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자’로서의 편집자와 재일조선인문학의 네트워크 - 김석범 문학을 중심으로 -

        조수일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일본학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in the study of Zainichi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this study focus out the network of Japanese editors as the ‘reader’ and Zainichi Korean Literature. First, this study examined that around 1970, when Zainichi Korean Literature began to show their presence, Japanese society continued to protest against the anti-war civil movement and US-Japan Security Treaty, and Zainichi Korean’s works appeared in the Japanese public forum along with discrimination, hate, pollution, and Okinawa reversion. Second, it figured out that the Japanese editor’s role as a ‘reader’ was largely responsible for allowing Zainichi Korean intellectuals to show their presence in Japanese journalism. In particular, this study dealt out that in Kim Sok-pom’s works, the editor and book artist Yoshiya Tamura read The Death of the Crow(鴉の死) and provided Kim Sok-pom with network for Japanese creation. Third, this paper proposed that what is needed now is the foundation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s Kazantō(火山島, Hwasan-do) has been translated into Korean, which contains the memories of the The Jeju 4.3 Incident and those who have lived the liberation spac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through the translation and research of Hwasan-do into various languages, the task proposed to share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Hwasan-do internationally. 본 논문은 ‘독자’로서의 편집자라는 존재에 초점을 맞추어 ‘독자’로서의 일본인 편집자와 재일조선인문학의 네트워크를 추적함으로써 재일조선인문학 연구의 새로운 시좌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재일조선인문학이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한 1970년을 전후로 한 일본 사회는 반전과 반핵을 외치는 시민운동과 미일안전보장조약을 둘러싼 정치적 대립과 반목이 이어지던 상황이었고, 그러한 상황 속에서 재일조선인 문제와 그들의 사유는 차별과 혐오, 오염, 오키나와 반환 등의 사회문제와 더불어 일본어 공론장에 등장하여 존재감을 드러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둘째, 재일조선인 지식인이 일본어 공론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었던 데에는 ‘독자’로서의 일본인 편집자의 역할이 있었고, 특히 김석범 문학에 있어서는 다무라 요시야라고 하는 ‘편집장정가’가 김석범의 까마귀의 죽음 을 읽고 김석범에게 일본어 창작을 위한 장과 네트워크를 제공했다는 점을 밝혔다. 셋째, ‘독자’의 목소리를 통해, 제주4・3사건과 해방공간을 산 이들의 기억을 담은 화산도 가 한국어로 온전히 번역된 지금, 이에 대해 학제간 연구를 통해 한국어 공론장에서 그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고, 다양한 언어로의 번역・연구를 통해 국제적으로 공유해 나가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재일(在日) 지식인이 구축한 연대의 공론장 『계간삼천리』

        조수일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9 No.-

        By reviewing the pathway of “Kikan Sanzenri” (Issues 1 to 50: Feb. 1975 to May 1987), an academic journal published by Zainichi Korean intellectuals and in which they expressed their clear critical mind toward the issues of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ir home country Korea, restoration of democratization/human rights in Korea, and promotion of mutual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time and space of their foreign land, this paper examined the overall picture of this public sphere written in Japanese. In particular, while the Korean intellectuals’ articles translated and introduced in “Kikan Sanzenri” were not covered in previous researches,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m and examined what kind of stature they have in the journal. First, through division into “Special Features”, “Conversation/Round-table Talks/Symposiums”, “Serial Publication” and “Translation”, which clearly indicate the journal’s direction, the critical mind and roles of “Kikan Sanzenri” were analyzed. The public sphere “Kikan Sanzenri” is a journal which Zainichi Korean intellectuals who were inspired by the July 4 Inter-Korean Joint Statement in 1972 initiatively started publishing. Through “Kikan Sanzenri”, they aimed to write a “History of Korea-Japan Exchange” for historical agreement, through collection of various ideas and opinions by planning special features on the contemporary historical tasks of Korea and on pending issues about the Korean Peninsula and about the Japanese Islands. Also, through special features examin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Zainichi Koreans, “Kikan Sanzenri” functioned as a venue for “unity in diversity” which is a synonym for polyphony.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Kikan Sanzenri” shared its critical mind with readers through conversation, round-table talks, and symposiums. Through serial publication of articles in a wide range of fields and genres, the journal fulfilled its social and cultural roles as the public sphere. In particular, by focusing on “Seoul Report” written by K・I. and Yasuhiro Maeda, this paper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is “another series.” The articles by K・I. and Yasuhiro Maeda, which sought to reveal the truth hidden in the politics between Korea and Japan by taking the lives and voices of the Korean people as their own,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onvey the overall picture of the times in solidarity with oppressed Korean intellectuals including Chi-ha Kim who expressed the importance of political imagination and creativity, as well as workers, and Zainichi Korean students. Finally, this paper focused on the articles by Korean intellectuals translated and introduced on “Kikan Sanzenri.” “Kikan Sanzenri” introduced the practice of intellectuals who wrote articles by diagnosing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and diagnosing the crisis situation in Korea, where human rights were being violated and freedom of speech was deprived of. This paper identified that “Kikan Sanzenri” tried to further strengthen its sense of purpose through this, and that the spirit of the times contained in the intellectuals’ voices transcending time and space from Korea functioned as a reason to urge contemporary Zainichi/Japanese people to self-reflect their attitudes toward the reality and history in which they are placed. The movement of “Kikan Sanzenri”, which gathered the voices of all social classes while accompanying practice, is worth noting as a historical record and deserves further discussion in that, in this era of ongoing hostility typified by anti-Japanese and anti-Korean sentiments,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 history of Korea-Japan exchange and to look into its significance in the present time. 본고는 재일 지식인들이 이향의 시공간에서 조국의 평화통일과 한국의 민주화/인권 회복, 한일 간 상호이해와 연대 도모라는 뚜렷한 문제의식을 피력하며 만들어낸 계간삼천리 (전50호, 1975.2-1987.5)의 도정을 검토함으로써, 이 일본어 공론장의 전체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계간삼천리 에 번역・소개된 한국 지식인의 글은 선행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았는데, 여기에 주목하여 그것이 이 잡지에서 어떠한 위상을 갖는지 검토했다. 우선 잡지의 방향성이 잘 드러나는 특집, 대담/정담/좌담회, 연재, 번역이라는 범주를 통해 계간삼천리 의 문제의식과 역할을 분석했다.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에 촉발된 재일 지식인들이 주체적으로 시작한 계간삼천리 라는 공론장 만들기는 동시대 한국의 현대사적 과제,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현안에 대해 특집을 기획하여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하여 역사적 합의를 위한 ‘한일교류사’를 쓰고자 했고, 재일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들여다보기 위한 특집을 통해 ‘다양 속의 통일’=폴리포니의 장으로 기능했다는 점을 밝혔다. 또, 계간삼천리 는 대담/정담/좌담회를 통해 독자들과 잡지의 문제의식을 공유한 점도 특기할 만하며, 폭넓은 분야와 장르의 글을 연재함으로써 공론장의 사회문화적 역할을 다했다. 특히 K・I와 마에다 야스히로의 ‘서울 리포트’에 주목하여 그 ‘또 하나의 연재’가 내포하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한국 민중의 생명과 목소리를 자기 것으로 삼으며 한일 간 정치에 감춰진 진실을 드러내고자 한 K・I와 마에다의 글쓰기는 정치적 상상력과 창조력의 중요성을 피력한 김지하를 비롯한 탄압 받는 한국의 지식인과 노동자, 재일 유학생 등과 연대하며 시대의 총체상을 담았다는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계간삼천리 가 번역・소개한 한국 지식인의 글에 주목했다. 분단된 한반도와 인권이 유린당하고 언론의 자유가 박탈되는 한국의 정황에 대해 위기 상황을 진단하며 글쓰기를 한 지식인의 실천을 소개한 계간삼천리 는 이를 통해 잡지의 목적의식을 더욱 견고히 하고자 했고, 한국의 시공간을 초월하여 전달되는 그들의 목소리에 담긴 시대 정신은 동시대 재일/일본인에게 자기가 놓여 있는 현실과 역사를 대하는 태도에 자성을 촉구하는 사유로 기능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천을 동반하며 다층의 목소리를 모은 계간삼천리 의 운동은 반일과 혐한이라는 단절의 길을 걷고 있는 현재에 있어 한일교류의 역사를 발굴하고 그것의 현재적 의미를 들여다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 있어 사료로서 주목할 가치가 크며, 더 논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제국 시대의 탈식민 주체 되기 - 재일(在日) 지식인 김석범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

        조수일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3 일본학 Vol.59 No.-

        This paper attempted to derive Kim Sok-pom’s attitude and thoughts on the symptoms of the post empire by reviewing the continuity of the post empire and the multi-layered cultural power and relationship network through the writing of Kim Seok-beom, a Korean-Japanese writer. First, Kim Sok-pom says that the idea and memory of post-emperial national education created by multi-layered movement and antagonism are the key elements of the decolonization movement, visualizing the symptoms of the cultural power of imperial Japan. Second, Kim Sok-pom presented a way for decolonization by embodying the continuation of emotional sensations as a symptom of the post-emperial transplanted into the mind and body of the decolonized by the cultural power of imperial Japan. Kim Sok-pom emphasizes that in order to achieve true de-imperialization, it is necessary to take infinite responsibility and restore the nation as a consumer, but also raises alarm about the arrogance of the emotional sense imprinted on the colonists. Third, Kim Sok-pom repeatedly reproduces Jeju April 3 Tragedy, which shows symptoms of the post-imperial empire, such as suppression and concealment of memories in the space and time of old-fashioned folklore after the depression, and in the process, he shows the attitude of writing to seek physiological energy as a reaction to cultural power latent in the unconscious. 본고는 재일조선인 작가 김석범의 글쓰기를 통해 포스트제국의 연속성, 다층의 문화권력과 관계망을 검토함으로써 포스트제국의 증상을 대하는 그의 자세와 사상을 도출하고자 했다. 첫째, 김석범은 다층적 이동과 길항의 상호작용으로 생성된 포스트제국의 민족교육을 둘러싼 탈식민화 운동에 깃든 사상과 그 기억을 문자화함으로써, 제국일본의 문화권력이 변종적으로 소생하는 증상을 가시화하고 이 과정에 있어서의 전유와 연루에 대한 청산이 탈식민화 운동의 요체라 말한다. 둘째, 김석범은 제국일본의 문화권력에 의해 피식민자의 심신에 이식된 포스트제국의 증상으로서의 정서적 감각의 지속을 형상화하며 탈식민 주체화를 위한 길을 제시했다. 김석범은 진정한 탈제국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무한대의 책임을 지겠다는 자성과 소여로서의 민족 회복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면서도, 피식민자에 각인된 정서적 감각의 오만함에 대해서도 경종을 울린다. 셋째, 김석범은 탈제국 후 구식민지의 시공간에 나타난 기억의 억압과 은폐와 같은 포스트제국의 증상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제주4・3을 반복적으로 재현하는데, 그 과정에서 무의식에 잠재된 문화권력에 대한 반작용으로서의 생리적 에너지를 모색하는 글쓰기의 자세를 보여준다.

      • KCI등재

        가이코 다케시(開高健)의 「패닉」에 나타난 전후 일본에 대한 비판 의식

        조수일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0 비교일본학 Vol.49 No.-

        본 논문은 농밀하고 파괴력 있는 문체로 견고한 허구의 세계를 구축한 작가로 평가받는 가이코 다케시의 데뷔작 「패닉」을 현재의 시점에서 재독(再讀)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 한다. 무엇보다도 동물의 집단적 에너지 방출은 인간세계에 대한 우화이며, 조직과 개인의 관 계망을 재현한 작품으로 읽혀왔던 「패닉」을 전후 일본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작품이라는 관 점에서 고찰하였다. 우선 인간과 동물, 인공과 자연의 경계를 독자에게 명확히 인식시키며 전개되는 이 작품은 이분법적 잣대를 해체하고 종차별주의를 초월하는 독해를 요구하며, 인간세계를 위협하는 쥐 떼가 곧 인간세계의 기표라는 점을 분석하였다. 또, 「패닉」은 동시대 일본의 정치・사회의 어 둠을 묘사하는 데 있어서, 특히 관료제와 정치인들의 시의적절치 못한 언행과 부정부패에 관 한 묘사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내실 없는 근대주의에 대해 날 선 비판을 가한다. 마지막으로 쥐떼로 인한 인간세계의 패닉을 일종의 재난으로 간주하고, 이 재난에 대처하는 방법에 관한 묘사는 제국 일본의 전쟁이 초래한 비극과 아픔, 가해와 피해의 기억을 동시대 일본의 독자 들에게 상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 이 작품이 궁극적으로 담고자 한 것은 재난과 캐피털리즘이 만들어내는 모순과 사회적 약자들의 목소리이며, 이에 대해 윤리 적으로 응답하는 힘의 중요성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Kaiko Takeshi’s debut work, Panic, which is said to have built up a strong fiction world with a dense and destructive style. In this work, the release of animals’ collective energy is a fable of the human world. It has been also read as a story that reproduc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and individual. Nevertheless,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work as a metaphorical criticism of postwar Japan. First of all, this work, which makes clear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artificial and natural, breaks down these binary confrontations, seeks a reading that goes beyond speciesism, and analyzes the observation that the swarm of mice threatening the human world symbolizes the human world. Next, this work sharply and satirically portrays the darkness of the contemporary Japanese political society, but it focuses on depictions of corruptions, especially, those made by bureaucrats and politicians in untimely manner to give a strong criticism of modernism without substance. Finally, this paper argues that the work sees the panic of the human world caused by a flock of mice as a kind of disaster and in describing the response to this disaster functions as a reminder of the memories of tragedy, pain, harm and damage brought about by the war of Imperial Japan. In addition, this paper aims to capture the point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 work is to present the contradictions created by the disaster and capitalism and the voices of social underdogs and argue that the force to respond ethnically is of utmost significance.

      • KCI등재

        하라 다미키(原民喜)의 「여름 꽃(夏の花)」 연구 ―히로시마의 피폭 체험을 형상화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조수일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일본학연구 Vol.60 No.-

        DengThis paper contemplated on Summer Flowers(夏の花), a representative literary work of Tamiki Hara that illustrates his radiation exposure from the atomic bombing of the U.S. Forces. He does so by showing a clear contrast between usual and unusual and between the living and dead, and by using novelistic expressions that guide readers to ceaselessly perceive time and space of the literary world. First, paying attention to why the opening of the work is dated August 4, 1945, the work is compared with records explaining the air raid situation at the time. The comparison reveals that the time setting and actions of the protagonist, ‘me,’ are inevitable settings arranged meticulously and elaborately based on the historical time. Next, ‘silence’ of the protagonist, ‘me,’ is pointed out to be a symbol of the reality that represents the impossibility of response rather than a deliberate omission of communication by the author. Lastly, the expressive behavior of the author imprinting the movement line of ‘N’ and ‘me’ on the text is analyzed as a function that makes readers draw space in the literary world while checking the map of Hiroshima in their time and space. 본 논문은 하라 다미키의 문학세계를 대표하는 「여름 꽃」이 미군의 원자폭탄 투하에 의한 자신의 피폭 체험을, 일상과 비일상/산 자와 죽은 자의 극명한 대비를 보여 주는 방법과 독자로 하여금 작품세계의 시간과 공간을 끊임없이 의식하게 하는 소설적 표현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우선, 작품 서두는 왜 1945년 8월 4일로 설정되어 있는지에 주목하여, 당시의 공습상황이 기재되어 있는 기록물과 대비하여, 그 시간 설정과 주인공 ‘나’의 행동은 역사적 시간을 바탕으로 매우 섬세하고 세밀하게 구성된 필연적 설정이라는 점을 밝혔다. 이어서, 주인공 ‘나’의 ‘무언(無言)’은 작자에 의한 인위적인 커뮤니케이션의 결락이 아닌 응답불가능성의 상황을 가리키는 리얼리티의 표상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N’과 ‘나’의 동선을 텍스트에 각인하는 작자의 표현행위는 독자로 하여금 독자의 시공간에서 히로시마의 지도를 확인하며 작품세계의 공간을 그려나가게끔 하는 수행적 기능으로써 작동한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金石範「糞と自由と」論―知識青年の「敗北」と「糞まみれの自由」の意味をめぐって―

        조수일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8 일본학 Vol.47 No.-

        The novel Feces and Freedom(1960) of the Korean Japanese writer Kim Seokbeom is a story set on the chrome mine in Hokkaido in the colonial period, developing closely to an inner thinking of the Korean youth(Seong, Taeil) who was drafted.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of “defeat” in Taeil who can also be referred to as a young elite and “freedom covered with feces” which he pursued, with the work as an analysis target. First of all, this paper showed the beginning is to fulfill the function of involving the reader in questioning the space time of the story being developed and characters's subjectivity, through the writer’s narrative strategy that the reader actively getting involved in the narrative situation.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d that the reader can read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characters’ internal thinking not being portrayed, through grasping Japanese workers who is as a blank and the delay information. Second, it focused on the history and role of the Korean executive Yasukawa, analyzed his ambivalent feeling and a manipulation of writer to evoked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Kyowakai”. Finally, this paper showed that narrative mechanism what Taeil tasted double “defeat”, on account of nonelite called Yongbegi, on the basis of Taeil’s image. In addition, this paper showed that “freedom” what requested by Taeil is that oneself who does not rule someone and is not dominated by someone, and desire for regaining the subjectivity from oblivion of the subject and submission. It is the theme of this novel that “freedom” must pursue even when becoming “covered with feces”. 在日朝鮮人作家である金石範の1960年作「糞と自由と」は、植民地期における北海道のあるクローム鉱山を舞台とし、徴用された朝鮮人青年・成太一の内面に寄り添って展開される物語である。本稿は、その「糞と自由と」を分析対象とし、知識青年とも言える主人公の「敗北」と、彼が追い求めた「糞まみれの自由」の意味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まず、作品の書き出しは、読者を物語世界に積極的に組み入れる表現の仕組みを通じ、これから描かれる物語の時空間や作中人物一人一人の主体性の内実を問うことに読者をかかわらせる機能を果している点を明らかにした。また、読者は空白として浮き彫りになる日本人労働者や遅延される情報を捉えることで、物語世界の構造や描写されていない作中人物の内的思考を読み取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ことを示した。次に、朝鮮人幹部である康川の来歴と役割に注目し、彼のアンビバレントな感情や「協和会」の歴史性を喚起させる書き手の操作を分析した。そして、主人公の来歴や歴史そのものをせり出す地の文をとりあげ、史実に照らし合わせながら、周辺人物と対比される知識青年としての主人公像を捉えるための検討を行なった。最後に、主人公が味わう「敗北」は、馬鹿正直な龍白という人物によってもたらされ、創氏改名をめぐる龍白のあり方の想起によって、その「敗北」が二重化される構造を捉えた。さらに、主人公が「糞まみれ」の状態で追い求めた「自由」の意味について考察したが、本稿では、誰かを支配せず誰かに支配されない「軀」、ひいては主体の忘却や屈従から主体性を取り戻すことへの欲望を「自由」として位置づけ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