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3·1운동 100주년과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의 역할 : 여주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원기(Cho, Won-Ki) 북악사학회 2020 북악사론 Vol.11 No.-

        2019년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3·1운동의 역사를 정리하고 기억하는 시간이었다. 여러 박물관들이 전시를 통해 3·1운동의 역사를 국민에게 알리고자 노력하였다.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들도 대중의 관심도가 떨어지는 지역 3·1운동 역사에 대한 연구와 전시를 통해 지역 3·1운동을 지역민들에게 알리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초자제체 공립박물관의 학예연구 인력의 부족과 전시에 집중할 수 없는 업무환경, 근대사 부분 전공 학예연구 인력의 미비로 인한 전시 주제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은 지역 3·1운동 관련 전시를 수행하기 어렵게 하는 요소이다. 그런 이유로 소수의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만이 지역 3·1운동 관련 전시를 수행할 수 있었다. 경기도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 중 지역 3·1운동 전시를 수행해 낸 여주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지역 3·1운동을 기념하고 전시하기 위해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지를 이 글에서 검토해 보았다. 여주박물관은 지역 3·1운동에 대한 자료 확보 등을 통해 3·1운동 역사를 정리하여 관련 연구를 새롭게 진행하였다. 이후 연구된 성과는 전시를 통해 지역민과 관람객들에게 여주 3·1운동을 알릴 수 있었다. 그리고 전시내용을 교육·체험·심화강좌·현장 답사 프로그램 활용하여 지역민과 관람객에게 전시내용의 내재화를 추구하였다. 전시와 일련의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민들과 관람객들이 기존에 알지 못했던 여주 3·1운동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를 우리지역의 역사 나아가 나와 관련된 역사로 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이 이번 전시의 의의이다. 이번 3·1운동 100주년 기념전시는 지역 3·1운동을 정리하고 이를 보여주는 과정에서 기초지자체 박물관의 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회였다. 나아가 기초지자체 공립박물관이 지역 근현대사 자료를 수집·연구하여 전시를 통해 이를 지역민에게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을 쌓는다면,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박물관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2019 was time to remember and organize the history of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the hundredth anniversary. Many museums t ried t o let people know t he h ist ory of March F 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holding special exhibitions. Local public government museums were also tried to let residents know the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indifferent. Local public government museum’s research manpower shortage, inaccessibleness of exhibitions topic and working environment which was could not concentrate on exhibitions was in trouble holding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 ovement exhibit oins. Accordingly, a f ew l ocal p ublic government museums could hold a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exhibition. Yeoju Museum is one of the Gyeonggi province local public museums that could hold a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exhibition. Focusing on Yeoju Museum’s exhibition case, we could review the process of how local public museums remember a nd e xhibit local M arch F 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this article. Yeoju Museum newly researched history of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securing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materials of Yeoju. After this research, Yeoju Museum could newly let people know Yeoju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a special exhibition. Moreover, Yeoju Museum pursued the internalization of exhibition contents for residents and audiences by utilizing educations, experiences, deepen lectures, explore sites. Residents and audience become interested in Yeoju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a special exhibition and many programs are the importance of this exhibition. This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exhibition is a chance to improve local public museum’s capability through organizing and exhibiting local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Furthermore, if local public museums could accumulate the capability to collect and research local modern history materials, local public museums will do a role that local community demands.

      • KCI등재

        흰쥐 간조직의 활성산소 및 제거효소에 미치는 목초액의 영향

        조원기(Cho Weon-Ki),최진호(Choi Jin-Ho) 韓國營養學會 200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0 No.2

        시판 목초액 A (원액 35%)을 사용하여 음용수에 0%, 1.0%, 25.0%, 50.0%, 75.0%가 되도록 조제한 다음, CD 계 수컷 흰쥐 (150 ± 10 g) 에 2개월 동안 조제사료와 함께 자유 음용케 하여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로서 수퍼옥시드 라디칼 (O₂?), 히드록시 라디칼, 과산화수소 및 제거효소로서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SOD),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 (GPx) 및 카탈라아제 (CAT)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 획분에서는 O₂?의 생성량은 대조군 대비 12~14%의 O₂?의 생성량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마이크로솜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각각 11.0~15.0%의 O₂?의 생성량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간조직 미토콘드리아획분에서 · OH 생성량이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에서 대조군 대비 12~20%의 · OH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마이크 로솜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7-20%의 'OH 생성 억제효 과가 나타났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2~15%의 유의적인 H₂O₂의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마이크로 솜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20~22%의 상당히 유의적인 H₂O₂의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Mn-SOD 활성은 대조군 대비 15~25%나 유의적인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고, 간조직의 Cu/Zn-SOD 활성은 대조군 대비 11~16%의 유의적인 SOD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획분의 GPx 활성은 대조군 대비 10~17%의 GPx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고, 간조직의 마이크로솜획분의 GPx 활성은 대조군 대비 10~14%의 유의적인 GPx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획분의 CAT 활성은 대조군 대비 12~14%의 유의적인 CAT 활성 증가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시토졸 1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5~27%의 CAT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의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방어시스템으로서 활성산소 제거효소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여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yroligneous liquor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the liver of Cri/Bgi CD rats (7 rats per group). Male rats were fed a basic diet prepared in our Lab., PL-0 (Control), PL-1, PL-25, PL-50 and PL-75 groups were prepared to be 0%, 1%, 25%, 50% and 75%with distilled water using pyroligneous liquor 05% of Choa Co. Ltd.), and were administrated orally for 8 weeks. Superoxide radical contents in liver mitochondria and microsom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12-14%, 11-15%, respectively, in these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ydroxyl radical content in mitochondria and microsomes were markedly decreased to 12-20% and 17%, respectively, in these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ydrogen peroxide content in mitochondria and microsom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bout 15-12% and 22-20% in liver of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Mn-SOD and Cu/Zn-SOD activities in liver of PL-25 and PL-50 groups were remarkably increased to 15-25%, 11-16%,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GPx activities in mitochondria and microsom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iver of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AT activities in mitochondria and cytoso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12-14%, 15-27%, respectively, in the liver of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 term administration orally of 25 and 50% pyroligneous liquor may effectively inhibit the formation of oxygen free radicals, and also scavenger enzyme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 through the administration orally. (Korean J Nutrition 40(2): 111~117, 2007)

      • KCI등재

        혈청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목초액 (Pyroligneous Liquor)의 영향

        조원기(Cho Weon-Ki),최진호(Choi Jin-Ho) 韓國營養學會 200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0 No.1

        목초액 투여가 생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아제약에서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목초액에서 조제한 시판 목초액 (원액 35% 상당)을 사용하여 0%, 1.0%, 25.0%, 50.0%, 75.0%가 되도록 조제 (control, PL-1, PL-25, PL-50, PL-75 groups)하여 실험용 조제사료로써 8주 동안 자유 음용시킨 다음, 목초액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목초액 투여에 의한 체중변화 및 사료 섭취률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렇지만, 혈청 중의 중성지질의 영향은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20.5% 및 19.5%의 매우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목초액 PL-75 투여군도 대조군 대비 12%의 유의적인 감소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총콜레스테롤은 대조군 대비 79.3% 및 83.7%로서 20.7% 및 16.3%의 매우 유의적인 총콜레스테롤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은 20.3% 및 16.9%의 유의적 LDL-콜레스테롤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36.4% 및 25.5%의 HDL-콜레스테롤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각각 37.0% 및 50.0%로 매우 유의적인 동맥 경화지수 (AI)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중선지절,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HDL-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동맥경화지수(AI)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목초액의 장기투여는 성인병의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yroligneous liquor on lipid metaboilsm in serum of SPF/VAF Cri/Bgi CD rats. Male CD rats were fed basic diet prepared in our Lab., and PL-0 (control), PL-1, PL-25, PL-50, PL-75 groups were prepared with pyroligneous liquor (35% of Choa Co. Ltd.) of 0%, 1 %, 25%, 50% and 75% in purified water per day for 8 weeks. Body weights and food intakes almost did not change in these five groups, and triglyceride (TG)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20.5% and 19.5%, respectively) in these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otal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markedly decreased (20.7%, 16.3% and 20.3 %, 116.9%, respectively) in these PL-25 and PL-50% groups, but H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bout 36.4% and 25.5% in serum of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therogenic indices were also remarkedly decreased (63.0%, and 50%, respectively) in these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 term administration orally of pyroligneous liquor in 25 to 50% may inhibit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through improving of lipid metabolism of lower TG & LDL-cholesterol and higher HDL-cholesterol, and lower AJ. (Korean J Nutrition 40(1): 24~30, 2007)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과 대학생의 대학 생활 및 대학ㆍ전공 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조원기(Cho, WonKee),이수정(Lee, Soo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이 연구는 한국 교육고용패널조사의 중3 코호트 중에서 4차 년도(2007년 조사, 당시 고3), 5차 년도(2008년 조사, 당시 대1), 6차 년도(2009년 조사, 당시 대2), 7차 년도(2010년 조사, 당시 대3), 8차 년도(2011년 조사, 당시 대4), 9차 년도(2012년 조사, 당시 대졸), 10차 년도(2013년 조사, 당시 대졸) 추적 결과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부 중심전형 대 수능중심전형에 초점을 주어 대입전형 방식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부중심전 형 학생이 수능중심전형 학생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학생부를 통해 선발된 학생들이 1학년 학업성취도에서는 떨어지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이 더 향상되었다. 둘째, 학생부중심전형의 전형 요소인 학생부 교과와 학생부 비교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대비변수가 유의한 값을 갖지 않는데 이는 학생부 교과와 학생부 비교과 전형 요소를 통해 선발된 학생들의 2, 3, 4학년 누적 평균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없게 나타나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성적 이외 의 요소를 중심으로 선발된 학생부 비교과 전형 요소 선발 학생들의 대학교 학업성취도가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시키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학생부중심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이 수능중심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학점 관리를 더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며, 학생부 비교과 자료를 대입전형에 활용할 경우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조사 자료의 보완을 통해 심층적인 분석을 해 볼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college admiss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school records and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by apply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ata of the 4th year (2007, 3rd grade in high school), the 5th year (2008, freshman in college), the 6th year (2009, sophomore), the 7the year (2010, junior), the 8th year (2011, senior), the 9th year (2012, graduator),and the 10th year (2013, graduator) among cohorts in 3rd grade in middle school based on the research of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students of school records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ose of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They gradually increased their academic performance except the first year in college. Second, no significant values are observed in the contrast variables that indicate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selected by curriculum records and students by non-curriculum si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ccumulated academic achievements i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students.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selected by non-curriculum records have the same academic achievements.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attitudes and motivation for their major studies should be reinforced. Especially, it is verifi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studies increases the academic performance for the students selected by their academic records and the class attitude is the key for the students selected by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 Identifying Groups in a Boolean Algebra

        조원기(Wonki Jo Cho),Biung-Ghi Ju 한국재정학회 2016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We study the problem of determining memberships to the groups in a Boolean algebra. The Boolean algebra is composed of basic groups (e.g., “J” and “K”) and the other groups that are derived from basic groups through the conjunction,disjunction, or negation operations (e.g., “J and K”, “J or K”, “not J”, etc.). All groups, basic and derived, are to be identified simultaneously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potential members. Our main results are characterizations of (social decision) rules by means of independence axioms that are variants of Arrow’s independence of irrelevant alternatives. We report that any of these independence axioms, together with other fairly mild axioms, implies simple decision schemes that focus on a single fixed vote for every membership decision. These rules are characterized earlier in the binary and multinary group identification models by Miller (2008) and Cho and Ju (2015). We unify these two models and their main results. Our extended setup uncovers implicit constraints in the earlier studies. Dropping these constraints, as we propose, leads to quite a rich spectrum of rules. Among them are the consent rules by Samet and Schmeidler (2003).

      • Fractional Group Identification

        조원기(Wonki Jo Cho),박창우(Chang Woo Park) 한국재정학회 2017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We study group identification problems, the objective of which is to classify agents into groups based on individual opinions. Our point of departure from the literature is to allow membership to be fractional, to qualify the extent of belonging. Examining implications of independence of irrelevant opinions, we identify and characterize four nested families of rules. The four families include the weighted-average rules, which are obtained by taking a weighted average of all entries of a problem, and the fractional consent rules, which adapt the consent rules from the binary model to our multinary setup, balancing two principles in group identification, namely liberalism and social consent. Existing characterizations of the one-vote rules, the consent rules, and the liberal rule follow from ours.

      • KCI등재

        인구고령화는 소득불평등의 원인인가?

        조원기(Wonki Cho),이우진(Woojin Lee),최준영(Jun-young Choi) 한국경제발전학회 2021 經濟發展硏究 Vol.27 No.4

        최근 한국사회의 불평등 심화 원인 중 하나로 급속한 인구고령화가 종종 지목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인구고령화와 소득불평등의 관계를 이론적으 로 그리고 통계적으로 살펴본다. 인구고령화는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 구의 비중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정의한다. 고령층과 비고령층 두 개의 인구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구성한 우리의 모형에 의하면 인구고령화 와 소득불평등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불확정적이다. 이론적으로 인구고령화가 불평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특정한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통계적 분 석에서는 먼저 특정 연도의 연령대별 인구구성이 과거 시점의 인구구성과 같 았더라면, 즉 고령화가 진행되지 않았더라면, 얻어질 반사실적 소득분포 (counterfactural income distribution)을 준모수적 방법으로 추정한 후, 이 가 상의 소득분포와 현실의 소득분포를 비교함으로서 인구고령화가 소득불평등 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한다. 자료로는 가계동향조사자료를 활용하고, 1990 년과 2000년의 연령대별 인구구성 가중치를 1990∼2020년 소득분포에 적용 하여 가상적인 소득의 시계열을 추정한다. 추정 회귀식에 가구원 수, 가구주 의 성별, 배우자의 취업 여부, 취업 자녀의 수를 설명변수로 포함하여 고령화 이외의 요인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한다. 가상적인 소득분포와 실제 소득분포에 대해 타일(Theil) 및 지니(Gini) 계수를 도출하고 이를 비교한 결 과, 동기간중 고령화는 소득불평등에 기여하지 않았거나 오히려 불평등을 소 폭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Population aging is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factors that have exacerbated income inequality in Korea.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aging and income inequality from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Population aging is defined as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ged 65 or older. In our theoretical model, the population i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old and the young. Our analysis shows that in general, the impact of aging on income inequality is indeterminate and that aging deepens inequality only if a set of strong conditions are satisfied. For an empirical analysis, we take a semi-parametric approach to estimating a counterfactual income distribution that would have prevailed if it were not for population aging (i.e., if the extent of aging stayed at some past level). We then isolate the effects of aging on inequality by comparing the counterfactual income distribution and the actual distribution. Using the 1990-2016 annual data from the Korean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we apply the weights for the age distribution from two benchmark years, 1990 and 2000, to each year in the range and obtain a time series of counterfactual income distributions. Our estimation controls for the household size, the gender of the household head, the employment status of a spouse, and the number of employed children in a household, so that factors other than aging that may influence inequality are taken into account. The Theil and Gini indices derived from the actual and counterfactual income distributions show that population aging does not affect or moderately reduces ine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