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체과제제시와 부분과제연습이 학습자의 사전인지기능에 따라 문제해결과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조수연(趙修年),정선영(鄭善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복합적 인지기술의 습득을 위한 교수설계모형으로 알려진 4C/ID모형의 네 가지 요 소 중 전체과제제시와 부분과제연습이 학습자의 사전인지기능에 따라 문제해결과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I시 소재 중학교 108명의 학생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엑셀 학습 프로그램’을 총 7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복합적 인지기술을 필요로 하는 학습과제의 경우 전체과제제시를 제공하였을 때 문제해결을 쉽게 할 수 있었으며, 문제해결에 대하여 학습전략과 사전인지기능 간에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즉, 전체과제제시는 사전인지기능이 높은 상위집단이 사전인지기능이 낮은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효과적이었다. 또한, 전체과제제시는 본유적 인지부하를 높여주었다. 그러나 인지부하에 대하여 학습전략과 사전인지기능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 복합적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전체과제제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전체과제제시는 문제해결 시 본유적 인지부하를 높여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실제 교실환경에서 복합적 문제해결 시 전체과제제시전략의 사용을 제안한다.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ole task practice and part task practice among four components of 4CID model, which is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omplex cognitive skill acquisition. 108 subjects from middle school located in I city participated. For the purpose, an instructional program for excel was conducted for seven weeks.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post-test for problem solving and cognitive load test was administered. As the research results, subjects were able to solve problems better when whole task practice was provide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earning strategies and previous cognitive skills. That is to say, while whole task practice was effective for the subjects with higher previous cognitive skills, part task practice was effective for the subjects with lower previous cognitive skills. Also, whole task practice raised germane cognitive load. Previous cognitive load skills ha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for all types of cognitive load.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earning strategies and previous cognitive skills. The current research results reports that whole task practice is mor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high cognitive skills whereas part task practice is more effective for students with low cognitive skills. Since the whole task practice took a role of raising the germane cognitive load while students solve a problem, we suggest whole task practice strategies for complex cognitive problem solving in the practical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有+(數量)名” 結構的語法化及其動因

        曹秀玲(조수령)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05 중국어교육과연구 Vol.1 No.-

        본고는 중국어의 수량명사구 앞에 ‘有’가 출현하는 구조를 대상으로 하여, 그 문법화 과정과 기제를 고찰하였다. 본고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이 간략히 제시할 수 있다. ‘有+(?量)名’ 구조의 문법화 과정은 중국어사에서 보이는 여러 문법 현상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맺고 있다. 예를 들면, 양사의 발전이나 ‘的’자 구조의 출현, 수량성분의 위치 변화 등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하지만 ‘有+(量)名’ 구조가 어휘적 형식을 대신해 비한 정성을 나타내게 된 것은 구조 자체의 확장성과 중국어 통사의 형태화라는 총체적 발전 경향에 기인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有+(量)名’ 구조는 인류의 언어가구 정보에서 신정보로 배열되는 일반적 현상에 부합하고 있다. 실험에 의하면, 각기 다른 모국어를 구사하는 실험 대상들이 동사 앞에 한정성 성분이 위치하고, 동사 뒤에 비한 정성 성분이 위치하는 문장에 대해 높은 문법적 적합도를 부여했다. 또 이외에도 많은 언어에 ‘有’나 그 대응형식을 써서 새로운 화제를 도입하는 현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金石範「糞と自由と」論―知識青年の「敗北」と「糞まみれの自由」の意味をめぐって―

        조수일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8 일본학 Vol.47 No.-

        The novel Feces and Freedom(1960) of the Korean Japanese writer Kim Seokbeom is a story set on the chrome mine in Hokkaido in the colonial period, developing closely to an inner thinking of the Korean youth(Seong, Taeil) who was drafted.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of “defeat” in Taeil who can also be referred to as a young elite and “freedom covered with feces” which he pursued, with the work as an analysis target. First of all, this paper showed the beginning is to fulfill the function of involving the reader in questioning the space time of the story being developed and characters's subjectivity, through the writer’s narrative strategy that the reader actively getting involved in the narrative situation.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d that the reader can read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characters’ internal thinking not being portrayed, through grasping Japanese workers who is as a blank and the delay information. Second, it focused on the history and role of the Korean executive Yasukawa, analyzed his ambivalent feeling and a manipulation of writer to evoked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Kyowakai”. Finally, this paper showed that narrative mechanism what Taeil tasted double “defeat”, on account of nonelite called Yongbegi, on the basis of Taeil’s image. In addition, this paper showed that “freedom” what requested by Taeil is that oneself who does not rule someone and is not dominated by someone, and desire for regaining the subjectivity from oblivion of the subject and submission. It is the theme of this novel that “freedom” must pursue even when becoming “covered with feces”. 在日朝鮮人作家である金石範の1960年作「糞と自由と」は、植民地期における北海道のあるクローム鉱山を舞台とし、徴用された朝鮮人青年・成太一の内面に寄り添って展開される物語である。本稿は、その「糞と自由と」を分析対象とし、知識青年とも言える主人公の「敗北」と、彼が追い求めた「糞まみれの自由」の意味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まず、作品の書き出しは、読者を物語世界に積極的に組み入れる表現の仕組みを通じ、これから描かれる物語の時空間や作中人物一人一人の主体性の内実を問うことに読者をかかわらせる機能を果している点を明らかにした。また、読者は空白として浮き彫りになる日本人労働者や遅延される情報を捉えることで、物語世界の構造や描写されていない作中人物の内的思考を読み取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ことを示した。次に、朝鮮人幹部である康川の来歴と役割に注目し、彼のアンビバレントな感情や「協和会」の歴史性を喚起させる書き手の操作を分析した。そして、主人公の来歴や歴史そのものをせり出す地の文をとりあげ、史実に照らし合わせながら、周辺人物と対比される知識青年としての主人公像を捉えるための検討を行なった。最後に、主人公が味わう「敗北」は、馬鹿正直な龍白という人物によってもたらされ、創氏改名をめぐる龍白のあり方の想起によって、その「敗北」が二重化される構造を捉えた。さらに、主人公が「糞まみれ」の状態で追い求めた「自由」の意味について考察したが、本稿では、誰かを支配せず誰かに支配されない「軀」、ひいては主体の忘却や屈従から主体性を取り戻すことへの欲望を「自由」として位置づけた。

      • KCI등재

        당사자의 증언과 기억을 전승하는 서사 전략 : 김석범의 「남겨진 기억」을 중심으로

        조수일(CHO, Su-Il)(趙秀一) 한일민족문제학회 2021 한일민족문제연구 Vol.40 No.-

        本稿は、金石範自身に語り継がれた済州4·3事件の証言を初めて形象化した1975年作「遺された記憶」を読解した。まず、冒頭分析を通して「私」が読者の想像力に働きかける語りの中で生成され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物語の結末部における語り手「私」の死と枠物語化するが、それは死者の声がどのように生者に語り継がれるかを示す装置であり、死者をして語らしめたことの露呈であると捉えた。次いで、〈遺された記憶〉は、単純に宋東丘の記憶が息子の宋有根に残されたということだけを意味しない点を解き明かした。宋有根の語りにおいて伝聞として語り継がれる宋東丘の記憶は、ただ単に彼の網膜に刻まれた〈遺された記憶〉ではなく、それを越えた身体と精神の、つまり全身全霊の感覚に<遺された記憶>であることを読み取ることができた。最後に、済州4·3事件に生み出された密航者である作中人物の共通項の背面には、各々が思い起こされたことに対して語り得ることと語り得ないこととの間で揺れ動く格闘があり、読者は小説表現の空白に光を当て、想像力をもって向き合っていくべきであることを指摘した。 This study read the Memories left behind that embodies the testimony of Jeju 4·3 Incident that Kim Suk-pom himself heard.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beginning, and made it clear that “I” is generated in stories that influence the imagination of readers. At the end of the novel, the narrator “I” dies and frame novel is formed, which is a device to show how the voice of the dead is passed down to the living, and to let out the dead spoken. Next,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is novel’s title Memories left behind is not only meaning which the memories of Song Dong-gu was left behind his son Song Yoo-gun. And this paper figured out Song Dong-gu’s memory, presented as hearsay in Song Yoo-gun’s story, was not just a memory engraved on his retina, but a memory beyond it, that is, a memory left to his whole body and soul. Finally, this study paid attention the common points of the characters in the background that they were stowaways. And it pointed out that behind them, there was struggles between being able to speak and not being able to speak, and that readers should read that the gaps in novel’s expression, with using their imagination.

      • KCI등재

        김석범 「허몽담(虚夢譚)」의 인물 형상화 양상에 나타난 작가의식

        조수일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0 탐라문화 Vol.0 No.65

        The study focused on the Japanese novel Homongdam(1969), which was published by Kim, Seok-beom, a Zainichi Korean writer, focusing on three aspects of “I,” a focusing a Zainichi Korean writer, and its meaning. First of al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beginning, Japan's lifestyle captured the aspects and senses of the “I” body and spirit. It was pointed out that it was linked to the futility of colonized people, who were forced to face the liberation of their homeland in Japan, which had ruled as colonist. In addition, he pointed out that flying dreams and the Korean-language novel Honggildongjeon were inevitable sanctions created by Kim Seok-beom’s first Japanese creative writing in seven years and antagonism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ubsequently, it was noted that in last night’s dream, it depicted “I” who could not think of the word ‘so-la-ge’(a hermit crab) in Korean. Through this, what was possible in the unconscious world of dreams ended in impossibility in the real world, but the dream was discussed as an surreality, not a unre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cene of the argument with journalist F, I was able to see that “I” was a person who was suffering from the sense of disconnection caused by the linguistic, ethnic, and geopolitic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Language/Japanese Language, Korean People/Japanese People, and Korea/Japan. In addition, Journalist F says Joseon, where he grew up, is his hometown, which is based on his extremely personal feelings. And for “I,” it could read that the ideological element of national community was a the biggest element. Finally, after pointing out that the memory of ‘8・15’ is reproduced by the sense of “I” at the time of recall, the tears shed from Japanese tramway in 1945 after Japan’s defeat in World War II were not uncomfortable tears, but things that expressed human sympathy for others. This work, published in 1969, raises the question of the complexities of individuals, peoples, and nations, but basically, it is a text that asks questions about what true liberation is for individuals. 이 연구는 재일조선인작가 김석범이 「관덕정」 발표 이래 7년 만에 발표한 일본어소설 「허몽담」(1969년)을 분석텍스트로 삼아, 초점화자인 재일조선인 ‘나’의 세 가지 상기와 그 의미에 초점을 맞춰 고찰함으로써 김석범의 작가의 식을 파악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작품의 모두(冒頭) 분석을 통해, 일본이라는 생활세계가 ‘나’의 신체와 정신을 주박(呪縛)하고 있는 양상과 그 감각을 포착하였다. 그것은 종주국 으로 군림해왔던 일본에서 조국의 해방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던 피식민자의 허무함과 연결된다. 또, 하늘을 나는 꿈과 한글 소설 홍길동전』은 김석범이 7년 만에 일본어로 창작하며 조선어와 일본어 사이에서 격투하며 생성된 필연적 제재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어서, 어젯밤 꿈에서 조선어로 말한 ‘소라게’라는 단어 자체를 떠올리지 못하는 ‘나’의 모습을 묘사하는 부분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꿈이라는 무의 식의 세계에서는 가능했던 것이 현실세계에서는 불가능으로 끝나버리지만, 그 꿈은 ‘비’현실이 아닌 ‘초’현실, 즉 또 하나의 현실이라는 점에 대해 논하였다. 저널리스트 F와의 언쟁 장면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나’가 조선어/일본어, 조선인/일본인, 조선/일본이라는 언어적・민족적・지정학적 차이에서 초래되는 단절감에 오뇌하는 인물로 형상화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 자신이 성장한 조선이 고향이라 말하는 저널리스트 F에게 고향이란 극히 개인적 심정이 근저에 깔린 존재인 반면에, ‘나’에게 있어서의 고향은 민족의 공동체 성이라는 관념적 요소가 큰 존재라는 점을 읽어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8⋅15’의 기억은 상기되는 시점에 있어서의 ‘나’의 감각으로 재현된다는 점을 지적한 후에, 패전한 일본의 전차에서 흘린 눈물은 결코 꺼림칙한 눈물이 아니라, 타자에 대한 인간으로서의 공감을 표상한다는 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1969년에 발표된 이 작품은 개인과 민족, 국가가 안고 있는 복잡다단한 지점들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지만, 기본적으로는 개인으로서의 인간에게 있어서 진정한 해방이란 무엇인지에 관한 질문을 던지는 텍스트라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