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적자원개발의 관점에서 본 이명박 정부의 조직개편 과정

        조성주(Cho Sung Joo),이희수(Lee Hee Su)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2

        그동안 수 십 차례에 걸쳐 크고 작은 정부 조직개편이 이루어졌으나, 개편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려요인에 대해서는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인적자원개발의 관점에서 정부조직개편 초기 과정을 분석하였다. 경영협력자, 문화적합성 평가자, 통합준비 평가자, 통합협상가 등의 역할을 규정한 McIntyre의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는 조직통합의 성공확률을 높이기 위해서 인적자원개발 관점의 접근이 유의미함을 보여준다. 둘째, 이명박 정부의 조직개편 사례는 통합조직 간 문화적 적합성에 대한 사전검토, 구성원과의 의사소통, 통합이후 인력개발 계획수립 등의 측면에서 아쉬움이 있다. 셋째, 향후에는 문화적 특성에 대한 깊이 있는 사전분석, 종합적 의사소통 계획의 수립·실행, 장기적인 인력개발 방안의 수립 등이 정부조직개편 초기단계에서부터 논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agency mergers i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is will contribute to effective analysis of what to be considered for successful agency mergers in the public sector. I applied McIntyre's model to analyze the involvement and role of HRD during the initial process of the four phases like planning, due-diligence, negotiation and integ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vious researches show that the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HRD was useful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agency merger. Second, it was not easy to find any previous considerations on the cultural fits among the merged organizations, 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employees of the merged organizations and the long-term plans on the HRD or competence development for integrated organizations. Third, the role and perspective of HRD in the government agency mergers needs to be highlighted, especially even before the final decision on the agency mergers.

      • KCI등재

        의식을 포함하는 감성디자인 사례연구

        조성주(Sung Joo Cho),이경아(Kyung Ah Lee),나건(Ken Na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현대 산업의 구조는 소비자의 요구가 질적 양적으로 다양화됨에 따라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또 고객맞춤형 생산방식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켜주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개성을 상품을 통해 반영해 주어야만 하고, 감성의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감성이란 내ㆍ외부 자극에 의한 인지과정에 경험이나 기억이 참여하여 만든 정서 상태이다. 하지만 감성이라는 용어는 연구하는 학문에 따라 다양한 정의 및 해석이 공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자들의 감성과 감정에 대한 정의를 재정립하고 체계화 해석하여 감성을 ‘Emotion’으로 감정을 ’Sensibility’로 정의 하였다. 감성은 인지과정에 도달하기 전에 첫 느낌으로 형성되기도 하고, 인지과정의 결과로 발생하기도 하는 여러 가지 반응에 대한 종합체이다. 본 논문에서는 감성의 정의, 구성요소 그리고 감성형성과정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의식과 감성 그리고 경험의 관계에 대하여 종합해 보고 각 단계의 긍정적 수준이 의식→기능→감성→경험→의미로 전이되는 C-FEEMmodel(의식-감성, 경험모델)이론을 정립하였다. 감성은 상품의 무의식적 기능과 의식적 기능에 의해 형성된다. 무의식적 기능이란 상품의 첫인상과 관계하는 것으로 그 원인을 파악하기 힘들다. 알레시(Alessi)사의 제품들은 보는 순간 사람의 감성을 자극하고 제품의 기능은 의외성으로 표현된다. 또 의식적기능이란 사용성과 유용성과 관계하는 것으로 사용하면서 느끼는 감성과 관련이 있다. 상품의 의식적 기능에 의해 감성을 형성하는 대표적인 예로 i-Phone을 들수 있다. 사용자들은 i-Phone의 완성도와 사용편리성 그리고 사용자를 배려한 시스템구성 등에 의해 놀라고 그 매력에 빠져든다. i-Phone은 현재 스마트폰의 고유의 기능을 뛰어넘어 사용자에게 새로운 가치와 의미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논문과 문헌조사 등을 통한 사례연구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제품 및 서비스 등으로 하였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양화, 다변화 되고 있는 현대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의식-감성, 경험모델을 이용해 상품의 무의식적 기능과 의식적 기능적 측면에서 감성요소를 추출하여 감성디자인 프로세스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It has been changing from the small quantity mass production to the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and then to the single varieties of a single production in modern industry. This change shows an evidence of diverse needs of customers. In order to satisfaction of customers’ needs, product needs to be reflected customers individuality and a systematic study of emotion is needed. Emotion is the affect state by a cognition process from internal and external stimuli that an experience and a memory participated in. but there are various definitions and interpretations of emotion according to kinds of studies. The definitions of emotion and Sensibility by preceded researchers are reorganized in this research. Emotion cognitive processes before reaching the first impression is formed and that may occur as a result of a cognitive process, several reactions for the synthesis. This research shows the definition of emotion, component, and the process of emotion formation. Furthermore, the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theory of Consciousness-Function, Emotion, EXPERIENCE, Meaning(C-FEEM)model. Emotion is formed by the unconscious and conscious functions of the products. Unconscious function relate with first impression of the product and it’s difficult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unconscious function. Alessi``s products stimulate people``s emotions when you see and function is represented by the unexpectedness. Also conscious function relate with usability and usefulness. i-Phone is an example of a emotion formed by conscious function. Users surprise and indulge in the charm through perfection, easy of use and user friendly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ase study through research papers and literature search. The subject of study is products and services. The result of study will be a basic data to establish an emotional design process for satisfaction of the rapidly changing needs of consumers through finding the emotional factors and using C-FEEM model.

      • KCI등재

        3D 푸드 프린트의 디자인 개발을 위한 조형 콘셉트 제안 - 초콜릿 3D 프린터 개발 방향성 설정을 중심으로-

        조성주 ( Cho Sung Joo ),정의영 ( Jeong Ui Yeong ),박준홍 ( Park Jun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3D 푸드 프린터의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성을 설정하고 그에 알맞은 조형 콘셉트를 종합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범위는 푸드테크 분야의 3D 프린터의 특성을 잘 표현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된 초콜릿 3D 프린터를 중심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총 3가지 단계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는 관련 문헌조사와 이론적 고찰로서 최근 5년 사이 푸드테크 중심의 3D 프린터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푸드테크 중심의 3D 프린터 그리고 초콜릿 3D 프린터의 정의와 종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두 번째는 초콜릿을 주재료로 하는 3D 프린터의 내·외부 환경 요인들을 SWOT기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제품개발의 방향성 설정 지표를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종합하여 초콜릿 3D프린터의 개발 방향성을 설정하고 소비자 평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조형 콘셉트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초콜릿 3D 프린터의 디자인 방향성은 여섯 가지로 첫째 기계적 이미지의 탈피, 둘째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 셋째 시선을 끌 수 있는 조형요소 고려, 넷째 고급스러운 이미지 구성, 다섯째 쉬운 사용방법의 전달, 여섯째 기능의 우수성 강조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한 조형요소의 방향성은 다섯 가지로, 첫째 상/하 비대칭형, 둘째 라운드와 경사면 형태 활용에 의한 긴장감 조성, 셋째 고급소재의 적용, 넷째 기능의 시각적 표현, 다섯째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구성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시장형성 단계에 있어 제품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초콜릿 3D 프린터의 개발방향과 조형 콘셉트 설정을 위해 진행되었으므로 많은 수의 소비자 조사를 하지 못한 연구의 한계가 있다. 하지만 현재 초콜릿 3D 프린터는 본격적인 시장 출시를 앞둔 시기이므로 연구의 결과가 3D 푸드 프린터에 관련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고 초콜릿 3D 프린터의 개발 방향성 설정에 새로운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a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design of 3D food printers and to present the appropriate formative concept.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set around chocolate 3D printers, which were frequently researched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3D printers in the food technology field, an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three stages. The first is a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review. In the past 5 years, we have reviewed foodtech-centered 3D printer prior studies, and analyzed the definition and types of foodtech-centered 3D printers and chocolate 3D printers. Secon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3D printer using chocolate as the main material were analyzed(SWOT) and the direction setting indicators of product development were studied and established. Lastly, the third, by combining the research, se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hocolate 3D printer and proposed a new modeling concept based on consumer evaluation. The design direction of the chocolate 3D printer derived through this study is six factors. The first, mechanical image, second provide new experiences to consumers, third consider the formative elements that can draw attention., fourth luxurious image composition, fifth easy delivery of usage, sixth emphasis on excellence of function. The first up/down asymmetry, second round and the inclination by using the inclined shape, third application of advanced materials, fourth function visual expression, and fifth intuitive interface compos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hocolate 3D printers where product identity was not established and the formative concept in the stage of market formation.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of studies that failed to conduct a large number of consumer surveys. However, as the current chocolate 3D printer is about to enter the market in earnest,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ll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the 3D food printer and can be a new basic material for set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hocolate 3D printer.

      • KCI등재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통한 항공기내 서비스 개선을 위한 연구

        조성주(Sung Joo Cho),나건(Ken Na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글로벌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신속하게 먼 거리를 이동하는 사람들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항공기는 신속함을 앞세워 최적의 이동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항공 서비스초기에는 항공사들이 단순히 이동에 대한 가치에 집중을 하였지만 고속철도 등 다양한 교통수단이 생겨나고항공사 간에 경쟁이 치열해 짐에 따라 이동의 가치이외에 승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에 대한 가치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논문, 단행본 그리고 전문 서적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항공기 서비스에 대하여 정의하고 승객들과 승무원들(승객 50명, 승무원 50명)의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항공기내 서비스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발견(Discover) 및 정의(Define) 단계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분석을 해 본 결과 기내환경에서 각종 서비스를 위해 활용하는 트롤리(Trolley)로 인한 문제점이 발견되었는데 난기류에 의해 기체가 흔들릴 때는 승객들과 승무원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기내 서비스 시에는 통로를 막아 승객들에게 불편을 초래한다. 또 다른 문제점은 기내식 서비스 후반부에 발생하는데 승객들이 원하는 음식을 재고의 부족으로 인해 제공받지 못하는 것이다. 이는 승객들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승무원들에게도 난처함을 유발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Develop)단계에서는 브레인스토밍과 유저시나리오기법을 통해 두 가지 해결안을 도출하였는데 첫째, 승객들이 탑승 후 원하는 기내식을 선주문할 수 있는 사전주문 시스템(Pre-Order System)을 고안하였다. 이로 인하여 승객들은 자신의 요구에 맞는 기내식을 서비스 받을 수 있고 승무원들은 대기실에서 주문을 받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상하로 엘리베이팅 되는 트롤리 시스템을 적용하여 기내 서비스 시 통로를 지나가야 하는 승객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긴급 상황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해결안을 항공기 내부 환경에 매핑(Mapping)하여 아이디어의 타당성을 평가하여 보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비행기라는 특수성에 의해 사용자 평가를 실제 환경에서, 1:1스케일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을 사용하여 진행하지 못하고 디자인 렌더링(Rendering)으로 대체한 연구의 한계성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해결안들을 항공기 서비스에 적용하여 좁은 환경에서 불편하게 여행하던 승객들과 근무환경이 열악한 승무원들의 만족도를 조금이나마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modern society with increased globalization, demand of transportation for long distance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such time period, airplane placed itself as the optimum means of transportation with its speed. At the beginning of airplane service, the airlines had simply focused on the value of movement but the significance has been transferred from value of movement to value of various services that satisfy passengers since high-speed railway has appeared and the intense competition among airline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using literature research (Theses and Books...) for definition of airplane service and interviews to passengers and flight attendants(passengers : 50, flight attendants : 50). Also in this study, the idea for discovering problems of airlines service and for solving such problems is developed through service design methodology. As an analytic result of problems detected in Discover and Define step in order of priority, trolley which is use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in airplane has caused some problems. They not only act as a threat to the safety of passengers and flight attendants during turbulence, but also cause inconvenience for blocking the only passage during period. Another problem is that passengers at the latter half of in-flight meal service cannot be provided the food they want due to the lack of the inventory. This problem brings embarrassment not only the passengers but also flight attendants who provide service.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solution was introduced through brainstorming and user-scenario methodology in develop stage and firstly, it designed ‘Pre-Order System’ that can preorder in-flight meal after passengers board. Owing to the system, passengers are able to be provided as they require and attendants can take orders in their waiting room, and also effectively carry out the service. Secondly, it suggests the system that improves more convenience of passengers with passing through aisle during in-flight service and prevents safety accident in emergency situation by applying the trolley system which can be elevating up and down. By exploring the research, it could be applied to the airlines and the suggestions are expected to improve satisfaction of both passengers who had to travel in cramped environment and flight attendants with poor work environment.

      • KCI등재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시 한미연합협조기구 운용방안

        조성주(Cho, Sung ju)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3 군사 Vol.- No.89

        In 2015 the wartime OPCON authority will be turned over to ROKA. After the turnover, the command arrangement and the chain of command between ROKA & USFK will be based on equal status. The combined chain of command is similar to that of the multinational forces in the Gulf War. In Gulf war, American CENTCOM was equal to Arab JOINTCOM in the command arrangement. Under the dual chain of command, the assessment on the application of Coordination organizations for unifying efforts between CENTCOM and Arab JOINTCOM was remarkably effective. CENTCOM and JOINTCOM used the Combined Coordination, Communication, Intergration Center(C3IC) and the Liaison Parties as a coordination organization. C3IC played the great role in the accomplishment of unity of efforts in the multinational operations through coordinations and adjustments. Also CENTCOM employed the large scale Liaison Parties at the adjacent and subordinate units, so that they could understand the situation of operations in realtime. Through A study on the multinational operation of coordination organization during the Gulf War, Active plan for the ROK-US combined coordination organization in near future are as follows: First, examine the documentation of the final decision authority on the combined operation between ROK-US; Second, the cooperation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permanently, and controled by the responsible deputy commanders; Third, the officers who speak English fluently and possess the military expertise should be assigned to the cooperation organization; Fourth, MC Liaison Party should be established permanently to complement the current MC to prepare for the war; Fifth, the cooperation organizations should be located in the ROKA command building or at an adjacent location and have enough space; Sixth, a thorough preparation and operation of the Liaison Party are requested in peace time and during the war.

      • KCI등재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음파 증폭 무지향성 스피커 구조 및 조형에 관한 연구

        조성주 ( Cho Sung Joo ),재영 ( Jo Jae Young ),임창환 ( Lim Chang Hwan ),정의영 ( Jeong Ui Ye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1

        산업발전과 제조혁신으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현재 거의 모든 전자기기가 소형화 추세에 있으며 휴대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통신기술과 충전기술의 발달로 여러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문서, 사진, 음악,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활용하고 있다. 현재 보급률이 급상승하고 있는 블루투스 스피커도 소형화 추세에 발맞추어 발전하고 있지만 이를 통한 음질 및 음량의 저하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스피커 유닛과 추가적인 전력 공급 없이 스피커 내부 구조의 조형적인 변화를 통하여 음파를 증폭시킬 수 있는 무지향성 스피커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공진주파수 원리를 이용한 음파 증폭 도파로를 고안하고 이를 활용한 음파 증폭 코어 구조를 설계하였다. 일반적인 전방향 스피커와 음파 증폭 무지향성 스피커의 음량을 비교 평가한 결과 가청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50Hz~10,000Hz 음역 대에서 평균 17dB 정도 높은 음량이 출력되었다. 또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사용성 평가에서는 음의 선명함과 조화로움의 항목에서는 두 스피커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음의 확산 그리고 풍부함 항목에서 코어 구조를 탑재한 음파 증폭 무지향성 스피커가 전방향 스피커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제품의 구조와 조형적 요소 변화를 통해 제품의 성능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Currently,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were brought industrial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innovation, most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got miniaturization and emphasized in portability. In addition,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harging technology, we approach various contents using device that are wirelessly connected each other in various locations. Bluetooth speakers with rapidly increasing usage rate were also being developed according to miniaturization. But those can't avoid decreasing quality and volume of sound because miniaturiza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nondirectional speakers that can amplify sound waves through changing the speaker's internal structure without additional speaker unit and electric power. For this, waveguide was devised with resonant frequency mechanism and sonic amplification core structure was designed with these waveguide.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volume of a typical normal type speaker and a nondirectional speaker with sonic amplifier resulted in more average output of approximately 17dB above the 50Hz to 10,000Hz range corresponding to the hearing range. In addition,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eakers in clarity and harmony of Sound. But, nondirectional speaker having sonic amplification structure was evaluated higher than common nondirectional speaker in diffusion and abundance of soun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to improve the product's performance level through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formative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