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히비스커스 추출물이 인간 각질 형성 세포의 밀착 연접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해수 ( Haesoo Jung ),김은미 ( Eunmi Kim ),한효상 ( Hyosang Han ),김기광 ( Keekwang Kim ) 대한본초학회 2021 大韓本草學會誌 Vol.36 No.5

        Objectives : Hibiscus (Hibiscus sabdariffa L.) is rich in antioxidants such as flavonoids and anthocyanins and is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aging function of the skin, but there is no study on its effect on the skin barrier. This study aim to investigate the positive effect on the skin barrier by confirming the effect of water extracts of Hibiscus sabdariffa L. (WEHS) on the tight junction-related gene expression. Methods : The antioxidant efficacy of WEHS was investigated through ABTS and DPPH assays, and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n cell viabilit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immunoblot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WEHS on the expression of tight junction-related genes, and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was used to confirm the movement of Claudin 1 protein into tight junctions. Results : WEHS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nd induced an increase in both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Claudin 1 among tight junction-related genes. The strong localization of Claudine 1 protein increased by WEHS to the tight junction was confirmed by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Conclusions : Hibiscus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o show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function of promoting the expression of the tight junction Claudin 1 gene, suggesting that Hibiscus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kin moisturizing and atopy, which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ight junction.

      • KCI등재

        미세조류 유래 Shinorine의 피부세포에서의 효능

        정해수(Jung, Hae Soo),조문진(Cho, Moon Jin),서효현(Seo, Hyo Hyun),아툴 쿨카르니(Kulkarni, Atul),서승석(Suh, Sung-Suk),이택견(Lee, Taek-Kyun),모상현(Moh, Sang-H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7

        오존층의 파괴와 증가하는 야외활동으로 인한 자외선의 노출을 최소화 하기위해 자외선 차단제는 필수적인 것이 되고 있다. 기존에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제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천연식물과 같은 친환경적인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천연물을 활용한 자외선차단제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해 미세조류 (Chlamydomonas hedleyi.)로부터 Mycosporine-like amino acid (MAA)를 분리 정제하고 그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미 세조류에서 분리 정제한 MAAs 중 shinorine을 분리하여 UV에 의한 피부세포의 손상을 막고, 염증과 관련 있는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하는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shinorine이 피부세포가 UV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여 cell viability가 10% 증가하였고, 염증관련 단백질인 COX2이 발현이 41%정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켜 주름개 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에 shinorine은 자외선 차단용 소재뿐 아니라 항노화 관련 제품의 소재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s)were extracted from in Chlamydomonas hedleyi, and their function was investigated regarding to protective capacity against UV radiation and a possibility to be developed into functional suncream including MAAs by using natural compounds. In particulr, we assessed UV protective ability and anti-inflammation of shinorine in human skin cells. As a result, shinorine can protect the skin against damage by the absorption of energy from UV radiation and functions as an anti-wrinkling substrate through a increase of collagen synthesis. These data suggest that shinorine can be utilized not only as a substrate to protect UV radiation, but anti-aging material in cosmetic products.

      • KCI등재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뿌리 추출물의 주요성분 분리동정

        정해수 ( Hae Soo Jung ),김형식 ( Hyoung Shik Kim ),이정훈 ( Jeong Hun Lee ),모서진 ( Seo Jin Moh ),여진희 ( Jin Hui Yeo ),박기원 ( Gi Won Park ),모상현 ( Sang Hyun Moh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6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9 No.1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은 약초식물의 하나로 항염, 지혈, 해독 그리고 해열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특히 딱지꽃의 뿌리는 약제로써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딱지꽃의 줄기나 잎에 대한 유효성분에 대한 연구가 시도된 반면 딱지꽃의 뿌리의 주요성분을 분석한 사례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딱지꽃의 뿌리를 다양한 용매별로 추출하고 주요한 물질을 분리정제 하였다. 분리 정제된 물질을 NMR과 mass 분석을 통하여 물질을 동정하였고 그 결과 주요성분이 화합물 (1)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정된 물질의 산업적 응용을 위해 딱지꽃 뿌리에서 용매별로 화합물 (1) 추출양을 정량하였다. One of oriental medicinal plants, Potentilla chinensis, has been used for anti-inflammation, hemostatic, decryption, and antipyretic. Especially, a root of Potentilla chinensis was used as important material for oriental medication. Although several kinds of bioactive component of Potentilla chinensis extract from stems and leaves were identified, the major component of Potentilla chinensis from roots is not well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root of Potentilla chinensis was extracted in different solvent system and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ccording to HPLC analysis, a major component was isolated and its physic℃hem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mass spectrometr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Based on these results, isolated compound was identified as 2,3,8-Tri-O-methylellagic acid. And quantification of 2,3,8-Tri-O-methylellagic acid with different extraction solvent system was performed for industrial application.

      • 갈릭산 펩타이드 유도체의 피부세포에서의 효능

        정해수(Hae Soo Jung),송미영(Mi Young Song),김형식(Hyoung Sik Kim),서효현(Hyo Hyun Seo),이정훈(Jeong Hun Lee),모상현(Sang Hyun M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파이토케미칼에 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한 기능성 펩타이드의 결합을 통해 소재 자체의 안정성 뿐만 아니라 주름개선 효능과 더불어 우수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항산화, 항염 및 항암 등의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있는 파이토케미칼인 갈릭산을 이용해 파이토케미칼-펩타이드 유도체를 개발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즉, 갈릭산에 LVH, IVH, KTTKS, YGGFM, YGGFLRKYP 총 5종의 펩타이드를 각각 합성하여 항산화 및 주름개선의 효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 5종 유도체 모두 우수한 자유라디컬 소거능을 보였고, collagen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collagen 생성시 분비되는 펩타이드의 증가를 통해 항산화뿐만 아니라 주름개선에도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갈릭산 펩타이드 유도체가 항산화 및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갈릭산 펩타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주름개선 소재 개발

        정해수(Jung, Hae Soo),송미영(Song, Mi Young),김형식(Kim, Hyoung Sik),서효현(Seo, Hyo Hyun),이정훈(Lee, Jung-Hun),이경록(Lee, Kyung Rok),홍일(Hong, Il),모상현(Moh, Sang-H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8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phytochemical에 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한 기능성 펩타이드의 결합을 통해 소재 자체의 안정성 뿐만 아니라 수용액 상태에서의 분산성을 증대시켜 주름개선 효능과 더불어 우수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항산화, 항염 및 항암 등의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 phytochemical인 갈릭산을 이용해 phytochemical-펩타이드 유도체를 개발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갈릭산에 LVH, IVH, KTTKS, YGGFM, YGGFLRKYP총 5종의 펩타이드를 각각 합성하여 만든 갈릭산 펩타이드 유도체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의 효능을 평가하고자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real-time PCR로 주름개선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5종 유도체 모두 우수한 자유라디컬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collagen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collagen 생성시 분비되는 펩타이드의 증가를 통해 항산화뿐만 아니라 주름개선에도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갈릭산 펩타이드 유도체가 항산화 및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Conjugating a phytochemical, a strong antioxidant, with a functional peptide not only compensates for its stability, but also improves its solubility and anti-wrinkle effect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n excellent cosmetic ingredient. Thu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otential cosmetic use of a phytochemical-peptide derivative using gallic acid, a phytochemical with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wrinkle-improving efficacy of 5 synthesized gallic acids conjugated with LVH, IVH, KTTKS, YGGFM, and YGGFLRKYP respectively, we observed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wrinkle improvement us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al-time PCR. As a result, all 5 derivatives had excellent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The expression level of genes involved collagen synthesis also increased, and the secreted peptides during collagen production contributed to their antioxidant and wrinkle improving effects. These results mark the potential use of gallic acid peptide derivatives as a cosmetic ingredient for anti-oxidation and wrinkle improvement.

      • 웹에서의 e-Learning 개인화 서비스

        정해수(Jung Hae-Soo),이승철(Lee Sung-Chul),조완섭(Cho Wan-Sup) 한국콘텐츠학회 2003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2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표방하는 개인화 서비스는 시스템에 의한 자동화된 개인화 서비스가 아닌, 회원 가입 시 수집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들을 여러 집단으로 나누어 서비스하는 집단화 서비스이다. 또한, 회원 개개인의 환경 설정에 따른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시스템 자체가 회원 특성을 분석하여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는 있는 실정이다.<br/> 본 연구에서는 회원들의 웹 서핑 과정 중에 발생하는 행동 특성을 회원과 관련된 DB에 저장하여 이를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서, 시스템 자체가 회원들의 행동 특성을 분석하여 진정한 개인화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Individualization serverces to be persuited in most web sites are not one automated by system but collectivization services provided into several groups with information collected in initial register. Also, as most of the web sites provide individualization servic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setting fitted by each individual, it is hard to offer to provide them with analyzing members by system itself. In this paper, as we store behavior characters of members on web surfing into member database and analyze them automatically, system itself enables to provide individualization services.

      • KCI등재

        혈소판 농축 섬유소가 골모세포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정해수 ( Hae Su Jung ),배현숙 ( Hyun Sook Bae ),홍기석 ( Ki Seok Hong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3 치위생과학회지 Vol.13 No.2

        임플란트 식립 시 가장 빈번하게 맞게 되는 문제점으로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서의 불충분한 골량과 해부학적 구조에 의한 접근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장 인자들은 치유 과정이나 조직 형성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필 수 요소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골 이식 재료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성장 인자들이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다. 혈소판 내 granules에는 높은 농도의 다양한 성장 인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platelet-rich fibrin (PRF)는 2 세대 혈소판 농축 인자로 항응고제가 들어있지 않은 상태로 얻을 수가 있고, 혈소판과 많은 성장 인자들이 풍부한 섬유소 막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in vitro 상에서 골아 세포에 대한 PRF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치유와 재생에 연관된 주요 기능으로써 증식과 분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PRF 내에서 방출되는 성장 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subunit B와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의 농도, 세포의 생존능력,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type 1 collagen 합성, 골아 세포의 분화 지표로써 ALP와 Runx2의 발현 정도와 골 기질 단백질로써 type 1 collagen의 발현 정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이 실험을 통하여 PRF는 치유 시 필요한 타당한 기간 동안에 충분히 자가 성장 인자의 방출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골아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대해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였다. 제한적인 실험이지만, 골재생을 위한 PRF의 사용은 골 치유와 골 개조에 있어서 증진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는 촉망되는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problems at fixture-implantation sites are lack of adequate bone and proximity to anatomic structure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growth factors play an essential role in the healing process and tissue formation, and they have become the focus of grafting materials research. The granules in platelets contain high concentrations of various growth factors. In particular, platelet-rich fibrin (PRF) is a second-generation platelet concentrate that allows the production of fibrin membranes enriched with platelets and growth factors from an anticoagulant-free blood harve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 vitro effects of PRF on osteoblasts, in terms of the key cellular functions, and especially the effects on two growth factors, the homodimer o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subunit B (BPDGF-BB)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1, which are associated with wound healing and regeneration (i.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PDGF-BB and TGF-β1 levels in PRF, cell viability,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type 1 collagen synthesis, and the expressions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markers (ALP and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and bone matrix proteins (type 1 collagen). The release of autologous growth factors from PRF was maintained for a reasonable period of time, and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The use of PRF thus appears to be a promising method for enhancing bone healing and remodeling.

      • SCIESCOPUSKCI등재

        Strip 치은자가이식술후 이식편의 수축률에 관한 임상적 연구

        정해수,임성빈,진형,Jung, Hae-Su,Lim, Sung-Bin,Chung, Chin-Hyung 대한치주과학회 1997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changes in graft size after treatment with strip gingival autograft in human. 57 premolar teeth in 27 patients having the following mucogingival problems were selected. The width of extension, attached gingiva including free marginal gingiva, width of transplant and clinical sulcus depth were measured at the initial examination, 2, 12 and 24 weeks following the strip gingival autograft and free gingival autograft. The change of width of extension, attached gingiva including free marginal gingiva, width of transplant and clinical sulcus depth according to healing process in both graft procedures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repeated measure ANOVA test and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hange of keratinized gingiva in both graft procedure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t 24 weeks post-op. 2. The clinical sulcus depth exhibited no marked changes throughout the entire investigation in both graft procedures. 3. No dimensional variation was seen in graft size in both graft procedures. 4. Shrinkag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both graft procedures. From the day of grafting to 24 weeks after surgery the percentages of shrinkage were : strip gingival autograft 28% and free gingival autograft 29%.

      • KCI등재후보

        석곡(Dendrobium moniliforme) 캘러스 추출물의 피부 효능에 관한 연구

        송미영(Mi-Young Song),정해수(Hae-Soo Jung),서효현(Hyo-Hyun Seo),모지홍(?Ji-Hong Moh),최해연(Hae-Yeon Choi),이정훈(Jeong-Hun Lee),모상현(Sang-Hyun Moh)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15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5 No.2

        Plant stem cells have been applied on the various industrial fields. In particular, demands for the cosmetic application of plant cells have been increased in worldwide. Dendrobium moniliforme, a sort of orchid plants grown in Jeju Island and East Asia, is one of the widely used plants in the cosmetic industry for its high efficacy. In this study, plant callus was induced from Dendrobium moniliforme and cultured for a mass production. Then, the callus extract was obtained by hot wa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allus extract inhibited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an inflammatory marker, and enhanced the expression level of aquaporin3 (AQP3), a skin hydration modulator. Furthermore, the callus extract showed wound healing effect through the promotion of skin cell migration. In conclusion, Dendrobium moniliforme callus extract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an anti-aging active ingredient.

      • 해양조류 유래 Porphyra-334의 피부세포에서의 효능

        조문진(Moon Jin Cho),정해수(Hae Soo Jung),송미영(Mi Young Song),서효현(Hyo Hyun Seo),아툴 쿨카르니(Atul Kulkarni),서승석(Seung Suk Suh),이택견(Taek Kyun Lee),모상현(Sang Hyun M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홍조류, 산호 등의 다양한 해양식물에서 발견된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s)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UV 흡수능 (310-360nm) 높은 물질로 이를 이용한 UV protectio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세조류(Chlamydomonas hedleyi.)로부터 MAA를 분리 정제 하고 그 중에 서 porphyra-334를 분리하여 피부세포에서 UV protection 및 항염 효능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porphyra-334가 UV로부터 피부세포를 보호하고 COX-2 발현 저해를 통해 항염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porphyra-334의 자외선 차단용 소재뿐 아니라 항염 관련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 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