대수기 말기에 급격히 증가하여, 황색포도상구균의 증식 억제력이 1.29배 높아졌다. We conducted a screening and checked the cultivation methods of lactic acid bacteria, which have anti-atopic dermatitis functions, by determining the lactic acid bacteria`s immune enhancement by FACS,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The increase of Tcell CD4+/CD25+/foxp3+ was bigger in Lactobacillus plantarum than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Lc. lactis) and the antimicrobacter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was the opposi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b. plantarum culture with medium containing Lc. lactis culture broth was not enhanced, bu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c. lactis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Lb. plantarum culture broth was enhanced. As the optimal method caltivation of Lc. lactis in a medium containing 10% of heat-killed Lb. plantarum culture broth was chosen. By this metho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pure Lc. lactis culture increased sharply at the end of the log phase, while a restraint effect on the growth of S. aureus increased 1.29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