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십자형심장에 동반된 양대혈관우심실기시증 -수술치험 1례

        김대연,조성래,박성달,정현기,Kim, Dae-Yeon,Jo, Seong-Rae,Park, Seong-Dal,Jeong, Hyeon-Gi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12

        Criss-cross heart which is a cardiac malformation caused by abnormal rotation of the ventricles early in embryonic development, is rare but a double outlet of right ventricle in priss-cross heart is very rare. We experienced a case of criss-cross heart which is situs solidus, concordant atrioventricular connection and double outlet of rig t ventricle with remote ventricular septal defect of perimembranous inlet type. A 4-years old female was diagnosed as a double outlet of right ventricle in criss-cross heart after echocardiography, cardiac catheterization and cardiac angiography. The surgical correction was a intraventricular reconstruction of left ventricular outflow with 314 circle of 20 mm Hemashield vascular graft from the ventricular septal defect to the aorta. The patient had a temporary atrioventricular block but was recovered uneventfully, and a postoperative echocardiogram showed no left ventricular outflow obstruction, no intracardiac shunt.

      • KCI등재후보

        단순반복 작업자의 작업대 및 의자의 형태와 누적외상성질환 증상과의 관계

        정현기,노영만,임현우,박정일,정춘화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 단순반복작업 생산직 근로자의 누적외상성질환에 대한 사업주의 건강관리규정 준수상태 및 근로자의 자각증상호소와 의자 및 작업대의 형태를 파악하고 크기를 측정하여 이들과 누적외상성질환 자각증상호소와의 관련요인을 알아보고 대책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서울 및 경기지역 일부 100인 미만 사업장중 전기, 전자부품 제조업체 7개를 선정하여 생산직 근로자 77명을 대상으로 누적외상성질환에 대한 사업주의 건강관리규정 준수상태와 및 근로자의 자각증상호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의자와 작업대의 크기를 측정하고 증상과의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의자와 작업대가 작업자세에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작업자는 85.7 %이였으며 단순반복작업 근로자 작업관리지침에 의한 사업주의 근로자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았다. 누적외상성질환 자각증상 호소율은 63.6 %이였으며 자각증상 부위는 어깨 37.9%, 목 15.2 %, 등 6.1 %, 팔/팔꿈치 4.6 % 순이였다. 입사 후 초기발생시기는 평균 16.5개월이며 자각증상 호소는 작업대 두께, 작업대높이, 작업대 밑무릎공간, 등받이 높이, 좌석면 높이, 좌석면의 앞뒤길이, 좌석면의 좌우길이, 작업대끝에서 어깨까지의 거리에서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자각증상호소의 관련요인은 등받이 높이, 좌석면의 높이, 좌석면의 앞뒤길이 이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정부는 단순반복작업 작업자의 누적외상성질환 예방을 위하여 사업주에 대 한 철저한 교육 및 관리감독을 해야한다. 사업주는 작업대 및 의자를 작업자의 신체치수와 작업내용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을 사용하고 작업전, 후에 정기적인 건강체조 및 휴식을 갖도록 하며 근로자에 대한 실질적인 보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Objectives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 and the types of workstation and chair in workers with repetitive motion task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77 repetitive motion tasks workers at small manufacturing industries in Seoul and Gyung-gi district area. A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about health practice for prevention and prevalence of CTDs by worker. The type of Workstations and chairs in workers were measured and analyzed with prevalence of CTDs by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Eighty-six percent of workers recognized that work posture was related to workstation and chair, Most employers and employees didn't follow the work practice guidelines for workers with repetitive motion tasks. The prevalence of CTDs was 64% by questionnaire. The prevalence of pain in shoulder, neck, back, and arm were 38%, 15%, 6%, and 5%, respectively, and the pain started after working an average duration of 16.5 months. The CTDs symptom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ickness of workstation, height of workstation, length of knee depth under workstation, height of back rest, height of seat pan, depth of sitting surface, width of sitting surface, and length from workstation surface edge to shoulder.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each risk factor, prevalence of CTDs was highly correlated with height of back rest, height of seat pan, and depth of sitting surface.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workstations should be made adjustable for height and chairs should be equipped with seat pan height control, enough sitting surface for depth and width, back rest height and angle control. The workers should use the right working postures, exorcise for health, occupational health education, and rest breaks and the manager of company should be educated for the preventing of CT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