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이양문록>에 구현된 ‘첫눈에 반하는 사랑’의 양상과 의미

        조광국 국문학회 2010 국문학연구 Vol.0 No.22

        The aspects of the love at first sight are represented in Yuiyangmunlok. They are classified as follows : the case ⑴; male-and-female's the love at first sight, the case ⑵; only male's the love at first sight, the case ⑶; only female's the love at first sight. The case ⑴; male-and-female's the love at first sight. This case is divided in two tiny cases. One is the couple of a man of virtue and a woman of virtue, the other is the couple of a vigorous man and a woman of a tender feeling. The case of the former, an arranged marriage is embodied generally in a saga novel, but a love marriage is embodied in Yuiyangmunlok. The case of the latter, the love at first sight is approved from the first beginning, and supported by a woman of virtue. And somewhat variation of the case of the latter is embodied through out of matrimonial ties preordained by Providence. The case ⑵; only male's the love at first sight. This case is combination of a vigorous man and a woman of virtue. A conflict between the wife’s father and a son-in-law, and a conflict between father and son are embodied, and then a conflict between a love marriage and an arranged marriage are embodied through out, finally on one hand a love marriage obtain happy ending, on the other unhand happy ending. The case ⑶; only female's the love at first sight. two-type couples are embodied. One is the couple of a man of virtue and a woman of a sexual passion, the other is the couple of a vigorous man and a woman of a sexual passion. However a woman of a tender feeling are not accepted. Man's love at first sight is acceptible, however woman's love at first sight is acceptible. Nevertheless woman's love at first sight leave spaces; a royal princess had a new lover, and beared a his child. In short, Yuiyangmunlok has the affirmative sight on the love at first sight. the love at first sight. The attainment of the love at first sight in Yuiyangmunlok had an effect on the disclaim of an arranged marriage and the inspiration of free love in the ending of 19century and the beginning of 20century.

      • KCI등재

        < 주생전 > 과 16 세기 말 소외양반의 의식 변화와 기녀의 자의식 표출의 시대적 의미

        조광국 한국고소설학회 1999 古小說 硏究 Vol.8 No.1

        <Jusaeng-Jeon> is one of the few Yi-dynasty's novels that end in a tragedy. The tragedy appears through tow aspects. One of the tow aspects is examined in the life of Juseang. He shows the wandering psychology that changes from the consciousness of getting employment in a government to the consciousness of epicurism, and from the consciousness of epicurism to the consciousness of warm affection. Nevertheless, at last his desire of warm affection is frustrated. The other of tragic aspects is examined in the life of Baedo. She has self consciousness. She has two desires ; one is realization of warm affection toward her lover, and the other is being high in social status. But her hopings are broken down, too. <Jusaeng-Jeon> shows the mental pressure and the social fetters through Juseang and Baedo. Juseang is one of 'the falling alienating Yangban(疎外兩班)'. Baedo who is one of 'the Kysaeng(妓生)'. The tragic feature of <Jusaeng-Jeon> reflects the social situation of Korea in the late 16 century.

      • KCI등재후보

        <임화정연>에 나타난 家門連帶의 양상과 의미

        조광국 한국고전문학회 2002 古典文學硏究 Vol.22 No.-

        On Features and Meaning of the Some Families Coherence in the Novel Yim-hwa-jeong-ye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씨남정기>의 사정옥 : 총부(冢婦) 캐릭터- 예제(禮制)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

        조광국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4 No.-

        This paper aims at looking into ‘Sajeongok' who is the heroine in Sassinamjeonggy, that is, the ‘Chongbu(冢婦)’ character. From the earliest days in Joseon Dynasty, passing through the 16th century, to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he laws in 『Chujagarye(朱子家禮)』 had been further expanded. Seopo(西浦) set up the rituals of three ancestral(三代奉祀), Chinyoungrye(親迎禮), the succession by son of a concubine(妾子承繼) and Chongbu Right(冢婦權) in his novel, <Sassinamjeonggi>. However, he did not fully followed the laws in <Chujagarye(朱子家禮)>. It seems that Seopo(西浦) was willing to accept the laws and realize them flexibly. And Seopo(西浦) set up ‘Sajeongok' who is the heroine in Sassinamjeonggy as the ‘Chongbu(冢婦)’, gave weight to the Chongbu Right(冢婦權). He created ‘Sajeongok' who is the ‘Chongbu(冢婦)’ as good protagonist, and established triangular relationship of ‘Chongbu(冢婦)-Patriarch(家長)-Concubine(妾)’ and made it core narrative structure. And he set patriarch(家長) to the stupid, concubine to the wicked. 여말선초에 『주자가례』 수용을 표방했지만 실제로 수용한 것은 고례(古禮)에 가까웠다. 이에 초창기부터 『주자가례』를 온전히 실시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16세기 중종조를 거쳐 17세기 말에는 논의가 심화되면서 시행 또한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그러한 흐름 속에서 ‘4대 봉사’, ‘주자4례’, ‘입후 승계의 정통론적 종법제’ 등 온전한 주자가례식 예제(禮制)가 사회 일각에서 실시되기도 했고, 그와 결부하여 ‘총부권’을 제한하는 흐름이 형성되기도 했다. 그런데 서포는 <사씨남정기>에서 ‘3대 봉사’, ‘6례친영’, ‘첩자 승계의 종법제’ 등의 예제를 설정하고 그 바탕 위에 ‘총부권의 강화’의 예속(禮俗)을 구현했다. 이는 조선 예속사의 흐름에 비추어 볼 때 『주자가례』가 획일적이지 않고 다양하고 다층적으로 수용되고 있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 와중에 서포는 『주자가례』의 온전한 실현을 기피한 것이 아니라 조선 현실에 맞게 『주자가례』를 실현하기 위하여 보다 유연한 태도를 견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사씨남정기>에서 서포는 유씨가의 누대 독자 유연수가 총부 사정옥 사이에 적자(嫡子)를 두지 못함으로써 가문 유지 및 조상 봉사(奉祀)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을 서사 전개의 발단으로 삼고, 후사(後嗣) 문제의 해결이 가시화되기까지 일련의 사태를 담아냈다. 그와 함께 서포는 유씨가의 총부 사정옥을 중심인물로 설정하여, 시고모 두부인과의 관계에서는 ‘시고모의 가독권에 대한 총부권의 제고’를, 첩실 교채란․임추영과의 관계에서는 ‘첩실에 대한 총부권 확립’을, 가장 유연수와의 관계에서는 ‘가장권에 대한 총부권 제고’를 형상화해 냈다. ‘총부[사정옥]-가장[유연수]-첩실[교채란]’의 삼각관계를 핵심적인 서사구조로 설정하고, 거기에 ‘선(善)-우(愚)-악(惡)’의 심성론을 연계하여, 총부는 부덕(婦德)을 지닌 선인(善人)으로, 그런 총부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는 가장은 우인(愚人)으로, 총부의 권위에 도전하는 첩실은 악인(惡人)으로 형상화해 낸 것이다. 요컨대 17세기 말 주자가례식 예제가 실현되어 가던 조선 ‘예제사(禮制史)’의 흐름 속에서 서포는 <사씨남정기>에서 ‘3대 봉사’, ‘6례친영’, ‘첩자 승계의 종법제’의 예제(禮制)와 ‘총부권의 강화’의 예속(禮俗)을 설정하고, 그런 상황을 주도적으로 헤쳐 나가는 주인공으로 총부 사정옥을 창출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