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倭 山田寺址에서 본 百濟의 建築文化

        조원창 한국문화사학회 2006 文化史學 Vol.0 No.26

        The site of Sanjeonsa temple(山田寺址) in Japan is a clan temple which was built in 641 by the prayers of the Soa(蘇我倉山田石川麻呂) presumptively of Baekje origin, and it shows the architecture culture of Baekje. In other words, the architecture techniques of Baekje, observed from the ruined temple site in Yongjeong-li, Mireuk temple site, Jeonglim temple site, Neung temple site, and Keumgang temple site, are implied in the arrangement, the axis part under the basic platform, and the platform of the temple site on a field in the mountains. The commonness of the architecture of Baekje and that of Japan shown from this proves that the two countries had constantly exchanged their culture until after the second quarter of the seventh century like they had done before. It also verifies that the active subject of the exchange was Baekje. However, after the first half of the seventh century, Japan started its cultural interchange with Goguryeo, Silla, and China. Therefore, they might have influence on the site of Sanjeonsa temple(山田寺址). This is a topic for later discussion. 倭 山田寺址는 백제계로 추정되는 蘇我倉山田石川麻呂의 발원에 의해 641년에 창건된 氏寺로 여기에는 백제의 건축문화가 내포되어 있다. 즉, 용정리 폐사지를 비롯한 미륵사지, 정림사지, 능사지, 금강사지 등에서 살필 수 있는 백제의 건축기술들이 산전사지의 가람배치, 기단 아래의 축기부, 기단 등에 함축되어 있다. 이러한 백제와 왜의 건축문화 상통성은 한편으로 7세기 2/4분기 이후까지 양국의 문화교류가 이전처럼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었음을 반증하는 한편, 그 전파 주체가 백제였음도 알게 한다. 하지만 7세기 전반 이후 왜는 백제뿐만 아니라 고구려, 신라, 중국 등과도 교류를 맺고 있어 산전사지에서 이들 문화의 존재 또한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해선 차후의 논제로 삼고자 한다.

      • 일명 당김석(引石)의 발굴 사례와 형식 분류

        조원창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05

        최근까지의 발굴조사 결과 일명 당김석(引石)은 삼국시기 이후 조선시기에 이르기까지 고분, 산성, 축대 등 다양한 유적 에 사용되었다. 당김석은 턱의 유무에 따라 유악식과 무악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전자는 다시 생김새에 따라 돌못형과 첨 차형, 장대석형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그리고 후자는 쐐기형과 장대석형으로 나눌 수 있다. 삼국시기의 당김석은 무악식의 쐐기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금산 백령성(백제 사비기)에서 턱이 있는 유악식의 돌못 형이 초보적 형태로 검출되었다. 돌못형은 이후 통일신라기의 경주 발천유적을 비롯한 감은사지, 전 황복사지, 불국사, 남산 신성, 월정교, 춘양교, 합천 영암사지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유악식 첨차형 당김석은 불국사 전면의 가구식축대 및 석굴암 후실의 돔 천정부에서 살필 수 있고, 장대석형 당김석은 고려시기 유적인 개성 고려궁성의 축대 및 왕릉에서 확인되고 있다. 당김석은 석축 과정에서 기능적으로 사용되는 부재이기에 앞으로도 좀 더 다양한 형식이 등장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수반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익산지역 백제 건축유적에서 보이는 새로운 토목·건축 기술

        조원창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6 馬韓, 百濟文化 Vol.28 No.-

        King Muwang constructed Mireuksa temple, Jeseoksa temple and Wanggungni Historical Site in Iksan in the early 7th century. The capital of Baekje at the time was Buyeo but King Muwang had such a great interest in Iksan that he ordered large scale public works·construction work to be performed in the area. In Iksan, new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that have not been found in Buyeo appeared. New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unified Silla after Baekje fell. We can get a sense of full vitality of master artisans of Baekje through above mentioned historical sites. Construction of site in both directions found in Wanggungni Historical Site seems to be public works technique which is unique to Baekje and made good use of steep slope. Technique of the soil and stone are mixed observed in reinforcing facility in east and west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is new public works technique which comes close to solid soil in reinforcing facility. A hollow and gyeolgugidan(結構基壇) in Gidanseok observed in the main building of Mireuksa temple site is shown in Gameunsa Temple site built in unified Silla. High cornerstone and Jeoksim facility(積心施設) are observed in Gwanghallu built in Joseon dynasty and historical site in Dongdaemun Stadium. Some construction techniques observed in Iksan seem to have imported from Tang Dynasty. However, most public works·construction seem to have been created by Baekje's development. It appears that a study of buildings of Baekje in Iksan will reveal various public works·construction techniques. 왕은 7세기 초반 익산지역에 미륵사와 제석사, 왕궁리유적 등을 조성하였다. 물론 당시의 왕도는 부여였지만 무왕은 대규모 토목·건축사업을 일으킬 정도로 익산지역에 지극 정성을 보였다. 익산지역에서는 부여지역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토목·건축 기술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이들 기술력은 백제 멸망 후 통일신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곤 하였다. 비록 나라는 멸망하였지만 백제 장인들의 꿋꿋한 생명력을 엿볼 수 있게 하는 고고자료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왕궁리유적에서 확인된 양 방향에서의 대지 조성은 급경사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한 백제 특유의 토목공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미륵사지 동탑지와 서탑 축기부에서 관찰된 공법은 축기부 판축토에 버금가는 새로운 토목기술임을 파악할 수 있다. 미륵사지 금당지에서 관찰되는 기단석 내부의 空洞化나 결구기단 등은 통일신라기의 감은사지에서도 찾아지고 있다. 또한 고주형 초석과 적심시설 등은 조선시기의 광한루나 동대문 운동장 부지 유적 등에서 살펴지기도 한다. 익산지역에서 관찰되는 일부 건축기술은 당에서 유입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토목·건축 기술은 백제의 내재적 발전을 통해 창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향후 익산지역에서의 백제 건축물 조사에 따라 좀 더 다양한 토목·건축기술이 등장할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百濟 泗沘期 木塔 築造技術의 對外傳播

        조원창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5

        There remain several sites in Buyeo and Iksan where wooden pagodas stood that were built during Baekje’s Sabi Period. They were built after Baekje’s capital was moved to Sabi and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emple site along with Geumdangji(the main building). Unlike stone pagoda, wooden pagoda has Simchoseok(central cornerstone) and Gongyangseok (meaning stone for a service) in the central part and on them large and long pillar called Simju (central pillar) is placed. Simchoseok and Gongyangseok vary in location depending on period. For example, Simchoseok and Gongyangseok in Buyeo Gunsuri temple site and Neungsanri temple site built in the mid 6th century are found underground and such construction technique is also found at Askadera temple site in Japan built by a person from Baekje who was engaged in building pagoda around 588. Sloped way called Sado(斜道) is found in cases which Simchoseok or Gongyangseok is placed underground. On the other hand, when seeing Wangheung temple site where there stood wooden pagoda built around, it is found that Simchoseok and Gongyangseok are placed above ground and under the ground respectively with them separated. When seeing Busosan temple site in Boyeo and Jeseok temple site in Iksan built after 7th century, it is found that Simchoseok and Gongyangseok are placed on the ground. All things considered, it seems that Simchoseok and Gongyangseok in wooden pagoda moved from underground to over the ground gradually. Wooden pagoda site at Wangheung temple site in Buyeo seems to be transient style. Wooden pagoda that used to stand in Hwangryong temple site in Gyeongju was built by Abiji who worked in making pagoda, which is suggested by rectangular Sarigong(舍利孔) which is placed in the middle of Simchoseok and Gongyangseok and a hole to drain water, podium and rectangular stone which is also called Tabgu(塔區). Podium in wooden pagoda site was classified into three forms but simple podium without Taengju(pillar supporting pagoda) hole or molding is early form of podium. Podium with Taengju and molding seems to have been reinforced in 720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 Archaeological studies show that Baekje’s technique was used in various parts including construction of pagoda, podium and podium soil in temple site by investigating temple site built during ancient Japan and Hwangryong temple site. Further research will help reveal relationships between Baekje culture and Japanese culture better. 부여 및 익산지역에는 백제 사비기에 조성된 여러 목탑지가 남아 있다. 이들은 모두 사비천도후 축조되었으며, 금당지와 더불어 사지의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다. 목탑은 석탑과 달리 중심부에 심초석 겸 공양석이 놓여 있으며, 이 위에는 심주라 불리는 기둥이 올려있다. 심초석 겸 공양석은 시기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지고 있다. 즉, 6세기 중엽에 조성된 부여 군수리사지 및 능산리사지에서는 심초석 겸 공양석을 지하에서 볼 수 있고, 이러한 축조기법은 588 년 이후 백제 조탑공에 의해 비조지역에 축조된 일본 비조사 목탑지에서도 동일하게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지하에 심초석이나 공양석 등이 설치된 경우에는 사도라 불리는 경사진 길을 살필 수있다. 이에 반해 577년경의 부여 왕흥사지 목탑지를 보면 심초석과 공양석이 지상과 지하에 별도 분리·조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7세기 이후의 부여 부소산사지 및 익산 제석사지 목탑지를 보면 심초석 겸 공양석이 지상에 올라와 있음도 살필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백제 목탑지의심초석 겸 공양석은 지하에서 지상으로 점차 이동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의 과도기적인 형태로 부여 왕흥사지 목탑지의 사례도 찾아볼 수 있다. 경주 황룡사지 목탑은 백제 조탑공이었던 아비지에 의해 완성되었다. 이는 심초석 겸 공양석의 중앙에 설치된 방형 사리공과 주변의 배수 홈, 그리고 기단석과 일명 탑구로 불리는 장대석을통해 엿볼 수 있다. 목탑지의 기단석은 크게 3가지 형식으로 구분되었으나 탱주 홈이나 모접이가없는 단순 장대석이 초기의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울러 탱주 홈과 모접이가 있는 기단석은 성덕왕대인 720년에 후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 고고학적으로 드러난 고대 일본 사지와 신라 황룡사지에서는 조탑기술 뿐만 아니라 건물지 기단, 기단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백제의 건축·토목기술이 확인되고 있다. 향후 조사 사례의증가에 따라 이들 기술의 상관성 또한 상대적으로 늘어날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