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 그 반성의 자리와 갱신의 계기

        정출헌 ( Chung Chul-heon ) 국제어문학회 2005 국제어문 Vol.35 No.-

        최근, 열병처럼 퍼져나가던 포스트담론이 어느덧 시들해졌다는 말을 종종 듣게 된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근대성에 대한 논의, 더욱이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야 말할 필요도 없다. 시효성을 상실해도 한참 상실한 진부한 논 의가 바로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를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그를 통해 근대성 논의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려는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근대성 논의 의 폐기 또는 갱신의 길을 가늠하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무엇보다 근대성 담론에 의해 무참하게 훼손되거나 평가 절하된 고전문학의 문학적 성취, 곧 고전문학의 중세적 특징을 새롭게 조망하고 그로부터 고전문학 연구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런 목적을 가지고 지난날 우리 문학 연구에 강력한 영향력을 끼 쳤던 전통단절론/이식문학론과 내재적발전론의 인식론적 동일성과 그 한계를 비판적으로 살폈다. 이런 인식론적 한계 위에서 조급하게 이루어졌던 고 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 그리고 근대성에 대한 모호한 이해 위에서 반복 적으로 되풀이되던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적 요소 검출 또한 반성적으로 되돌 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근대, 또는 근대문학이라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고 전문학의 문학적 성취라든가 거기에 담긴 진정성을 읽어내는 데 너무나 소홀 했기 때문이다. 이를 반성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세를 무조건 배척해야 할 그 무엇으로 간주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중세에 대한 충실한 이해를 갖추 려는 태도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그것은 지워버린 중세에 대한 정당한 자리 매김이라는 일차적인 의미를 넘어선다. 어떤 논자들은 근대성 담론의 과제를 근대와 탈근대의 회통이라고 보고, 문학적으로는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회통으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그에 앞 서 이제껏 간과해온 전근대의 중세성을 진지하게 재조명하는 작업, 그리하여 전근대와 근대가 진정으로 회통하는 작업이 전제되어야만 한다. 그럴 때 비 로소 근대성 논의는 보다 튼실한 지반 위에서 전개될 수 있고, 지금보다 훨씬 활기찬 갱신의 계기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이 낡아빠진 듯한 고전 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가 지금도 여전히 필요한 이유이다. Recently we frequently hear the postmodern discourse that once spread like a fever now becomes disinterested before we are aware. If that is true, the discussion over the modernity, furthermore the discussion over the modernity in classic literature is needless to say. The discussion of the modernity over classic literature would be out-of-date argument that lost the statute of limitations. Despite all the facts, we should not neglect the effort to make new turnover and critically check the discussion of the modernity and never give up efforts to make new opportunity over modernity discussion. It is not only for abolition of modernity argument, nor for estimation of renewal. Above all it is to take a new view of the medieval characteristics of classic literature and find a way out for literary achievement of classic literature that underestimated or horribly damaged by modernity discourse. With this purpose we critically examined the epistemological identity and its limitation in tradition disconnection theory, transplant literary theory, and internal development theory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literature study. We ought to look back reflectively the facts that the discussion on modernity in the classic literature was made under this epistemological limitation and that we repeatedly detected modern elements in classic literature under the vague understanding of modernity. We paid so little attention to read the authenticity and literary achievement of classic literature because we were seized by obsessional idea of modernism or modern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get out of the attitude that absolutely exclude Middle Age and to have full understanding on the Middle Age to overcome this. It is more than basic meaning of restoring right of erased middle age. Some consider that the problem of modernity discourse is communication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or literarily, communication of realism and modernism. However, it should be premised on the work of reilluminating the medievalism of premodernism earnestly and true communicating of premodernism and modernism. By doing so, the discussion of modernity will be developed based on strong foundation and have opportunity for more active renewal. That is why modernity discussion over classic literature that seemingly antiquated is still required.

      • KCI등재

        김종직의 사제관계와 도학사적 위상

        정출헌 ( Chung Chul-heon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5 No.-

        유교를 국시로 내걸고 건국된 조선사회를 이해하는 키워드 가운데 하나는 일 터다 조선 초기 道學. 지식계층들은 고려후기에 전래된 신유학을 지배 이데올로기로 삼아 사회 전반에 걸쳐 유교문명으로의 전환을 모색해갔다. 그런 과정에서 학술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 가운데 하나로 점필재 김종직을 꼽을 수 있다. 세조대에 출사하여 성종 말년까지 활동했던 그의 행적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대목은 성리학적 학문세계를 부친 김숙자로부터 배워서 김굉필ㆍ이심원ㆍ남효온과 같은 제자들에게 전수했다는 사실이다. 그리하여 김종직은 젊은 제자들로부터 생전에는 ‘마음을 바르게 하는 학문[正心之學]’으로 자신을 이끌어준 스승으로 존중되고, 사후에는 文忠이란 시호를 올려 기려질 정도였다. 실제로 사림정권이 자리를 잡게 된 선조대에 이르게 되면, “정몽주 길재 김숙자 김종직 김굉필 조광조”라는 道統이 정립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전승에 대해서는 적지 않은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고, 심지어 후대에 재구된 假像의 계보에 불과할 뿐이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실제로 그 학문의 授受關係에 대한 실상을 면밀하게 따져보지 않은 채, 정설처럼 통용되고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이런 문제제기에 대한 반성적 차원에서 김종직과 그 제자들의 사제관계에 대해 후대인의 부연이나 추앙이 아니라 당대인의 직접적 증언이라든가 김종직 자신의 기록을 통해 그 실상을 객관적으로 드러내보이고자 노력했다. 그리하여 김종직이 성리학을 새로운 학문으로 받아들이고, 거기에서 터득한 바를 후학들에게 힘써 가르쳤으며, 나아가 유교지식인으로서 자세를 가다듬고 실천해가던 역동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김종직을 중심으로 한 사제 간의 공감과 갈등, 또는 제자들 간의 분화와 새 길의 모색은 그렇게 해서 가능할 수 있었다. One of the keywords to understand Joseon, which claimed to be a Confucian state, is Tao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tellectuals sought a transition to Confucian civilization by using the new Confucianism introduc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as a dominant ideology. Kim Jong-jik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process. The most important activity for him, who began to serve in the reign of King Sejo until the end of King Seongjong, is the fact that he taught many disciples about studying abroad. They are disciples such as Kim Goeng-pil, Lee Shim-won, and Nam Hyo-on. Thus, Kim Jong-jik was respected by his young disciples as a teacher who led him to “disciplinary learning that makes his mind right.” Thus, it is said to be one of the members of the line “Jung Mong-ju→Giljae→Kim Sook-ja→Kim Jong-jik→Kim Goeng-pil→Jo Gwang-jo.” However, suspicions are raised about this genealogy. In fact, there is also criticism that it did not closely examine the reality of the academic transmission process.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in detail the priest-teacher relationship between Kim Jong-jik and his disciples in a reflective dimension to this criticism. In particular, he tried to objectively reveal the reality through the testimony of the person of the time and Kim Jong-jik’s own records. As a result, Kim Jong-jik accepted new study as a new study, a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pecific aspect of teaching younger students.

      • KCI등재

        임진왜란과 전쟁포로, 굴절된 기억과 서사적 재구

        정출헌(Chung, Chul-heon) 한국고전번역원 2013 民族文化 Vol.41 No.-

        임진왜란은 동아시아 삼국의 인민을 전쟁의 광기로 몰아넣었다. 수많은 병사가 전쟁터에서 죽어갔고, 힘없는 백성은 전란을 피해 전국으로 떠돌았다. 그러다가 전쟁포로로 잡혀 일본으로 끌려가기도 했다. 임진왜란 때 잡혀간 조선인은 최대 10만 명쯤 되는데, 그 중 7,500명 정도만 귀환할 수 있었다. 이들의 귀환 경로는 대략 세 가지였다. 첫째는 錦溪 魯認처럼 자력으로 탈출한 경우다. 둘째는 睡隱 姜沆과 月峰 鄭希得처럼 일본인의 도움으로 돌아온 경우다. 셋째는 조선에서 파견한 回答兼刷還使가 데리고 귀국한 경우이다. 이들 가운데 몇몇은 자신의 포로체험을 기록으로 남겼는데, 여기서는 姜沆의 「看羊錄」과 鄭希得의 「海上錄」, 그리고 최척의 구술을 토대로 하여 서사적으로 재구한 趙緯韓의 「崔陟傳」을 주요 텍스트로 삼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이들 포로체험 實記類는 사실의 기록이란 측면에서 다루어져왔다. 하지만 귀국포로들은 자신의 굴욕적인 체험을 기억하는 과정에서 자기 방어기제를 끊임없이 작동시키며 일정한 굴절 현상을 일으켰다. 자신에게 불리한 과거는 기억에서 흐릿하게 처리하거나 아예 배제해버렸던 것이다. 또한 뒷사람들이 이들의 포로체험 기록을 출판물로 公刊할 때도 유사한 방어기제가 작동했다. 과거의 기억이 굴절될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그 결과 중앙정계에 몸담았던 강항은 「간양록」을 통해 자신의 귀국을 ‘충절의 실천’으로 돋보이도록 만들고, 재지사족이었던 정희득은 「해상록」을 통해 자신의 귀국을 ‘효심의 실천’으로 돋보이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최척전」의 주인공이기도 한 최척은 삼국을 떠돌아다니다가 귀국한 자기 부부의 체험을 구술할 때, 부인에게 드리워진 ‘훼절의 의혹’을 불식시키려 애쓴 흔적이 역력했다. 작가 조위한은 이런 구술 사실을 바탕으로 그들 부부의 전란체험을 서사적으로 재구했던 것이다. 이런 검토의 결과, 포로체험을 담은 실기류는 ‘사실의 기록’이라기보다 오히려 ‘기억의 서사’라는 시각에서 보다 섬세하게 읽을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mjin War drove nationals of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into the insanity of war. Countless soldiers were killed in the battle fields and powerless ordinary people had to wander all over the country to escape the war. Meanwhile some people got caught as prisoners of war (POW) and were taken to Japan. As many as one billion people from Joseon were taken to Japan during Imjin War and only 75,000 people among them could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There were approximately three return paths for these people. First, they escaped by themselves, e.g. in the case of Geumgye Noin. Second, they could escape with the help of Japanese people, e.g. the cases of Sueun Gang-hang and Walbong Jeong-Heedeuk. Third, they could return to Joseon with Hoidapgyeom Seohwansa, who were envoys of Joseon to Japan. Some of them kept a record of their experience as POWs (prisoners of war). Here I have examined as my main texts Gang Hang’s Ganyangrok, Jeong Hee-deuk’s Haesangrok, and Jo We-han’s Choiceokjeon, which was reconstituted based on Choi Cheok’s oral statement. The records of POWs’(prisoners of war) experiences were treated as the record of the truth until now. However returned POWs activated defense mechanism incessantly in the process of recollecting their humiliating experiences and bent the truth to a certain degree. They made dim or even excluded for some past events that were disadvantageous to them. Also similar defense mechanism was activated when future generations published these POW records. That is why past memories went through alterations. As a result, Gang Hang who worked for central government made his returning home look like “accomplishment of fidelity” through Gangyangrok, Jeong Hee-deuk, who was a provincial nobleman made his returning home look like “practice of filial piety” through Haesangrok. When Choi Cheok, who is the hero of Choicheokjeon, dictated he and his wife’s experience while wandering three countries, he made a great effort to eliminate the doubt towards his wife’s faithfulness. Jo We-han reconstituted he and his wife’s war experience based on this oral statement. In conclusion, these documents that have POW experiences need to read with deliberate care in terms of ‘narrative of memories’ rather than ‘record of truth’.

      • KCI등재

        여성과 몸 임진왜란의 상처와 여성의 죽음에 대한 기억 -동래부의 김섬(金蟾)과 애향(愛香), 그리고 용궁현의 두 부녀자(婦女子)를 중심으로-

        정출헌 ( Chul Heon Chu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1

        Imjin war that shook the whole East Asia gave people horrible war experience and we got to have numerous war heroes in the process. There were heroes such as Jeong-Bal and Song Sang- Hyun in capturing Busanjin and Dongne fortress, Kim Eung-Seo and Choi Kyung-Hwe in retaking Pyeongyang Fortress and taking Jinju castle, respectively. However, there is an interesting fact that there were war heroines who were comparable to their male counterparts. They are Ae-Hyang, Keum-Seom, Gye Wol-Hyang, and Non-Gae. They were considered as faithful concubines or righteous gisengs who followed their masters` honorable deaths, which means that they only played supporting roles in order to make male heroes` loyalty stand out. Tributes have been paid to two women from Yecheon as virtuous women who threw themselves off a cliff called Ssangjeolam into the river due to urgency of war. However we should keep in mind that among several women who died this day these ladies were recorded as such by their male family members. Men attempted to write these women`s death as dignified. We could see the trace of male authors or controlling noblemen`s certain exaggeration and counterfeit of truth. This article is to read closely and clarify the death of women during the Imjin War: through what process and what method they are remembered by scrutinizing following four books, BusanJinsunjeoldo, DongneBusunjeoldo, ImjinJobyunsajeok, Dongguk Sinsok Samganghengsildo. I focused on the fact that these women did not talk about their death with their own voice. It is essential to reveal how their death were portrayed for the sake of the women who died without voice to restructure their reality and inner side by reading various materials. By doing so, we can reveal by what process their tragic deaths were glorified by male aristocrats. This work of uncovering the process of memory would be the groundwork for advanced analysis and equal humanism of The Story of Virtuous Women in the future.

      • KCI등재

        삼국의 여성을 읽는 두 ‘남성’의 시각-『삼국사기』와『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정출헌(Chung. Chul-he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4 동양한문학연구 Vol.19 No.-

        김부식의『三國史記』와 일연의『三國遺事』는 삼국의 역사를 전해주는 귀중한 우리의 古典이다. 이들은 흔히 正史와 野史, 사대적/자주적, 유가적/불교적, 귀족적/서민적, 합리적/신비적이라는 점에서 대비되는 역사서로 평가된다. 하지만 우리는 이들 두 고전을 ‘유학자/남성’인 김부식과 ‘승려/남성’인 일연이 삼국의 여성을 각기 어떤 시각으로 읽었는가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살피고자 한다. 분석의 대상은『三國史記』「列傳」에 실려 있는 ‘설씨녀’와‘도미’, 그리고 『三國遺事』「感通篇」에 실려있는 ‘김현감호’으로 삼았다. 그 결과 김부식은 본래의 텍스트에 인위적인 개작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씨녀와 도미처를 유가적 규범인 節行과 孝行에 충실한 여성으로 만들기 위해 본래의 서사를 개작했던 것이다. 한편 일연은 불교적 영험을 증명하기 위해 본래의 텍스트를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랑하는 낭군을 위해 희생한 호랑이를 진짜 호랑이가 아니라 관음보살의 化身일 것이라 해석했던 것이다. 그 결과 다채롭던 이들 삼국의 여성은 유가적/불교적 여념에 충실한 인간형으로 왜곡·고착되고 말았다. 우리는 이런 몇몇 사례를 통해 삼국의 여성이 인간중심적·남성중심적인 중세사회를 경과하면서 점차 생기를 잃어버리게 되는 단초를 읽는다. 순종과 희생이라는 여성의 덕목을 실천하고 있다는 讚辭를 얻는 대신. Samkuksagi(三國史記)by Kim Bu Sik and Samkukyusa(三國遺事)by Il Yeon are our valuable classics that convey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e two works generally appreciated as confucian history books in terms of authentic history book, subservien/independent, Confucian/Buddhist, aristocrats/ commons, and rational/mysterious history book, respectively. However, we focus here the two male writers-a Confucian male scholar Kim Bu Sik and a male Buddhist monk Il Yeon. A focal point will be with what viewpoint the two men read the women of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in their classical works.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Seolssinyeo(薛氏女)>, <Domi(都彌〉recorded in Yeolgeon, Samkuksagi(『三國史記』「列傳」)and <Kimhyeon-gamho(金現感虎) recorded in Gamtongpyeon, Samkukyusa(『三國遺事』「感通篇」). Kim Bu Sik seems to adapt the original text factitiously. He adjusted original narrative to make Seolssinyeo and Domi’s wife faithful women to Confucian standards and filial piety. On the other hand, Il Yeon seems to interpret original text arbitrary in order to prove Buddhist miraculous efficacy. He interpreted the tiger that sacrifices herself for her loving husband is not the real tiger but the incarnation of Buddhist Goddess of Mercy. As a result, a variety of women of Three Kingdoms ended up distorted characters and sticked to female types dedicated to Confucian/Buddhist ideas. The women of the Three Kingdoms gradually lose their animation through these cases in humanistic and male-oriented medieval society. Instead, they receive praise that practice the female virtues such as obedience and sacrifice.

      • KCI등재

        사명당에 대한 사대부들의 기억과 그 시대적 맥락

        정출헌 ( Chul Heon Chung ) 한국고전문학회 2014 古典文學硏究 Vol.45 No.-

        임진왜란은 수많은 전쟁영웅을 만들어냈다. 그 가운데 사명당은 가장 다채롭게 기억되고 있는 인물일 것이다. 하지만 거기에는 사실과 가까운 것, 다소 과장된 것, 그리고 턱없이 부풀려진 것이 뒤섞여 있다. 그런 점에서 사명당은 사실과 허구가 복잡하게 뒤얽혀 만들어낸 이미지, 또는 기억의 서사로 재구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런 사명당에 대한 사대부들의 기억이 어떻게 형성·변화되어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세심하게 살피고자 했다. 그 결과 임진왜란 참전을 전후로 한 사명당에 대한 기억은 淸高(청고)한 詩僧에서 慷慨(강개)한 僧將(승장)으로 변화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의 행적을 볼 때, 그건 당연한 변화이다. 하지만 전란 참전 기간 동안 사명당을 바라보는 사대부의 시선이 단일하지 않고 매우 복잡했던 사실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讚辭(찬사)와 憐憫(연민), 自愧(자괴)와 貶毁(폄훼)의 경계를 수시로 넘나들고 있었던 것이다. 사명당은 그처럼 복잡한 시선이 뒤얽힌, 榮辱(영욕)의 삶을 살았던 승려였다. 하지만 사명당의 사후, 그에 대한 기억은 또 다시 극과 극을 오가는 변화를 겪는다. 사명당이 입적한 합천 해인사의 승려들은 그의 전란 참여 행위를 도탄에 빠진 중생을 구제한 불교적 慈悲(자비)로 기억하고자 했지만, 사명당이 태어난 밀양지역 사족들은 국난 극복을 위한 유가적 忠義(충의)로 기억하고자 했다. 둘의 대립은 국가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후자의 승리로 귀결되었다. 그리하여 弘濟庵(홍제암)에 모셔졌던 弘濟尊者(홍제존자)라는 이미지는 희미해지고, 表忠祠(표충사)에 모셔진 四溟聖師(사명성사)라는 이미지가 지금 우리에게 뚜렷이 남아 있게 되었다. Imjin war yielded a multitude of war heroes of whom Samyeongdang would be the figure that was remembered most variedly. However the memory about him are intertwined : some were close to the fact, somewhat exaggerated, and wildly overblown. In that sense, Samyeongdang could be a reconstructed figure by those images that were formed by complication of fact and fiction or narrative of memories. I attempted here to examine closely how the memories of nobles about Samyeongdang were formed and changed and has come to what we know these days. As a result, I could make certain that the memories of Samyeongdang after the war have changed from a pure, noble literary monk to a righteous, brave monk warrior. That was a natural change seeing from his performance. However we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the fact that nobility``s views on Samyeongdang during the war were not the only unified one but very complicated. In other words, the views frequently crossed between praise and sympathy, shame and defamation. Samyeongdang lived a life of honor and disgrace with such intricate perspectives. But after his demise, the memories of him went through another change from one extreme to another. The monks of Haeinsa temple where Samyeongdang passed away tended to remember his achievement as a monk warrior during the war as an act of buddhist mercy that saved people in pain and suffering. On the other hand, local confucian scholars in Milyang where Samyeongdang was born tended to remember his achievement as confucian faithfulness for overcoming national crisi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concluded in the victory of the latter owing to complete national support. Therefore, the image of Hongjejonnja, which means the follower of Buddha, in Hongjeam temple faded out but the image of Samyeongseongsa enshrined in Pyochungsa remained distinctly.

      • KCI등재

        사가(四佳) 서거정(徐居正)의 동국문명(東國文明) 비전과 문장화국(文章華國)의 실천

        정출헌 ( Chung Chul-heon ) 한국고전문학회 2021 古典文學硏究 Vol.59 No.-

        성종대는 유교문명의 완성기로 평가된다. 그 유력한 근거는 『경국대전』을 비롯하여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되던 방대한 서적들이 편찬을 마쳤다는 것이다. 『동문선』˙『동국통감』˙『동국여지승람』˙『동인시화』˙『필원잡기』 등이 그것이다. 이들은 서거정이 임금의 명을 받아 주관하거나 개인적으로 편찬한 것이다. 그 가운데 ‘東國’ 또는 ‘東人’을 표제를 내건 경우가 많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태종대의 『동국사략』˙『동국약운』, 세종대의 『동국정운』, 문종대의 『동국병감』, 세조대의 『동국지도』˙『동국통감』 등도 그런 경우이다. 이른바 <東國 시리즈>라고 부를 만한데, 우리가 조선 전기를 東國文明의 맥락에서 조망해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그리고 그런 흐름의 정점에 서거정이 위치하고 있어, 그가 제기하고 있던 동국문명의 비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거정은 세조 때부터 성종 때까지 20년 넘게 문형을 담당한 인물이다. 그 계보는 “권근-변계량-윤회-권제-정인지-신숙주-최항-서거정”으로 이어진 것이었다. 그런데 서거정은 흥미롭게도 이들 계보에서 변계량부터 신숙주까지를 지우고 있다. 이제현-이색-권근으로 이어지던 여말선초의 文統이 태종·세종·세조대를 건너 뛰어 성종대의 자신에게 곧바로 이어지고 있다고 자부했던 것이다. 그런 의식을 가지고 있던 서거정은 세종 말엽에 집현전 학사가 되어 선배들과 문장 수업을 하며 자신의 시대에 부합하는 자기정체성을 구축해갔다. 그리고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선배그룹과는 다른 문명의식과 동국문명의 비전을 갖게 되었다. 자기 시대의 문명을 대내외적으로 드러내는 文章華國의 실천이 그것이다. 특히 명나라-조선-일본으로 위계화 된 華夷秩序의 체제를 유지·지속시키며, 그것을 문장을 통해 아름답게 드러내는 작업으로 요약될 수 있다. The age of King Seongjong is regarded as the completion period of Confucian civilization. The basis is the completion of books promoted by national projects, including 『經國大典』. 『東文選』·『東國通鑑』·『東國輿地勝覽』·『歷代年表』·『東人詩話』·『太平閑話』·『筆苑雜記』. These are books organized or personally compiled by Seo Geo-jeong under the order of wages. Among them, there are many books titled "東國" or "東人." Of course there were many before that. It deserves to be called the East Country Series. This is why we are paying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eastern country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from the apex, there's a residence.o. This is why he wants to look at the vision of Dongguk civilization he had. Seo Geo-jeong's genealogy is "Kwongeun-Variable Metrics-Yunhoe-Kwonje-Jeong In-ji-New Host-Choihang-Seo Geo-jeong". However, Seo Geo-jeong is deleting from Byun Gye-ryang to Shin Sook-ju. Instead, he is confident that the genealogy, which led to Lee Je-hyun, Yi Saek, and Kwon Geun, will cross the Taejong, Sejong, and Sejodae and lead directly to Sungjongdae himself. Seo Geo-jeong built his identity by training with senior groups in Jiphyeonjeon when he was young. Through such a process, he began to dream of a different sense of civilization than his predecessors. It also set a different role as a literary chapter that embodies civilization of its tim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t believed that establishing a system of that led to Ming-Joseon-Japan and revealing it in sentences was the practice of the Munhwa Bureau. And he played the role faithfully.

      • KCI등재

        문학과 정치 혹은 문학의 정치 ; 17세기 전반 재지사족의 자기정체성 확립과 기억의 정치학 -황석산성(黃石山城) 전투에 대한 엇갈린 기억의 『용문몽유록(龍門夢遊錄)』을 중심으로

        정출헌 ( Chul Heon Ch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6 No.-

        정유재란 중에 겪은 황석산성의 함락은 안음현감 곽준을 비롯하여 인근 지역의 수많은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갔다. 참혹한 전란이 끝난 뒤, 조정에서는 그날의 죽음에 대한 포폄을 통해 전후 상처를 치유하고자 했다. 郭준과 같은 충의의 인물을 포상하는 한편 白士霖과 같은 비겁한 인물을 징계했던 것이다. 하지만 그 선별 작업은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었다. 사실 관계를 입증할 만한 근거란 생존자의 희미한 기억과 그에 대한 지역사족의 정황적 판단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기억하고 있는 자와 판단하고 자의 객관성이란 애당초 기대하기 어려웠다. 합의된 公論에 이르기란 그야말로 至難한 과정이었던 것이다. 안음 지역의 人物·名勝·古蹟·詩史 등을 다루고 있는 『龍門夢遊錄』은 재지사족의 이런 전후 복구 노력, 보다 구체적으로는 『安陰邑誌』 편찬 과정에서 벌어졌던 치열한 논란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창작된 작품이다. 안음의 유력한 재지사족이었던 작가 申착은 꿈의 서사 형식을 빌려 시비가 일고 있는 민감한 사안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강력하게 제기했던 것이다. 황석산성에서 죽은 인물 가운데 충의·효자로 추숭할 만한 인물이 누구인가를 천명하고 있는 부분이 전반부라면, 안음현의 명승·고적·시사 가운데 올바르게 실려야 할 것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는 부분이 후반부이다. 그건 17세기 전반부터 재지사족의 주도로 활발하게 편찬되던 私撰邑誌의 人文地理的 성격과 일치한다. 재지사족에게 있어 지역의 ``인물``과 ``지리``는 결코 분리될 수 없는 온전한 자신들의 몫이었기 때문이다. 그런 읍지의 편찬은 재지사족이 지역사회에서 자기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인 동시에 향촌사회의 지배력을 장악해가는 과정이기도 했다. 때문에 재지사족 간에 쉽게 양보할 수 없는 민감한 문제들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때문에 재지사족 간의 치열한 경합은 물론 중앙의 정치권력이라든가 인접지역의 사족들과 적극적인 연계를 모색하기도 했다. 작가 신착이 황석제공 선정에 대한 논란에 자기 의견을 강력하게 피력하는 것이라든가 정온이 중앙정계의 이원익을 비롯하여 인근 지역의 최현·이준과 같은 유력 사족의 적극적 지원을 이끌어내고 있는 것은 그런 실천적 사례의 하나이다. 그 과정에서 재지사족은 邑誌 편찬이라든가 鄕案 작성은 물론 夢遊錄과 같은 몽유서사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우리는 그 지점에서 문학과 정치가 불가분의 관련을 맺고 있는 구체적 실상을 목도하게 된다. The fall of Hwangseok Fortress during Jeongyu War led so many people in the district to death including Gwak Jun, magistrate of Aneum district. After the horrendous war, the court attempted to heal postwar wounds through determining between right and wrong over the deaths. The government rewarded a faithful figure such as Gwak Jun, on the other hand, it punished craven people such as Baek Sa-Rim. However the selection process wasn`t simple matter at all because the ground to prove the truth of the matter could only depend on vague memories of war survivors and circumstantial judgment of the regional aristocrats. Objectivity of people who remember the facts and judge them was hard to ensure from the beginning. To reach agreed public opinion was truly difficult procedure. Yongmunmongyurok, a book dealing with people, scenic spots, historic remains, literary works in Aneum district, is a work about post war restoration effort by regional aristocrats, more specifically, closely related to intense controversy over the process of compiling Aneumeupji. Shin Eon-Tak,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neum regional aristocrats, proposed his views strongly about sensitive and controversial issues by using dream narrative. He elucidated who deserved reverence as examples of faithfulness and filial piety among the dead in Hwangseok fortress in the first half and clarified what should be recorded appropriately in the book among scenic spots, historic remains, literary works in Aneum district in the latter part. It corresponds to anthropogeographical attributes of Sachaneupji which was actively created and led by regional aristocrats from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Regional people and geography were their own inseparable share for those aristocrats. Compilation of Eupji, a town chronicle, could be process of establishing self identity of regional aristocrats in the local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process of seizing power in their country districts. That`s why unyielding sensitive issues surfaced among regional aristocrats. The intense competition among regional aristocrats led them to seek liaison with central political powers or aristocrats in the adjacent districts. One example is that author Shin Chak expressed forcefully about the controversy over the selection of Hwangseok Jegong, people who died in the war in Hwangseok mountain and another is that Jeong On draws active support of aristocrats Choi Hyeon, Lee Jun in neighboring regions including Lee Won-ik of central politics. In the procedure regional aristocrats compiled Eupji, a town chronicle, and recorded the registry of village aristocrats as well as actively utilized dream narrative as mongyurok. We could witness the specific reality of clos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from these examples.

      • KCI등재

        논문 : 조선 전기 잡록과 『추강냉화』, 남효온의 깊은 슬픔과 시대정신

        정출헌 ( Chul Heon Ch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4 No.-

        조선전기에는 필원잡기(筆苑雜記)·용재총화(용齋叢話)와 같은 잡록류(雜錄類)가 다수 산출되었다. 이들 잡록은 훈구관료 사회의 주변에서 떠돌던 이야기를 채록한한담(閑談)과 소화(笑話)의 자료로 취급되거나 서사문학사의 맥락에서 주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조선전기의 문명적 기틀을 일궈갔던 훈구관료 문인은 당시 동문선·동국여지승람·동국통감·경국대전과 같은 국가 편찬사업을 주도했던 인물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당대의 문물. 제도. 시화. 풍속 등의 일화를 망라하고 있는 잡록편찬과 국가적 인문서적의 편찬을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 성종대에 활발하게 진행된 국가 편찬사업의 문화적 지평에서 훈구관료 문인의 잡록을 새롭게 읽어야 하는 까닭이다. 하지만 성종대는 정치권력과 문단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훈구관료와 새롭게 성장하기 시작하던 신진사류의 갈등이 날카로워지던 시기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훈구관료를 대표하는 서거정의 필원잡기와 신진사류를 대표하는 남효온의 추강냉화(秋江冷話)는 비록 잡록이란 동질성에도 불구하고 거기에 담긴 일화의 차별성 또한 충분히 예견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그 점을 염두에 두며 현실정치에서 소외된 남효온이 자신이 직접 겪은, 또는 자기가 보고 들은 일화들을 거두고 있는 추강냉화를 새로운 독법으로 읽고자 했다. 잡록에 실린 일화들이 일견 산만하고 잡다하게 보일지 몰라도 그것 모두는 편찬자 ‘개인의 내면`과 그가 호흡하던 ‘시대의 문제`가 충돌하거나 교감하는 파란(波瀾)의 지점에서 포착된 것들이다. 실제로 추강냉화에 실려 있는 일화들을 통해 개국공신의 후예였던 남효온이 훈구관료의 장벽에 가로막혀 현실정치에서 겪어야 했던 좌절과 소외, 분노와 슬픔, 그럼에도 불구하고 죽을 때까지 견지했던 시대정신이 번득이던 양상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거기에는 훈구관료에 대한 분노만이 아니라 시대정신을 함께했던 많은 사우(師友)들과의 동류의식과 분화양상도 담겨 있었다. 현실정치에서 배제된 남효온은 잡록이라는 문학 갈래를 우회로로선택하여 자신의 시대를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었던 것이다. 남효온의 추강냉화와 다른방식으로 성종의 시대를 기억하고 있는 서거정의 필원잡기를 새롭게 읽어보는 작업은 추후의 과제이다. Miscellanea such as Pilwonjabgi, Yongjaechonghwa were produced in large quantity in early Joseon period. These Miscellanea were mostly treated as materials for records of miscellaneous tales and funny stories surrounding Hungu bureaucrat society or were focused on the context of narrative literature. However, Hungu bureaucrat writers that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a new nation`s civilization in early Joseon period were the people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national compilation projects such as Dongmunseon, Donggukyeojiseungram, Dongguktonggam, Kyeonggukdaejeon, etc. Thus compilation of national humanities books, and miscellanea which covered anecdotes of contemporary culture, institution, poetry, paintings, and customs was inseparable. That is why miscellanea of Hungu bureaucrat writers should be interpreted in a new perspective based on cultural horizon of national compilation projects actively proceeded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 However, King Seongjong`s reign was the period when the conflicts were increasing between Hungu bureaucrats who dominated political power and literary scene, and newly rising neo-confucian scholars. Though Seo Geo-jeong`s Pilwonjabgi and Nam Hyo-on`s Chugangnanghwa share the similarity of miscellanea but we can predict that the two works preserve differentiation in anecdote since they represent Hungu bureaucrat and newly rising neo-confucian scholars respectively. This article is to read Chugangnanghwa with a new reading method by Nam Hyo-on who was isolated from real life politics. He wrote it from his own experience or something he saw and heard. These anecdotes recorded in the book may seem vague and miscellaneous but they captured at the point of turmoils of conflicts and communion of his inner world and problems of the time that he lived. As a matter of fact, we can identify varied aspects of Nam Hyo-on through the anecdotes in Chugangnanghwa who was descendant of founding contributors but from the obstacles of real life politics he had to endure frustration, isolation, fury, grievance and in spite of all that, he adhered to his flaring spirit until he died. They displays not only his rage against Hungu bureaucrats but camaraderie with many fellow scholars who shared the spirit of the times and new aspects how all divided. Nam Hyo-on who was excluded in real politics witnessed his own times vividly by taking detours of literary genres called miscellanea. Reading Pilwonjabgi by Seo Geo-jeong in a new light will be future assignment that reminds us of the era of King Seongjong in different views from Nam Hyo-on`s Chugangnanghw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