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설림(設林) : 2010년 검민정 6종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삼국시대 관련 서술 검토

        조경철 ( Gyung Cheol Jo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1 사총 Vol.74 No.-

        Due to the education reform and revision of texts in 2009, officially approved six High-school Korean History were approved in a month in July of 2010. Six High-school Korean History are, Milne Korean History, Beohmun Korean History, Bisang Korean History, Sanmwha Korean History, jihag Korean History and Cheanjae Korean History. Milae, jihag and Cheonjae does not mention Buddhism-acceptance of Baekjae. Six High-school Korean History do nor advert significant part of history as the Yeonglag era[永樂] of Goguryeo when two High-school Korean History advert to era of Silla. Beobmun miscites the inscription of Seven-Branched Sword [七支刀]. It is that of Japan sword. Some examples of missing or misinterpreting information are such as mentioning that Balhae was a succeed kingdom of Goguryeo and the country`s name of Goguryeo is without a coordination with Goryeo. They must have adverted to the fact that Goguryeo changed its name of country from Goguryeo to Goryeo after Pyeongyang-Transfer. Furthermore 1 would like to suggest we call Goguryeo Goryeo[高麗] or the former Goryeo[前高麗]. Thinking collectively, High-school Korean History clearly display many mistakes. Prom now and for the future, plenty of time is needed to write a textbook of a history.

      • KCI등재후보

        삼국유사의 사찰과 분포

        조경철 ( Jo Gyung-cheol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8 한국불교사연구 Vol.13 No.-

        『삼국유사』에 나오는 사찰은 사(寺), 원(院), 수(藪), 사(社), 암(庵, 嵓, 岩), 방(房) 등을 포함하여 모두 207개였다. 신라 사찰은 151개, 고구려는 4개, 백제는 8개, 가야 2개, 고려 33개, 중국 7개, 인도 2개였다. 고구려와 백제의 경우 적다고 예상은 했지만 신라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신라 사찰의 경우 중고, 중대, 하대를 거치면서 사찰 수가 증가했지만 『삼국유사』는 하대로 접어들어 오히려 줄어들었다. 신라하대 세워진 선종 관련 사찰이 실리지 않은 게 요인이다. 지역별 분포는 여건 상 신라 사찰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주, 경상도, 강원도는 사찰이 몰려있지만 전라도와 충청도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 또한 선종관련 사찰의 누락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통일 이후 신라가 백제 지역에 새로 절을 세우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고 일연의 행적과도 관련이 있다. 마지막으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사찰분포를 비교해 보았다. 『삼국사기』의 사찰 수는 54개였다. 신라가 41개, 고구려가 4개, 백제가 8개였다. 『삼국사기』에 나오는 고구려와 백제의 사찰이 적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삼국유사』의 고구려와 백제의 사찰의 개수와 같았다. This paper considered temples and their distributions of Samgukyusa. The number of temples of Samgukyusa is 207. Shilla’s temples of Samgukyusa are 151, Goguryeo 4, Baekje 8, Gaya 2, Goryeo 33, Chain 7, India 2. The temples of Goguryo and Baekje were less than expected compared to Shilla’s temples. Overall the number of temples has increased in Shilla period, the number of Samgukyusa’s temples decreased in Shilla Hadae[下代]. The Zen temples were missing.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are more small than Gyeongsang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in temples. Unexpectedly, Samguksagi left a lot of records about temples of Goguryo and Baekje compared with Samgukyusa

      • KCI등재후보

        일연 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 ― 일연의 생애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조경철 ( Jo¸ Gyung-cheol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9 No.-

        일연과 『삼국유사』에 대한 연구는 세종과 ‘한글’에 대한 연구처럼 긍정적인 입장에서만 주로 다루어졌다. 이 글에서는 일연의 생애에서 정치적 측면을 강조하였고 그 정치사상적인 구체적인 사례를 『삼국유사』에서 찾아보았다. 고려시대 승려에게는 구도와 정치가 별개가 아니었다. 특히 몽골의 침입과 몽골간섭기라는 시대적 격동기에 처한 승려에게는 더욱 더 그렇다고 생각한다. 일연은 몽골침략기에 포산에 은거하는 등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지만 삼계가 환몽이라는 걸 깨달은 한편 세속에 몸을 담아도 하나도 거리낄게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포산에서 나와 정안의 남해 정림사에 머물면서 정치와 관련을 맺게 되었다. 정안이 정계에서 퇴출되자 다시 일선에서 잠시 물러나 『중편조동오위』등을 편수하였다. 일연은 왕정복고가 이루어지자 강도의 선월사에서 주석하였고, 충렬왕의 일본 원정에 참여하기 위해 경주 행재소로 갔고, 몽골의 일본 정벌의 국제 정세 속에서 국존에 임명 되는 등 그의 행적에서 굵직 굵직한 사건이 중앙정치와 원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연의 정치사상은 『삼국유사』 ‘고조선’ 항목에서 잘 드러난다. 같은 나라이름을 구분할 때 ‘고(古)’를 붙인 건 ‘고조선’이 유일하다. ‘고’는 동양에서는 ‘상고주의’처럼 이상적인 것을 의미한다. 일연은 ‘고조선’을 이상국가로 보고 환인(제석)-환웅(천왕)-단군(인왕)으로 이어지는 불교국가로 해석하였다. 일연이 『삼국유사』를 편찬한 목적은 민족의식을 고취하여 몽골에 저항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 송나라에서 원나라로 세계의 중심이 바뀌는 시대적 격변기에 우리에 대한 자각이 일어나서 편찬한 것이 『삼국유사』이고 ‘고조선’ 항목이었다. 일연의 사상도 변화하는 시대를 이끌어가야 했기 때문에 한쪽에 치우치지 않았다. 가지산문에 속하면서도 수선사와 선월사에 머물고 지눌을 계승했다고 하고 간화선의 입장에 있으면서도 조동선이나 문자선은 물론 대장경에 대한 이해와 더 나아가 유교와 도교에 대한 이해도 깊었다. 일연 사상의 고유성과 특수성은 현실 정치에 뛰어들어 그 시대의 어려움을 여러 사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우리 역사의 자각을 통해 헤쳐 나가려고 했던 점에 있다. The study of Ilyeon and 『Samguk Yusa』 was mainly dealt with only from a positive point of view, like the study of Sejong and ‘Hangeul’. In this article, the political aspect of Ilyeon’s life was emphasized, and concrete examples of that political thought were found in 『Samguk Yusa』. For monks in the Goryeo Dynasty, composition and politics were not separate. In particular, I think it is even more so for the monks who are in the turbulent period of the Mongol invasion and Mongol intervention. During the Mongol invasion, Ilyeon took a passive stance, such as hiding in Foshan(包山). After leaving Foshan, Ilyeon became involved in politics while staying at Jeongnimsa Temple(定林寺) in Namhae of Jeongan. When Jeongan was expelled from politics, Ilyeon stepped back from the front line for a while, and published 『Jungpyeonjodongowi』(重編曹洞五位). When the restoration of the monarchy was accomplished, he stayed at Seonwolsa Temple[禪月社] of Gangdo Island, went to Gyeongju Haengjaeso to participate in King Chungryeol’s Japanese expedition, and was appointed as State honor[國尊]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Yuan’s Japanese conquest. It can be seen that a major event is taking pla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politics and the Yuan Empire. Ilyeon’s political thought is well expressed in 『Samguk Yusa』 ‘Gojoseon(古朝鮮)’. ‘Gojoseon’ is the only one that uses ‘Go[古]’ to distinguish the same country name. In the East, ‘Go’ means an ideal, like ‘sanggoism[尙古主義]’. Ilyeon saw ‘Gojoseon’ as an ideal state and interpreted it as a Buddhist state that was followed by Hwanin(Joseok), Hwanin(Cheonwang), and Dangun(Inwang). The purpose of Ilyeon’s compilation of 『Samguk Yusa』 was not to inspire national consciousness and resist the Mongols. 『Samguk Yusa』 and the item ‘Gojoseon’ were compiled after awakening awareness of us during the period of turbulent times when the center of the world changed from the Song dynasty to the Yuan dynasty. Illyeon’s thought was not biased toward one side because he had to lead the changing times. Although belonging to Gajisanmun, it is said that he stayed at Suseonsa Temple and Seonwolsa Temple and inherited Jinul. Although he was in the position of Ganhwaseon, he had a deep understanding of Jodongseon, Mukjoseon, and Mumseon, as well as the Tripitaka Koreana, and furthermore, Confucianism and Taoism. The uniqueness and specificity of Ilyeon thought lies in the fact that it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at era through a broad understanding of various thoughts and awareness of our history.

      • KCI등재

        연세대 소장 해인사 사간본 『역대연표』와 『삼국유사』 「왕력」의 비교연구

        조경철 ( Gyung Cheol Jo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3 No.-

        본 글에선 연세대 소장 해인사 사간본 『역대연표』와 『삼국유사』의「왕력」그리고 『삼국사기』의 연표를 상호 비교해 보았다. 특히 왕위 재위연수와 칭원법, 피휘의 방법, 국호를 비교해 보았다. 그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삼국유사』「왕력」은 즉위한 다음 해를 원년으로 삼는 유년칭원법이고, 『역대연표』는 즉위한 해를 원년으로 삼는 즉위년칭원법과 유년칭원법이 같이 쓰였다. 둘째, 칭원법의 구분은 재위연수에 따라 차이가 난다. 즉위한 해를 재위연수에 포함시키지 않으면 즉 1년이 적으면 유년칭원법이고, 즉위한 해와 죽은 해를 모두 재위연수에 포함시키면 즉위년칭원법이 된다. 셋째, 왕명에 간지가 병기되면 마치 이 해가 즉위한 해로 오해할 수가 있다. 왕명에 간지가병기되면 이해가 즉위한 해가 될 수도 있고 즉위한 다음 해 곧 유년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왕명에 간지가 병기되면 재위연수와 같은 주변 조건을 감안하여 즉위년칭원인지 유년칭원인지확인해 보아야 한다. 넷째, 『삼국유사』「왕력」은 피휘가 불철저하지만 피휘를 할 경우 무(武)대신 호(虎)를 쓰는 대자(代子)피휘를 하였고, 『역대연표』는 피휘가 철저하게 지켜졌고 피휘는 한 획을 줄인 결획피휘를 하였다. 다섯째, 『삼국유사』「왕력」은 고구려 대신 ‘고려’란 국호를 사용하였고, 『역대연표』는 『삼국사기』를 따라 ‘고구려’란 국호를 사용하였다. 여섯째, 『역대연표』에서는 신라의 진지왕을 누락시켰지만, 『삼국유사』는 진지왕이 주인공인 ‘도화녀와 비형랑’조를 두었다. 이상의 검토결과 『삼국유사』「왕력」과 『역대연표』가 서로 참조했을 가능성은 있지만 편찬자가 같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역대연표』는 중국, 요금원, 발해, 일본 등을 연표에 포함시켜 이전 연표와 다르게 세계사적 지평을 열어주었다. 『역대연표』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자료로 해인사 사간판본에 의해 알려진 존재다. 고려후기 대장경 연구는 팔만대장경이 위주였으나 대장경과 별도로 판각된 사간판본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 대장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article compares three Chronological Tables of Kings in the Samguk-sagi, Samguk-yusa, and the Annals of Successive Kingdoms in China and Korea [歷代年表], with a focus on the years of the King``s reign [在位年數], the ineffable rule [避諱], the principle used to define the first year of the King``s reign [稱元法], and the appellation of the nations [國號]. First, in the Samguk-yusa Wangreok [王曆]’s Chronological Tables of Kings, the King``s reign was defined with the first year of the King``s reign [踰年稱元]. In the Annals of Successive Kingdoms in China and Korea, the King``s reign was defined with the first year of the King``s reign and the second at the same time. Second, the principle used to define the first year of the King``s reign depends on the years of the King``s reign. Third, if a Ganji [干支] was appended to the King``s name table, that Ganji became the first year of the King``s reign or the second year of the King``s reign. Fourth, the Samguk-yusa Wangreok did not perfectly observe the ineffable rule [避諱], while the Annals of Successive Kingdoms in China and Korea did. Fifth, the Samguk-yusa Wangreok used the “Korea” appellation instead of “Koguryo”. The Annals of Successive Kingdoms used “Koguryo”, following the Samguk-sagi. As a result, the Samguk-yusa Wangreok and the Annals of Successive Kingdoms had different authors.

      • KCI등재

        고대 삼국의 불교와 정치

        조경철 ( Gyung Cheol Jo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4 백제문화 Vol.1 No.51

        고대 삼국의 불교수용의 의의와 관련해선 업설이 중요하다. 업설은 현실 긍정의 체제안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자신의 노력으로 더 나은 세상에 태어날 수 있다는 체제변혁적인 현실 개혁의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 불교의 수용에 대해선 직접적인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승려들은 사승(使僧)이라고 하여 국내외 정치에 큰 역할을 하였다. 불교 수용은 중국 정세의 변화, 고국원왕의 전사라거나, 왕계의 통합과 왕권의 확립, 국제무대로의 진출 등 국제정치적 성격이 강하였다. 삼국의 왕들은 자신이 왕위에 오를 때 정치적 목표와 정당성을 불교에 두기도 하였다. 고려 광개토왕, 백제의 아신왕은 왕위에 오르자마자 거의 동시에 숭신불법구복(불법을 믿어 복을 구하라)란 교서를 반포하였다. 백제는 대통사를 창건하여 왕실의 신성성을 고양시켰고 신라는 알영신화를 불교식으로 재편하여 여왕통치의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삼국은 치열한 전쟁을 치르면서 통합의 정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미륵사의 창건이나 황룡사 9층탑의 건립을 통해서 드러냈다. 한국 고대는 이 땅에 불교가 뿌리내리는 시기이기도 하였다. 국가가 불교에 또는 불교가 국가에 서로 손을 내밀면서 국가 발전과 불교의 발전을 이루었다. When ancient of Korea accepted Buddhism, they were interested in doctrine of karma. The doctrine of karma had both sides. The one of karma had the function of systemic stability to live positively. The other had the function of system reform for them to be able to be born in better world by effort of themselves. Acceptance of Buddhism was closely connected with politics. Monks called Sa-seung[使僧] who participated in diplomacy took a important role in world politics such as change of situation in China, death of King in battle, royal authority of King, advanced into the international stage. When Kings of three kingdoms of Goryeo, Baekjae and Shilla acceded to the throne, they put their political target and justification on Buddhism. As soon as King Gwanggaeto of Goryeo and King Ashin of Baekjae acceded to the throne, they proclaimed almost simultaneously a mseeage that you should believe in Buddhism and you should seek happiness. Baekjae enhanced holiness of royal family. Shilla secured justification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uk to reorganize Alyoung[閼英] myth woth a point of Buddhism. While three Kingdoms waged war each other, they show will of unification to elect Mireuksa Temple and nine-story wood Stupa of Whangryongsa Temple. Nation and Buddhism held out their hands to their partners to achieve development of them.

      • KCI등재
      • KCI등재

        이차돈의 순교연대에 대한 재검토

        조경철(Jo, Gyung-cheol)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20 No.-

        신라의 불교 공인과 관련하여 이차돈의 순교연대를 『삼국사기』 는 528년이라했고 『삼국유사』?는 527년이라고 했다. 지금은 통상『삼국유사』의 527년 설을 따르고 있다. 『삼국사기』 법흥왕의 경우 대체적으로 1년이 늦춰졌기 때문에 『삼국사기』의 528년도 1년을 앞당겨 527년으로 보아야 한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렇다고『삼국사기』 법흥왕의 모든 기록이 1년 늦추어 진 것은 아니다. 이차돈이 순교한 정확한 연대는 신라시대 알려지지 않았고 그나마 남겨있는 자료도 528년이라고 하고 있다. 『삼국사기』가 인용한 김대문의 『계림잡전』과 최치원의 『봉암사지증대사비』 에 528년이라고 했다. 하지만 고려의 『해동고승전』에서는 이차돈의 순교를 529년이라고도 할 정도로 이차돈의 순교연대는 정해지지가 않았다. 그러나 신라 말 고려시대 선종이 유행하면서 이차돈의 순교연대는 달마가 중국에 선종을 전한 사실과 맞물려 해석되었다. 달마가 중국에 온 527년을 이차돈의 순교 연대와 맞추어 해석한 것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알려진 자료에 의한다면 신라인인 김대문과 최치원이 남긴 견해를 따라 이차돈의 순교연대는 527년이 아닌 528년일 가능성이 더 높다. According to『Samguksagi』, the year of Echadon[異次頓]"s Martyrdom was A.D. 528 and 『Samgukyusa』?it was A.D. 527. It was commonly accepted that the year of his Martyrdom was A.D. 527 based on 『Samgukyusa』. They generally said that the year of 『Samguksagi』 in times of King Beopwheong in Silla w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1 year more than actual accident. But that of 『Samguksagi』 of King Beopwheong in Silla is not different from actual accident. In Silla period the year Echadon"s Martyrdom was precisely not known. In the book of 『Gerimjabjeon』 written by Kim-Daemun and the stone monument of Bongamsa-Jijengdaesabi written by Choi-Chiwon in Silla they said that the year of Martyrdom was A.D. 528. Meanwhile according to 『Haedonggoseungjeon』 even in Goryeo period exact martyrdom date was not known to say that the date of his Martyrdom is A.D. 529. But after Zen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Silla and Goryeo from China, monk Dhrama who introduced Zen Buddhism to China from India went in gear with Echadon. The date, A.D. 527, for Dharma to come to China went in gear with that of Echadon"s Martyrdom. In conclusion, according to 『Gerimjabjeon』 and Bongamsa-Jijengdaesabi it is most likely that the date of Echadon"s Martyrdom is not A.D. 527 but A.D. 528.

      • KCI등재

        백제 대통사 창건의 불교사상적 배경

        조경철(Jo, Gyung-cheol) 한국사연구회 2011 한국사연구 Vol.155 No.-

        Daetongsa[大通寺] is established by King Seong[聖王]. According to Samguk yusa, it is said that Daetong-sa was established for Emperor Muje in Yang[梁武帝]. But it is not true. Meanwhile a place of Daetong-sa is not correct. After excavation there are no remains of Baekje, But according to Hoseoeubji(18c) Daetong-bridge[大通橋] exists in Jemin stream. Maybe on the opposite side of it Daetong-sa’s Main Gate can be located. Daetong-sa is the temple to pray far the repose of King Mureng’s soul and to pray for King Seong’s son. Daetong-sa is not named by the chronological era[年號], Daetong[大通], of Emperor Muie. In fact Its name is derived from Daetong-Buddha[大通佛] in the Sutra of Rotus. Daetong-Buddha is the son of cakravartirazan[轉輪聖王]. Grandsons of cakravartirajan are Jijeok[智積] and Sakyamuni. In Baekje there are King Seong named cakravartirazan, the temple of Daetong-sa, the Sataekjijeokbi monument[砂宅智積碑] of Jijeok. Grandson of King Seong is King Beop named Sakyamuni. It is Daetong-sa that correlates the sacredness of the Royal family of Baekje as the lineage of Sakyamuni in the Sutra of Rotus.

      • KCI등재

        백제 대통사와 『법화경』 「화성유품」 신앙

        조경철 ( Jo Gyung-cheol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8

        백제 대통사는『삼국유사』에 의하면 신라 법흥왕이 대통 원년(527)양나라 무제를 위해서 웅진에 세웠다고 한다. 학계에서는 단순히 신라법흥왕을 백제 성왕으로 바꾸어 이해하고 있다. 대통을 양무제의 연호로 보았다. 필자는 예전 대통사는 무령왕의 3년 빈상이 끝나는 525년 무렵무령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운 절이고 절 이름의 대통은 『법화경』 「화성유품」의 대통불로 보았다. 「화성유품」에 의하면 전륜성왕 - 대통불[위덕세존] - 법왕/사택지적으로 이어지는데, 백제에서는 성왕 - 위덕왕 - 법왕으로 이어지고 대표적인 법화신앙자인 대좌평 사택지적이 있었다. 대통불에게는 16명의 아들이 있었고 이들은 나중에 출가하여 8방에 둘씩 16부처가 된다. 이 글에서는 양나라 무제의 ‘대통’ 연호를 따서 527년 대통사를 지었다고 하더라도 백제에서는 백제에 전륜성왕의 성왕이 있었고 불교에 돈독한 위덕왕과 법왕이 있었고 사택지적이란 인물이 있었다는 데서 ≪대통사≫가 『법화경』 「화성유품」의 대통불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았다. 백제는 대통불의 계보를 백제 왕실에 적용하여 왕권의 신성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한편 웅진시대 처음으로 연꽃 문양의 연잎 개수가 8개인 것과 16개인 것이 등장하고 사비시기 각 잎마다 2개씩 갈라진 8(x2=16)엽의 형태를 띠기도 한다. 이를 8방에 둘씩 배치된 16부처를 상징한다고 해석하였다. Baekje Daetongsa is said to have been built in Ungjin by King Beopheung of Silla in the first year(527) of Daetong era reign for the Emperor Wu of the Yang Dynasty, according to 「The Samguk Yusa」. Most People understand that King Beopheung of Silla is simply replaced with King Seong of Baekje. Daetong was regarded as the era name of the Emperor Wu. In response, I believe that Daetongsa Temple was built to pray for King Muryeong's rest in 525, when King Muryeong's three-year funeral was over, and that the name of the temple was derived from the Daetongbul of _The Lotus Sutra_ 「Hwaseong Ryupum」. According to 「Hwaseong Ryupum」, King Jeonlyunseongwang - Daetongbul [World Honored Widok] - King Seong / Sataek Jijeok, in Baekje, it leads to King Seong - King Wideok - King Beop, and there was Daejwapyeong Sataek-Jijeok a representative Beophwa devotee. It is said that Daetongbul had 16 sons, and they later became 16 Buddhas. In this article, even if Daetongsa was built in 527 after the era of Emperor Wu of the Yang Dynasty, Daetongsa was built in 527, but in Baekje, there was King Seong of Jeonryunseongwang, King Wideok and King Beop who were strong in Buddhism, and there was a person named Sataek-jijeok. By applying the genealogy of Daetongbul to the royal family of Baekje, it was intended to preserve the sanctity of the royal authority. Meanwhile, for the first time in the Woongjin and Sabi period, eight lotus leaves appeared in the lotus pattern, and each leaf splits by two, taking the form of 8(8×2). This was interpreted to symbolize 16 Buddh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