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개항 이후 목포의 공간 변화와 문화과정

        조경만(Cho, Kyoung-ma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9 인천학연구 Vol.10 No.-

        This paper deals with spatial features and their changes of Mokpo City since it had become an open port city in the early days of modernization. The author describes distribution of the ethnic groups related with spatial features and the cultural processes related with formation of the space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some urban spaces and their changes. From the early days of open port, spatial structure of Mokpo had been dual. The places occupied by Japanese were constructed under the planned design. Things representing 'civilization' and modern buildings were the symbols of the Japanese places. On the contrary the poor housing of the Korean natives and new immigrants. naturally formed, irregular features of spaces represents the places of Koreans. As time goes by, population growth and expansion of the city result in the growth of Korean commercial spaces and spatial development of streets. Even under the distinction and duality, adaptive proceed of urban life occurred. Spaces of popular culture and activities symbolize the adaptive advances.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urban spaces of Mokpo enter the other situation. The former heart places of Japanese were degraded. In return another former heart places grown in the Korean places became more vitalized. Living areas and heart areas of Mokpo were expanded more and more toward north. Ogeori, crossroad of several streets and avenues became another heart of Mokpo. it was located at the meeting point of Korean and Japanese areas. Especially, this spot has taken the function of cultural pool where literatures, artists, wandering musicians reside from the 1960s. This spot has been the ecological niche of urban people. But since the newtown Hadang was opened, Ogeori also went the underway of regression. Now it is recognized as 'old-heart' of the city. In conclusion,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 cultural processes. Since the open port period, two patterns of modern spatial structure emerged. One is planned, regular and repetitive pattern. The other is, mixed with pre-modernization elements, irregular pattern. Under the condition of limited space, cumulative or adding, introvertive dividing might have occurred. In the 1930s, expansive space patterns and vitalization in some spots expresses the development of the days. Development of commercial districts Muantong, usual crowd in the street, development of popular culture spaces tell the vitalization. After the liberation, crowd in Ogeori. people's casual drop-by in the coffee shops, active cultural activities tell the vitalization too. More over it was the ecological niche of urban life. But since the 1990s the newtown Hadang has shown amenity, convenience and regularity of spaces. These features or patterns have been contrsted with old, complicated patterns of old city. In these changes the cultural elements of harbor and ocean have become more and more marginalized. Uniformity of space realized in Hadang has become more and more central them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회적 존재와 사회관계 표현으로서의 몸,춤,풍물

        조경만 ( Kyoung Mann Cho ) 한국무용기록학회 2008 무용역사기록학 Vol.15 No.-

        풍물은 복합적 예술형태로서 그 안에 이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몸동작, 춤, 음악, 의례적 행위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몸동작, 춤, 그리고 이것들을 포괄하는 풍물의 전체적 진행을 다룬다. 이들의 형식적이고 외형적인 사실 및 과정이 서술되어있다. 또한 이것들을 통해 표현되는 사람들의 사회적 존재 및 사회관계가 해석되어있다.본 논문은 두 곳 사례를 중심으로 한 민족지(ethnography)적 연구이다. 2장은 1980년대 초 충남 부여군 초촌면 추양리에서 수집한 사례를 다루었다. 몸, 춤, 풍물을 작동시켰던 과거의 두레 관행이 주요 대상이다. 1980년대 조사 당시 제보자들이 기억했던 1940년경의 관행이다. 두레 관행 속에서 나타난 농민의 사회적 존재 표현을 다루었다. 농민들이 공유한 특유의 관행적 행위들을 통해 노동 효율성을 넘어 향유의 장(場)을 전개하고, 농민집단 간의 위세 과시와 소통을 추구하는 과정들에서 그들의 사회적 존재 표현이 나타난다. 3장은 2007년부터 현재까지 전남 해남군에서 활동하는 연희자들과의 비공식적 면담과 현장 관찰을 통해 수집한 사례를 다루었다. 현장에서 사람들이 연행을 계획하고,수행하고, 의미를 부여하고, 연행을 통해 지역사회 연대를 새롭게 형성하려는 시도가 나타나는 사례이다. 예를 들어 해남 연희자들은 과거 미황사 연희자들의 탁발(托鉢)과 바다에서의 죽음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재해석한다. 이에 근거하여 지역방문을 새롭게 실행한다. 또한 풍물 연희에 담긴 통과의례를 재해석하여 지역방문과 교류를 의미화하고, 풍물 연희자의 사회적 존재의 의미와 역할을 재해석한다. 이들은 이러한 상징적 자원들을 가동하여 해남, 완도의 연안과 도서를 권역으로 하는 새로운 지역교류의 세계를 그린다. 이 두 사례는 몸, 춤, 풍물이 사회를 표현할 것이라는 일반적 가정을 넘어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를 입증하고 있다. 두 사례 모두에 있어 행위자의 관점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추양리의 사례는 ``몸 기술들`` 혹은 몸 쓰임이라는 관행적 사실 속에 자기 존재와 생활과 사회에 대한농민들의 관점이 들어 있다 말할 수 있다. 해남의 경우에는 행위자들이 새롭게 몸, 춤, 풍물 등의 의미를 규정하거나 재해석하면서 그들의 관점과 의도를 뚜렷하게 부여하고 있다. 이상의 사례들은 춤의 문화연구에 시사점을 준다. 춤을 추는 것은 인간적인 행위이다. 춤의 문화연구는 이 말이 명제에 그치지 않고 현실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작업이다. 그 작업은 춤의 구체적인 형식적, 외현적 사실들과 그 춤을추고 있는 인간 존재를 파악하는 일이다. 춤의 형식적, 외현적 사실들이 체현하고 있는 인간 존재의 의미, 사회적 존재의 의미를 찾는 일이다. 또한 사람들이 자신들이 전승해 오고 창출해 온 사회적 존재의 의미들에 따라 춤의 형식적, 외현적 사실들을 재구성하고 재정의하는 문화과정을 찾는 일이다. 추양리 두레 풍물, 해남의 풍물 진법군고 그리고 이들을 통해 자신의 사회적 존재와 사회관계를 표현하고 이들에 사회에대한 원망(願望)을 실었던 사람들이 춤 문화연구의 길을 보여주고 있다. Pungmul has existed as the complex of body movement, dance, music and ritual behaviors. The body movement, dance and the whole performing process of pungmul which include these bodily expressions, are main objects of this paper. The formal, expressive facts and processes of these objects are described. Peoplessocial beings and social relations manifested through these objects. This work is an ethnography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two places in Korea. The chapter two is the result of a case study in the village Chuyang-ri, Buyeo-gun county, Chuncheongnam-do province. The field study was performed in the 1980s. But the materials are on the facts in 1940s. They are from the elders’ remember. Dure, the representative communal laboring practice in Korea, is the principal object of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in chapter two. Dure was the vehicle of body, dance and pungmul. Peasants’ social beings were expressed in the objects operated by the Dure practice. The expressions were embedded in their unique performing behaviors that tell the transcendence beyond the rational efficiency of laboring calculation. The behaviors were quite habitual and shared ones in the peasant society which managed the Dure practice. The peasants appreciated these behaviors. Also the expressions were embedded in their behavioral manifestation of prestige, in their quests for communication among the laboring classes. The chapter three is the result of informal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among the pungmul performers who live in Haenam-gun county, Jeollanam-do province. The fieldwork is still ongoing since 2007. This chapter tells the performers’ plans, executions, invests of meanings and envisions of new local alliances. The performers reinterpret their local ancestors’ performing visits, religious mendicancy and accidental death on the marine way to an island. Based on the new notions about the historical facts they began new enterprise of local visits. They reinterpret spatial rites of passage in Pulmul investing their envisioned meanings of local visits, alliances and interchanges. Harnessing these symbolic capitals they envision the new local alliances encompassing coasts in Haenam-gun county and islands in Wando county. The two cases in this paper show the concrete demonstration of the social expressions. That is, the expressions of social beings and social relations through the performance of body, dance and pungmul. In both cases actors’ point of view has crucial function. In the case of Chuyang-ri, the ‘habitus’ or ‘techniques of the body’ ‘embed the peasants’ notions on their existence, lives and societies. In the case of Haenam, the performers’ points of view and intentions overtly invest the body, dance and pungmul, the meanings of which have been redefined or reinterpreted. These cases illuminate some ways of study. That is, they illuminate the study on the culture of dance. Dance is a human behavior. The study on the culture of dance means the manifestation of this proposition with the concrete realization in the actual living world. This work requires the quest for the meanings of human being, social beings embodied in the concrete formal and expressive facts of dance. Also it requires the quest for the cultural processes of reconstruction and redefinition of the formal, expressive facts which are operated by the people who have transmitted, created the meanings of social beings. Pungmul in Dure practice of Chuyang-ri and the people in these societies, who had expressed themselves by these objects, who have invested these objects with the envisions, illuminate the ways of study.

      • 초분과 씻김굿, 인간존재와 자연과 사회의 개념화

        조경만(Cho, Kyoung Mann) 민족미학회 2012 민족미학 Vol.11 No.1

        본 연구는 진도의 초분(草墳) 관행과 씻김굿 과정을 따라서 사람들이 의례와 연희 속의 사물과 행위에 대해 부여하는 인간존재와 자연과 사회에 대한 개념들을 살핀 것이다. 산 자의 세계가 아니라 산 자가 죽음의 의례를 수행하면서 그들이 상정한 죽음의 세계에 대해 부여하는 개념들을 본 것이다. 우선 초분 관행을 보자. 사람들은 죽은 자의 몸과 장소를 정, 부정의 사고에 따라 분류하고, 몸의 상태와 초분과 최종적 안치 장소인 대지를 연관시키고 있다. 이 관행은 사람들이 망자의 몸과 자연과 주변 사물들에 자기 문화에서 전승해 온 인간존재와 자연과 사회에 대한 개념들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들을 매개로 하여 망자 세계의 질서화를 추구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는 결국 사람들이 자신들이 감당해야 할 생애 세계의 논리적 체계화, 자기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다. 씻김굿은 망자의 몸, 대지, 기타 자연적 실체들을 직접 대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에 대한 은유를 다루는 의례이다. 이 역시 이 의례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개념화한 죽음의 세계를 나타낸다. 또한 이는 그 죽음의 세계를 매개로 산자의 세계를 추구하는 상징적 행위이기도 하다. 그에 대한 추구는 망자의 몸과 넋을 형상화한 조형물에서부터 시작한다. 그 후 그 조형물의 친족원 머리로부터의 분리, 정화, 이승에서의 생애와 사회관계의 관념적 해소, 새로운 세계로 향하는 아름다운 노정, 자기 사회 영역 밖의 주변인들에 대한 호혜, 그리고 새로운 세계로의 좌정 등이 연행된다. 이는 사람들이 추구하는 생애와 사회 가치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의례 속의, 정규화된 울음과 노래는 사회적으로 기대된 행동이고 연행이다. 이들은 사람들이 죽음의례의 맥락에서 이들이 추구하는 문화세계로의 진입을 역설적으로 표현하거나 강화하는 연행이다. 초분과 씻김굿은 결국 몸과 장소와 사물을 상징으로 하여 사람들이 추구하는 한 가지 문화세계를 보여주는 관행이고 의례이다. 나아가 인간존재와 자연과 사회에 대한 경험을 재구성한 문화적 구성이고 드라마이다. This paper is on people"s conceptualization of human existence, nature and society. The conceptualization resides in the traditional ritual practice of chobun, a transient straw tomb on earth and in sitgimgut, a ritual for the deceased"s symbolic separation and the relocation in the other world. Performing arts are the constituents of this ritual symbolizing peoples concepts. This paper is, in sum, on the living persons" conceptualization on the deceased"s world they have defined, performing death rituals. In the practice of chobun. people articulate the body of the deceased, the straw tomb and the finally located place, the earth. The practice tells that people pursue the ordering of the deceased"s world performing the media composed of body, natural surroundings and other material existences. These things are embodiments of people"s concepts culturally transmitted on the human existence, nature and society. In the last instance, this practice tells about the living people"s story, i.e. it tells about living people"s logical systematization of their burdened world in their life history. It tells their quest for their social stabilization. Sitgimgut, contrasted with chobun which deals with bodily substances, is constructed with metaphors of body, earth and other natural substances. This ritual also tells about the deceased"s world conceptualized by living people. This ritual is also the symbolic behavior questing for living persons" world mediated by the conceptualized world of death. The quest begins from the symbol of the deceased"s body and soul. It followed by the separation of the symbol from a kin"s head, purification, spiritual resolution of the painful life history and social relation, beautiful travel ways to the other world, reciprocity to the marginal beings out of the deceased"s society, sitting in the newly located world, etc. All of these matters reflect the life values quested. The formalized crying and songs are socially expected behaviors and performances. They are expressions of the entrance to the cultural world, paradoxically, people have pursued in the context of death ritual. Or they are expressions of empowering the entrance. In sum, chobun and sitgimgut are the expressions of cultural world living people have pursued. More over they are the cultural constructions and drama constructing the experiences on human existence, nature and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