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정 어린이집 자율장학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정해정 ( Hae Jung Jeong ),손은령 ( Eun Young S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연구논총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자율장학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원장을 포함한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인식한 가정 어린이집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 보육교사가 인식한 가정어린이집 자율장학의 실태와 요구, 보육교사가 인식한 가정어린이집 자율장학에 대한 활성화방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정도는 낮았지만 보육활동의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의 정도는 높았다. 보육교사들은 자율장학담당자가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보유하기를 원했으며, 자기성찰 후 장학담당자의 소감발표를 통한 피드백 방식을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42.4%가 자율장학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들은 동료장학을 가장 적합한 장학형태로 인식하였고, 장학의 방법 중``수업연구``, ``초임교사지도``는 중요하게 인식하고는 있었으나 그만큼 실행되지는 않았고, ``반성적 저널쓰기``, ``동료 간 수업연구 및 공개``의 중요도는 중간정도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행도는 낮았다. ``간헐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지도·조언``은 중요도 인식보다 실행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상급학교 진학하기``는 중요도, 실행도 모두 낮게 나타났다. 장학내용면에서는 ``영유아문제행동지도 및 생활지도``, ``상호작용과 교수법``, ``안전한 보육환경`` 순으로 원했다. 셋째, 가정어린이집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인식전환 및 적극적인 참여 동기부여가 필요하며, 중앙행정기관에서 연구비, 프로그램 개발비 등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대체교사, 보조교사를 지원해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행정기관차원에서는 기관특성에 맞는 장학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 그리고 장학 관련자료 및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eacher`s need, performance level and priorities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home daycare center. 243 home daycare center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eachers generally knew the concept of autonomous supervision and they perceived the purpose of supervision as the revision of daycare and education. They preferred the feedback method through presentation of their reflection. Second, 64% of teachers performed the autonomous supervision and peer supervision was selected the proper method of supervision in home daycare center. But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was high in some areas in peer instruction research, mentoring, writing a reflective journal. The most wishful areas of autonomous supervision was guidance to problematic children, interaction and teaching method, safe caring environment. Third, teachers wanted to get a fund from the government and to cowork with intern teacher or substitut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of management of supervision to home daycare teachers were discussed with relation to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알코올 대사 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에 미치는 아미노산의 영향

        차재영(Jae-Young Cha),정해정(Hae-Jung Jung),재준(Jae-Jun Jeong),양현주(Hyun-Ju Yang),김용택(Yong-Taek Kim),이용수(Yong-Soo Lee)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9

        본 연구에서는 숙취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식품 소재의 주요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아미노산을 선택하였고, 효소 활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yeast와 rat liver 유래의 ADH 및 ALDH 효소를 대상으로 알코올 대사에 관련된 효소 활성의 촉진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Rat liver 유래의 ADH 활성은 처리한 아미노산 중에서 arginine에서 가장 높았다. Arginine의 첨가 농도를 달리하여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50 ㎎/㎖ 농도에서 118~120.6%로 양성대조구의 90.6% 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yeast 유래의 ADH 활성은 methionine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methionine의 처리 농도를 달리한 경우에서는 첨가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Rat liver 유래의 ALDH 활성은 methionine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Methionine의 첨가 농도별 측정에서는 10 ㎎/㎖에서 30 및 50 ㎎/㎖ 첨가 농도에서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이들 모든 처리 농도에서 양성대조구 보다 상당히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yeast 유래의 ALDH 활성은 각 아미노산별 큰 차이는 없었으나, arginine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Arginine의 첨가 농도별 측정에서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양성대조구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효모 유래 ALDH 및 rat liver 유래 ADH 효소 활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가진 arginine을 효모 배양에 첨가시킬 경우 세포 내 ALDH 및 ADH 활성 염색 정도가 증가함으로써 arginine은 ALDH 및 ADH 활성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in vivo 실험계에서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아미노산 중에서는 arginine과 methionine이 ADH 및 ALDH 활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에 의해 알코올 분해뿐만 아니라 acetaldehyde의 분해도 촉진시킬 가능성이 높아 숙취해소 효과는 물론 간 보호 효과도 동시에 있을 것으로 시사 되어 진다. 따라서 arginine과 methionine과 같은 아미노산을 주류 제품에 첨가하게 될 경우 숙취해소 경감과 간 보호 효능을 어느 정도 나타낼 수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mparative effects of various amino acids on the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of yeast Saccharomyces cereviciae and rat liver homogenate in vitro. Methionin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yeast ADH among the amino acids used in this study, but this was not higher than that of the hangover product, Condition-Power (CP) used as positive control. Methionine was also found to be the best amino acid in terms of the ALDH activity in rat liver homogenate among the treatment amino acids, which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that of positive control CP. It was chosen for further experiments and yeast ADH activity increased in parallel with increased methionine concentration, but not rat liver ALDH activity, and it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those of the positive control. Arginine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yeast ALDH and rat liver ADH activities among amino acids, and it was chosen for further experiments. Yeast ALDH activity increased in parallel with increased arginine concentration,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positive control CP, and rat liver ADH activity was also comparatively higher in all treatment concentrations of arginine than that of positive control CP. The native electrophoresis of ADH and ALDH from cell-free extracts of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cultured in the growth medium containing various arginine concentrations by 0~0.1% showed two active bands upon zymogram staining analysis, and the straining intensity of ADH and ALDH active bands in arginine treatment yeast was stronger than that of non-yeast or low treatment yea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can be enhanced by arginine and methionine, suggesting that arginine and methionine have potent ethanol-metabolizing activities.

      • KCI등재

        Thaumatin Isolated from Katemfe Fruit of Thaumatococcus daiellii Inhibits 3T3-L1 Adipocytes Differenciation

        Jae-Young Cha(차재영),Jae-Jun Jeong(재준),Hyun-Ju Yang(양현주),Jun-Seok Park(박준석),Hyun-Woo Kim(김현우),Su-Hyun Kim(김수현),Hae-Jung Jung(정해정)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6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에 대한 Thaumatococcus daiellii 열매 유래 토마틴의 항비만 효과를 검토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 토마틴을 0-5 μM 농도로 처리한 결과 세포생존율은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는데, 토마틴 8일 처리 후 1 및 3 μM 농도에서 각각 97% 및 88.3%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또한 토마틴 3 μM 처리농도에서 Oil-Red-O염색 지방구가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3T3-L1 세포 내 중성지방 농도는 양성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천연 식물성 토마틴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증식 억제 및 중성지방 농도 감소 효과를 보여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effects of thaumatin isolated from katemfe fruit of Thaumatococcus daiellii Benth on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investigated in vitro. 3T3-L1 adipocyte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thaumatin ranging in 0-5 μM. Thaumatin reduced fat accumulation in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s in a dose-dependent manner. 3T3-L1 cell proliferation was 97.0 and 88.3% at 1 and 3 μM after 8 days of thaumatin treatment, respectively. Thaumatin showed a potent inhibitory effect on stained lipid droplets at a concentration of 3 μM. Thaumatin reduced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differentiated 3T3-L1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positive control cells.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the anti-obesity activity of thaumatin.

      • 계통전압(154㎸)이 소내수전 무효전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전규남(Kyu-Nam Jeon),장문성(Moon-Soung Chang),남궁혁(Hyuk-Namgoong),정해정(Hae-Jung Jeong),안주훈(Joo-Hoon Ahn) 대한전기학회 2007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11

        As a section of electric power system linked with Kepco was changed, the decrease in qulity of the electric power transmitted to the Hapcheon hydraulic power station occurred. The actual state bring about the overheating and capability decline of electricity accommodation equipment. From now, let's improve the efficiency on the maintenance of generating equipment by studying about the cause and the method for this problem.

      • SCOPUSKCI등재

        기관내삽관시 전기 화상 환자에 대한 Vecuronium의 근이완 효과

        김규삼,권은,이혜,배성진,노규,정해정 대한마취과학회 1999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36 No.1

        Background : In inducing anesthesia for burn patients, nondepolarizing muscle relaxant (NDMR) is usually used, because succinylcholine, a widely used muscle relaxant may cause hyperkalemia. It is well known that because burn patients show resistance to NDMR, a high dose of NDMR is needed for them. In this study, we wanted to know whethe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relaxation effect between 0.1 mg/Kg and 0.15 mg/Kg dose's of vecuronium, and between burn and unburn patients. Methods : Subjects are 40 male patients having 1 or 2 ASA physical status (20 are burn patients and the other 20 are unburn patients). We divided them into 4 groups; 1) Group BI (burn patients, vecuronium 0.1 mg/Kg) 2) Group BII (burn Pts, vecuronium 0.15 mg/Kg) 3) Group UBI (unburn Pts, vecuronium 0.1 mg/Kg) 4) Group UBII (unburn Pts, vecuronium 0.15 mg/Kg). Average onset times (time from injection of vecuronium to zero first twitch height (T1)) were measured and intubating condition were scored on 0 to 4 scale. Results : The onset time of vecuronium and distribution of intubation scores didn'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4 groups. Conclusion : The onset time of vecuronium and intubating condition in burn patients dosen't show a difference from unburn patient. (Korean J Anesthesiol 1999; 36: 21∼2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