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은 어떤 독자를 길러내고자 하는가? : 독자 역할 모델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를 중심으로

        정혜승 ( Chung¸ Hyeseung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7

        이 연구는 읽기 교육이 읽기로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으로 의무와 권리를 행사하며 공동체에 참여하고, 개인의 성장과 안녕을 위하여 읽기를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역량을 갖춘 독자를 길러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 2015 개정 읽기 영역 성취기준이 이러한 독자를 계발하는 데 적절한지를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Freebody와 Luke가 1990년에 개발한 네 가지 독자 역할 모델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성취기준을 분류한 결과 텍스트 사용자와 분석자 관련 성취기준의 비중이 낮고 초등학교급에는 이들 역할과 관련된 성취기준이 거의 제시되지 않은 문제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읽기교육과정이 읽기로 삶을 살아가고, 텍스트가 자신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독자를 길러내기보다는 텍스트를 능숙하게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능 학습에 초점을 둔 데에서 기인한 것으로, 학생을 ‘지금’ ‘독자’로 보면서 텍스트를 유목적적으로 사용하고 주체적으로 해석하는 독자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성취기준이 강화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the 2015 revised reading standards are appropriate for developing competent readers. To achieve these aims,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ading area standards were classified using the “four roles” model developed by Freebody and Luke in 1990. The proportion of the relevant standards for text users and analysts was low, and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here were few suggested standards for these roles. This problem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es on learning the skills necessary to understand text skillfully, rather than on cultivating readers who live by reading and who critically recognize the impacts of texts on themselves and society. This study discusses that relevant standards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students can be viewed as “now” and “readers” and can act as readers who use text purposefully and interpret it critically.

      • KCI등재

        이스라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 분석 연구 : 히브리어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중심으로

        정혜승 ( Chung Hyeseung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4

        이 연구는 텍스트 이해와 토론을 강조하는 이스라엘 국어교육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히브리어를 중심으로 이스라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이스라엘 국어과교육의 목표는 교양 있는 인간을 길러내는 것이고, 이를 위해 학생이 다양한 목적의 구어적, 문어적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능력을 계발하고, 문화적, 사회적 텍스트를 학생 자신의 자산으로 만들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하여 이스라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은 3개학년군으로 수행 기준을 나누어 각기 2, 4, 6학년말에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은 다양한 상황과 목적의 듣기와 말하기, 다양한 목적과 독자를 위한 쓰기, 언어 규범을 지키고 소통에 적절한 쓰기, 다양한 목적을 위한 여러 장르의 텍스트 읽기, 학습과 정보 생산을 위한 읽기, 다양한 시대와 장르의 문학작품 읽기, 유대의 고전 텍스트 읽기, 언어 체계 이해하기 등의 8개 범주로 제시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 구분과 유사하지만 보다 상세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내용 분석 결과 이스라엘 국어과 교육과정은 장르와 상황의 다양성, 학생 소통 목적 중심의 언어 사용, 문화적 자산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sraeli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by focusing on primary school Hebrew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Israeli national language education that places an emphasis on text comprehension and discussion an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outh Korea`s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The Israeli primary school`s Hebrew curricula have been divided into three school year group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that students should reach at the end of the 2<sup>nd</sup>, 4<sup>th</sup>, and 6<sup>th</sup> grades are presented.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include listening and speaking in various situations and for various purposes, writing for various purposes and for different types of readers, writing appropriate for communication while keeping the linguistic norms, reading texts of various genres for various purposes, reading for learning and information production, reading of literary works of various times and genres, reading of Jewish classical texts, and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system. These are similar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tent domain of the South Korean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but they are divided in more specified form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ntents, the Israeli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is characterized by the diversity of genres and situations, the use of language centering on students` communication, and an emphasis on cultural heritages.

      • KCI등재

        이스라엘 국어 교과서의 질문 특성 분석 ―초등학교 히브리어 5,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정혜승 ( Chung Hyeseung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히브리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스라엘 국어 교과서의 질문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국어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기준은 질문의 위치와 기능 및 내용이다. 이스라엘 국어 교과서는 질문 중심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는 다양한 성격의 질문을 제공하고 있다. 질문 분석결과 이스라엘 교과서는 학생을 독자로 호명하면서 학습과 텍스트 이해의 주체로 인정하는 질문, 텍스트에 대한 정밀한 이해를 요구하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질문, 텍스트에 쓰이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평가하고 새로운 생각을 하도록 요구하는 질문, 학생으로 하여금 독자적인 `관점`을 가지도록 하는 질문, 다양한 형태의 협동 학습과 실질적인 협력을 지원하는 질문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of draw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s of the Israeli national language(Hebrew)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rs of primary school. The analysis criteria include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questions, question content. The Israeli national language textbooks provide different levels of questions with a variety of functions at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questions, the Israeli national language textbooks call students as readers and provide the following questions: questions that recognize students as the subjects of learning and text understanding, critical and creative questions that requires a precise understanding of texts, questions that call for students to evaluate what is not written in texts and develop a new way of thinking, questions that encourage students to form a reader`s viewpoint, and questions that support different form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actical cooperation.

      • KCI등재

        ‘정서적 비계’로서의 교실 공간 구성하기

        정혜승 ( Chung Hyeseung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7

        이 연구는 공간을 인간과 상호작용하면서 지속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는 관점을 수용하면서 교실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을 비판적으로 돌아보고, 문식성 교육을 위하여 교실을 어떤 공간으로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사회적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문식성을 볼 때 문식성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실은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산하고 공유하는 독자 공동체를 형성해야 하며, 독자 공동체는 학생들이 자신을 주체로 여기면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문식 활동에 참여할 때 가능해진다고 할 때, 어머니의 대화나 교사의 시범 보이기가 아동의 언어나 인지 발달에 비계가 되는 것처럼 교실이 학생들이 안심하고 문식 활동을 할 수 있는 ‘정서적 비계’로서 기능해야 한다고 보았다. 자신의 텍스트 이해와 해석이 존중받고, 자신이 생산한 텍스트가 가치 있게 공유되는 공간에서 학생들은 기꺼이 독자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정체성을 가지고 문식 활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서적 비계’로서의 교실 공간 구성을 위해 이 연구는 공간을 구성하는 네 요소-주체, 문화, 사회적 관계, 물리적 실재- 사이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면서 학생의 문화 자원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활용하기, 교실 사용과 관리 및 책임을 학생과 나누기, 교실의 물리적 실재를 구성하는 도구의 가치를 재인식하고 활용하기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ccommodates the viewpoint seeing space as a continuum to be constructed with an interaction with humans to attain critical reviews on the traditional recognition of classroom to discuss the subject on how to organize the space of classrooms wherein education of literacy of students are presented. In particular, in respect of the social interaction, the classroom wherein literacy education for students is presented shall construct an readers’ community producing, sharing, and understanding texts. The construction of readers’ community can only be available with the students counting themselves as subjects therein participating in literate activities both positively and actively. In this context, conversation with mothers or demonstrations presented by teachers can be taken as scaffolds supporting the cognitive or linguistic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e present study shared an identical standpoint with this view, and took the classroom as an ‘emotional scaffold’ whereon students should play literate activities safely. The students, being respected with respective interpretations and understandings of texts in a space wherein the texts produced spontaneously are valued and shared together, are thus believed to participate in literate activities with respective identities of their own as members of the readers’ community. For the construction of a space in classroom as an ‘emotional scaffold’, the present study take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four elements constituting the space thereof, the identity, culture, social relationship, and physical presence, into account to provide ways to facilitate the recognition and exploitation of cultural resources of students, to share an accountability of the use of classroom,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values of tools that constitute the physical reality of classroom, and to utilize the tools.

      • KCI등재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중심에 둔 교사의 최적화 행동 연구: 국어 수업에서 ‘구성적 불일치’ 사례를 바탕으로

        유상희 ( Sanghee Ryu ),정혜승 ( Hyeseung Chung ),민병곤 ( Byeonggon Mi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4

        Our education policy has emphasized the consistency of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and students’ achievement of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policy is implemented in a Korean language class and the elements affecting the policy in order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pplying micro-ethnographic discourse analysis with the concept of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In this class, the teacher aiming to integrate the curriculuminstruction- evaluation conducted student-centered instructions consisting of an activity-oriented class and process-oriented assessment with feedback. However, a constructive inconsistency has been found in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in limited settings of the meaning of achieving learning goals, simplification of knowledge, exclusion of discours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goal, and execution of a performance evaluation with correct answers. The positive elements within our education policy actually appeared in problematic patterns under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and various contexts in the class.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of the actual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her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reconsideration of declarative emphasis on educational policy in the absence of specific direction or practical support, strengthening organic linkage between standards and educational goals, and developing teacher curriculum literacy.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동물 매개(Animal-assisted) 읽기 활동 연구 : ‘개에게 책 읽어주기(Reading to Dogs)’ 참여 사례 및 효과를 바탕으로

        이용준 ( Lee Yongjun ),정혜승 ( Chung Hyeseung ) 한국독서학회 2024 독서연구 Vol.- No.71

        This study aims to analyze cases of “Reading to Dogs”(RTD) programs from one broadcaster, in which researchers consulted and participated, and to discuss educational implications. RTD is an animal-assisted intervention that uses animals for treatment and education and is gaining popularity as a useful activity that can improve students’ reading ability, motivation, and attitude based on reading aloud. An analysis of the RTD program, which was conducted over 14 weeks for s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heon,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attitude. As reported in several previous studies, this demonstrates that RTD positively affects students’ reading skills and strategies, especially in affective aspects such as reading motivation and attitude. However,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cases in this study, generalization is limited. Future research is requir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RTD and to develop a field-ready plan.

      • KCI등재

        초등임용시험 문항 분석 :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국어과 문항을 중심으로

        정혜승,송소연,옥현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4

        이 연구에서는 현행 공립 초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초등임용시험) 1차 전형 평가 도구의 하나인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된 국어과 문항을 분석한 뒤, 그 결과를 토대로 국어과 문항의 개선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분석 대상은 현행 평가 체제가 도입된 2013학년도 이후 출제된 5년간의 국어과 문항(총 15 대문항)으로, 문항의 형식적 특성과 내용적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어과 문항은 형식적 측면에서 대체로 각 대문항별로 하나의 교수·학습 상황을 설정하고 여러 가지 수업 정보와 자료(학습목표, 학습계획, 지도내용, 글 자료, 학생 반응 자료 등)를 공유된 상태에서 하위 문항을 제시하는 특징을 보였다. 내용적 측면에서 국어과 문항은 교과 내용 지식을 평가하는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교수학적 지식이나 학습자 지식에 관한 문항이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과 내용 지식 문항의 수준(난도)이 낮고 대문항에서 전제한 수업 정보 및 자료와 유리된 탈맥락적 문항이 많다는 점, 저학년 관련 문항의 비율이 낮다는 점, 읽기와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출제되고 있다는 점, 교사의 평가 전문성과 관련된 문항을 찾기 어렵다는 점 등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어과 문항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Korean Language Arts items in the first screening stage of the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 and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items. A total of 15 unit items between academic years of 2013 and 2017 were analyzed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format and content of the item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Language Arts items showed a unique format that consisted of one educational situation and its relevant educa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lesson objective, teaching plan, contents, reading materials, and student responses. Several points of improvement for the content were also found as in the skewed distribution of the items. The questions, for instance, privileged subject content knowledge as well as the reading and literature domain, while items that test the examinees’ pedagogical knowledge, student knowledge, familiarity with lower grade level students, and expertise in assessment were relatively scarce. Also, not only were the questions consisted of low difficulty item but they were also often presented in a decontextualized form. Suggestions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analytic findings are discussed at the end.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의 향방

        정혜승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2 No.-

        이 연구는 아동, 발달, 문식성, 교육과정의 개념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논의하면서 향후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문식성 교육과정 논의의 전제로 먼저 아동은 언어로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실천을 하는 주체라는 점, 아동의 발달은 보편적이고 결정적이라기보다 개별적이고 역동적이라는 점, 문식성은 실천의 문제로 삶과의 관련 속에서 보아야 한다는 점, 교육과정은 성인들의 희망을 효율적으로 성취하는 것보다 아동의 요구와 희망을 고려하기 위해 그들과의 협상 속에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가 국어적 범주에서 탈피하여 ‘텍스트로 성장하는’ 아동을 길러내겠다는 교육적 포부와 비전을 제시하고, 아동이 소통의 주체로서 문식성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선정해야 하며, 문식성 교육 내용을 균형 있게 선정하고 배열하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ims at research on the direction for literac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in the light of socio-cultural approach of children, development, literacy and curriculum. I argue that:1)children are agents of cultural, social, political practices through language and literacy, 2)children’s development is individualized and dynamic than universal and decisive, 3)literacy is practices associated with human life, 4)curriculum is constructed by negotiation with children to consider their needs and hopes. Based on the arguments I suggest that:1)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required to present the educational aspiration and vision that includes aims of fostering ‘growing up children through texts’ beyond Korean Language category, 2)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required to select the pedagogical contents with literacy experiences for children as communicative agents, 3)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required to select the pedagogical contents of literacy with balance and to organize them systematically in order to consider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