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쇠와 과부담의료비의 관계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조절효과

        조성은 ( Cho Sung Eun ),김수경 ( Kim Su Kyoung ),이수림 ( Lee Soo Lim ),신혜리 ( Shin Hye Ri ),박설우 ( Park Seol Woo ),( Lee Hee Yun ),김영선 ( Kim Young Su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노쇠(frailty)와 과부담의료비 간의 관계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의 수준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016년도에 실시한 치매이해능력 설문조사(2016 Dementia Literacy Survey)를 사용하였으며 총 457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쇠와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과부담의료비 간의 정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쇠할수록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이 낮을수록 과부담의료비의 수준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건강정보이해능력은 노쇠와 과부담의료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조절효과가 특히 전노쇠집단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는 영양 및 운동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노쇠 중재 프로그램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 증진교육이 함께 포함되고 강화 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취약계층일수록 과부담의료비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통해 적극적인 보장성 강화 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국노인을 대상으로 확률표집을 실시한 대표성 있는 데이터로 노쇠와 과부담의료비와의 관계 및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조절효과를 입증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The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liter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457 respondents of 2016 Dementia Health Literacy Surve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oth frailty and health literacy have positive effects on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That is, the more frail one is, or the lower health literacy one has, the bigger the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become. Secondly, health literacy has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The results which prove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increase when one belongs to the vulnerable group suggest that, firstly, the coverage of the health policy should expand. Secondly, a program promoting health literacy should be included in the intervention for the frail elderly which currently focuses only on nutrition and exercises. This is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prov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literacy on the whole frail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moderating effects of health liter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ses with the data represents the elderly nationwide.

      • KCI등재

        ICT기기 사용유형에 따른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 1인가구 고령자, 2인 이상 가구 고령자의 비교

        조성은(Sung Eun Cho)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5

        본 연구는 ICT기기의 사용여부와 사용시간량이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의 많은 연구들은 ICT기기가 고령자에게 사회적 지지, 도구적 지지를 제공해주며 삶의 만족도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ICT기기 사용을 일괄적으로 다뤄왔거나 단편적인 부분들만을 살펴봤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ICT기기 사용여부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사용시간량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ICT기기 사용유형을 사회적 ICT기기 사용과 도구적 ICT기기 사용으로 나누고, 사용자 집단을 가구구성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를 위해 통계청의 2019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5세 이상 응답자 5,654명을 대상으로 일반화된 순서형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기기의 사용은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ICT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1인가구 고령자에게는 사회적 ICT기기 사용이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2인 이상 가구 고령자에게는 도구적 ICT기기 사용이 삶의 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진다.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정보화 교육이나 프로그램은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증진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체 고령자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프로그램보다는 고령자의 가구구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 사이의 균형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port how the use of ICT devices can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Us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time-diary data from the 2019 Korean Time Use Survey, I explored 5,654 respondents who are over 65 years old. In addition to user and non-user concept, this study focuses on the exact time amount on ICT devices and its effect on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usage of ICT device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social ICT usage and instrumental ICT usage. I compare how each type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fferent cohabitant statu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CT users report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non-ICT users. The amount of time on ICT devices showed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Second, for the elderly who live alone, social ICT usage helped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who live with others, instrumental ICT usage was helpful. Thes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formatization policies for older adults. However, informatization policies would be more effective if they consider individuals’ cohabitant status and their needs for social and instrumental support.

      • 증해 추출 왕겨 분말을 혼입한 무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특성

        조성은 ( Cho Sung-eun ),조성원 ( Cho Sung-won ),김영수 ( Kim Young-su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1

        Recently, environmental problems have emerged as a major issue all over the world due to an increase in carbon dioxide(CO<sub>2</sub>). The amount of CO<sub>2</sub> generated during cement production accounts for 6% to 8% of domestic CO<sub>2</sub> emissions and a solution to reduce CO<sub>2</sub> emissions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trying to use mineral admixtures to reduce cement. Since digestion has no firing process the advantage of it is that there is no air pollution to occur.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binary non-cement mortar containing rice husk powder extracted from digestion by the ratio of 10%, 20%, 30%, 40%. As a result, the table flow was increased when the mixing rate of rice husk powder extracted from digestion was higher, and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was shown when the rice husk powder extracted from digestion mixing rate was 10%.

      • KCI등재

        형태 특징 및 분자 분석에 의한 산철쭉 흰가루병균 Erysiphe izuensis 동정

        조성은 ( Sung-eun Cho ),이상현 ( Sang-hyun Lee ),이선근 ( Sun-keun Lee ),서상태 ( Sang-tae Seo ),신현동 ( Hyeon-dong Shin ) 한국균학회 2018 韓國菌學會誌 Vol.46 No.1

        The Rhododendron powdery mildew fungus Erysiphe izuensis has been recorded throughout Asia, including China, Japan, Korea, and Russia. In Korea, E. izuensis has been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amorph found on introduced Rhododendron spp. We here describe the first identification of E. izuensis collected from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in Korea.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eleomorph as well a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the species are provided. Moreover, we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conidia and conidial surface pattern of E. izuensis for the first time.

      • KCI등재후보

        생명과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지식수준

        조성겸(Cho Sung Kyum),조은희(Cho Eun Hee) 한국생명윤리학회 2009 생명윤리 Vol.10 No.1

        결핍모델에 따르면 시민이 갖고 있는 과학지식의 수준이 과학에 대한 태도와 지지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이와 반대로 과학지식 수준이 시민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데이터를 이용해 한국인의 과학지식과 태도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2006년, 2008년에 KAIST ELSI 프로젝트(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윤리ㆍ법률ㆍ사회 함의 연구) 팀이 실시한 여론조사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생명과학에 대한 매스미디어 보도가 큰 폭으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생명과학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수준은 높아지지 않았다. 둘째 생명과학에 대한 지식수준이 생명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재 시민들은 충분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문가 의견의 영향을 받아 태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판단은 위험부분을 지나치게 경시하고 실현가능성을 낙관적으로 보게 할 수 있다. 과학기술에 대한 합리적인 사회적 수용을 위해서는 일반시민들의 지식수준을 근본적이고 균형적으로 높여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 public's level of knowledge affects public opinion on scientific issues. Analysis of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KAIST ELSI(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project team reveals several trends in public opinion. The public's level of knowledge has not been enhanced in spite of the recent increase in media coverage of scientific issues. The surveys also show that the public's level of knowledge does not affect the public's attitude. They tend to form an attitude with little knowledge and accordingly be influenced by experts' opinion. It has been also found that the public seems to underestimate the risks and has and overly positive attitude toward biotechnology. Therefore more effort is needed in order to provide the public with accurate information.

      • KCI등재

        연령집단에 따른 노인의 허약(Frailty) 예측요인 분석

        조성은 ( Cho Sung Eun ),최은영 ( Choi Eun Young ),오영삼 ( Oh Young Sam ),김영선 ( Kim Young Sun ),김성복 ( Kim Seong B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집단에 따른 허약의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를 사용하여 총 4,123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허약을 예측하는데 있어 연령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대상자를 75세 이상 85세 미만의 중 고령노인집단(n=3,373명)과 85세 이상의 초 고령노인집단(n=750명)으로 분류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중 고령노인집단에서 전 허약노인과 허약노인은 각각 1453명(약 43%), 1,268명(약 37%)으로 나타났으며, 초 고령노인 집단에서 전 허약과 허약노인은 304명(약 40%), 396명(약 52%)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의 결과 건강단계에서 허약전 단계로 진입하는 예측요인은 중 고령노인집단에서는 여성, 낮은 교육수준, 많은 만성질환, 낙상 유경험자,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허약 전 단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초 고령노인집단은 여성, 높은 우울, 낮은 사회활동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허약 전 단계에서 허약 단계로의 진입을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중 고령노인집단은 여성, 높은 연령, 미취업, 많은 만성질환, 낙상 유경험자,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유의한 변인이었으며, 초 고령노인 집단은 높은 연령, 많은 만성질환,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연령의 세분화와 다각적인 요인의 접근으로 허약의 예측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예측요인은 추후 허약에 대한 다각적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frailty in different age groups. To address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2014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SLCE). In the research model, 4,123 older adults aged 75 and older were included from the SLCE. All participants were subdivided into two age groups based on their age; the young old group (75-85) and the old-old group (85+). The young old group consisted of 1,453 (43%) pre-frail older adults and 1,268 (37%) frail older adults; the old-old group consisted of 304 (40%) pre-frail older adults and 396 (52%) frail older adults. Ou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 the young-old, being female, lower levels of education, having more chronic diseases, having fall experience, higher depression, lower cognitive functioning significantly predicted transition to pre-frailty from non-frail status. In the old-old, being female, higher depression, lower level of social activ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other hand, predictors of transition to frailty from pre-frail status in the young-old were being female, higher age, being unemployed, having more chronic diseases, having fall experience, higher depression, lower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old-old, predictors of transition to frailty from pre-frail status were only higher age, having more chronic disease, higher depression, and lower cognitive functioning.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in the making of strategies for preventing frai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