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원유유출 모의시험 챔버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정진도(Jin Do Chung),이동현(Dong Hyun Lee)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2007년 12월 태안반도의 원유유출 사고 당시 대기중 방출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추정하고자 원유유출 모의시험 챔버를 제작하였다. 이 챔버를 이용하여 온도와 기류를 변수로 두고, 시간에 따른 총 VOCs 농도와 개별 VOCs 농도의 변화를 측정 분석 하였다. 기류가 강할수록 VOCs의 농도가 낮고 온도가 높을수록 VOCs의 농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총 휘발성유기화합물(TVOCs)은 원유가 유출된 직후 6일이 지나면서 초기농도 대비 90% 이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repared and utilized an imitation trial test chamber for a petroleum spill to predict the concentration of discharg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air at the time of Tae-An peninsula`s petroleum spill, which happened in December, 2007. The petroleum spill imitation trial test chamber measured and analyzed the concentration variation of total VOCs. As the ambient air velocity increased, so the concentration of VOCs decreased; and as the water temperature rose, the concentration of VOCs increased. Furthermore, it appears that total concentration of VOCs decrease by more than 90% 6 days after the initial petroleum spill compared to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VOCs.

      • KCI등재

        TFT-LCD BLU용 고압 케이블의 재료특성 및 제조공정 개선을 통한 성능 향상

        정진도(Jin-Do Chung),김재훈(Jae-Hoon Kim),구경완(Kyung-Wan Koo),황승민(Seung-Min Hwang) 대한전기학회 2009 전기학회논문지 P Vol.58 No.4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igh voltage cable for BLU(backlight unit) of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he analysis for the trial products(UL3239, UL3633) is conducted by using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EDX(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The result that it is possible to accumulate the know-how to about stranding pitch through effective improvement of stranding process. The troubles which are the badness of withstanding voltage and tensile strength etc. are solved by development of excellent material. Furthermore, phenomenon of conductor unfasten in the harness work is solved by improvement of the stranding wire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투고 논문 : 아함(阿含) 경전(經典)에 보이는 부파(部派) 소속(所屬)의 판단 기준으로서의 률적(律的) 요소: 륙쟁본(六諍本)을 일례(一例)로

        정진일 ( Jin Il Chung ) 인도철학회 2012 印度哲學 Vol.0 No.34

        동투르키스탄에서 발견된 아함 전적을 전승한 불교인들은 十誦律보다는 오히려 根本說一切有部律과 유사한 율장을 계승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 율장 또한 같은 지역에서 출토된 아함 전적에 보이는 용어상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 이처럼 두 종류의 율장이 동투르키스탄에 존재하였음이 입증된 이상 동투르키스탄 출토의 아함 전적과 十誦律을 포함한 소위 說一切有部律 사이의 관계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 十誦律에 포함된 아함 구절이 동투르키스탄에서 발견된 아함 전적과 공통된 근원을 시사하지 않을 뿐 아니라, 후자에 포함된 소수의 율적 요소들도 十誦律과 같은 부파에서 유래한다고 하는 추측을 확증하는 것 같지는 않다. 동투르키스탄 출토의 아함 전적과 소위 說一切有部律이 같은 부파에 속한다고 보는 것은 아직 확정하기 곤란한 상정이다. 논자는 여기서 衆集經 중의 六諍本에 관한 구절의 산스크리트본을 새로 복원하여 이를 滅諍事(Adhikaranavastu) 중의 해당 부분과 倂置함으로써 이 문제의 해결에 기여하고자 한다. Discussions on the Sarvastivada and Mulasarvastivada works have often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diction between the Sanskrit versions of the Agama texts, namely those from Eastern Turkestan and those from Gilgit. Thereby the general consensus of opinion seems to have been that the Sanskrit Vinaya texts from Eastern Turkestan, which show congruency with the Shisong-lu, derive from the same Buddhist school as the Agama texts found in the same region. The Agama texts from Eastern Turkestan and those contained in the so-called Mulasarvastivada Vinaya from Gilgit are, apart from differences in diction, by and large congruent, whereas the Vinaya texts differ from each other considerably. This circumstance has led scholars to assume that the two Buddhist schools possessed their own Vinaya traditions, but shared an Agama tradition. The Za-ahanjing, i.e. the Chinese Samyuktagama, supposedly derives from the same tradition as the so-called Mulasarvastivada Vinaya. This assumption is also supported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former with the Vinaya texts of different traditions. And so we may safely infer that the Buddhists who passed down the Za-ahanjing were very closely related to, or were the same as, those who passed down the Mulasarvastivada Vinaya. On the other hand, a comparison of the sutras preserved in the Shisong-lu with those in the Za-ahanijing and the Sanskrit parallels from Eastern Turkestan as well as Gilgit seems to suggest that the Shisong-lu derives from a textual tradi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three. This view is corroborated through further passages in the Mahaparinirvada-sutra of the Dirghagama containing the story of the ``Cremation of Buddha``s Body and Distribution of the Relics``. The story in the Eastern Turkestan version of the Mahaparinirvada-sutra finds parallels in the Mulasarvastivada Vinaya as well as in the Shisong-lu, and is congruent with that preserved in the Mulasarvastivada Vinaya, but shows considerable differences from the Shisong-lu version. The congruency between the Sanskrit Agama texts from Eastern Turkestan and the Mulasarvastivada Vinaya does not seem to have been confined to the Agama citations, or to the narrative portions. In the Sangiti-sutra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Sanskrit fragments from Eastern Turkestan there are passages on the six roots of contention(Skt. sad vivadamulani). These passages show a striking similarity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in the Adhikaranavastu from Gilgit, a degree of similarity which cannot be observed between the Shisong-lu and the so-called Mulasarvastivada Vinaya.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tempting to assume that the Buddhists who passed down the Agama tradition found in Eastern Turkestan possessed a Vinaya corpus which rather looked like the Vinaya from Gilgit than the Shisong-lu, possibly with specific features in diction corresponding to those of the Agama texts. Seeing that the existence of both Vinaya traditions has been proven in Eastern Turkestan, admittedly in unequal frequencies for whatever reason, a re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ama texts from Eastern Turkestan and the so-called Sarvastivada Vinaya tradition including the Shisong-lu, appears to be indispensible.

      • SCIESCOPUSKCI등재

        폴리감마글루탐산 및 구연산을 혼합한 인산칼슘 시멘트의 역학 및 생물학적 분석

        정진화 ( Jin Wha Chung ),김정만 ( Jung Man Kim ),김승수 ( Sung Soo Kim ),권순용 ( Soon Yong Kwon )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 2009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d evaluate the injectable alpha tricalcium phosphate(α-TCP) cement mixed with poly-gamma-glutamic acid(PGGA) and citric acid. α-TCP and PGGA component powders and citric acid solution were prepared. After mixing each 5, 10 and 15 wt% PGGA with α-TCP powder, the best match was decided by mechanical study. And then studies of initial setting time, pH, released calcium ion, mechanical strength, dynamic viscosity were done after mixing each 5, 10 and 15 wt% citric acid solution with α-TCP cement incorporated with 10 wt% PGGA. Also, cell proliferation assay using osteoblast and confocal microscope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10 wt% PGGA mixed with α-TCP cement was the best mechanical strength(compression strength; 50 MPa & diametral tensile strength; 18 MPa), but the initial setting time was about 90 minutes. After mixing various weight percents of citric acid, mixing with 10 wt% citric acid showed 80 MPa of compression strength, 22 MPa of diametral stensile strength and 5 minutes of initial setting time. As compared to control(MIIG™ 115), this match showed higher absorbance in cell proliferation assay, more individualization of actin and more activation of integrin in confocal microscope. Conclusively, α-TCP cement mixed with 10 wt% PGGA and 10 wt% citric acid showed good mechanical and biologic results. This study can be applied clinically to making injectable calcium phosphate cement bone substitute.

      • KCI등재

        한국전쟁기 좌익피해담의 재구성

        정진아(Chung, Jin A)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통일인문학 Vol.56 No.-

        대한민국 국가권력은 국군/우익과 미군에 의한 학살에 대해서는 침묵할 것을 강요하는 한편, 빨갱이 담론과 전쟁피해를 직결시켰다. 그리고 그것을 공식기억으로 전유하였다. 그 과정에서 좌익세력(빨갱이)은 피해를 주도한 세력으로 더욱 ‘악마화’되었다. 그러나 한국사회가 민주화되면서 국가의 공식기억에 도전하는 다양한 체험담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이 논문은 2012~2013년 건국대학교 한국전쟁체험담 조사팀이 전국에서 채록한 전쟁체험담을 바탕으로 구술자들이 국가가 공식기억으로 만들어 놓은 인민군 혹은 지방 좌익세력의 피해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내는 양상을 유형화하고, 그것이 갖는 함의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한국전쟁기의 좌익피해담 재구성 방식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공비에 의한 학살로 은폐되었던 국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해 “우리를 죽인건 빨갱이가 아니다”라고 당당하게 밝히고, 진상규명 운동을 전개하는 방식이다. 피학살자 유족들은 학살의 주체를 국군이라고 분명히 밝힘으로써 국가의 공식기억에 도전하였다. 둘째는 자신들의 실제 경험을 통해 패륜적이고 잔인무도한 빨갱이의 이미지를 역전시키고, “빨갱이도 우리와 같은 인간이다”라는 사실을 역설하는 방식이다. 특히 어린 시절 전쟁을 경험한 사람들은 어린이의 순수한 시선으로 공식기억의 경계를 넘어서고 있었다. 셋째는 좌익과 우익세력의 학살을 모두 경험하고, 그것을 성찰하고 반추하는 과정을 통해 “전쟁은 우리 모두의 상처다”라는 것을 지적하는 방식이다. 좌우의 학살을 모두 경험한 사람들은 좌익세력에게 전쟁과 학살의 책임을 일방적으로 전가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전쟁을 우리 모두의 상처로 보듬자고 제안함으로써 국가의 공식기억을 해체해나가고 있다. 한국전쟁기의 학살과 피해는 국군과 우익 뿐 아니라 인민군과 좌익세력에 의해서도 대대적으로 발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에서 좌익피해담을 문제삼고자 하는 것은 한국사회에서는 인민군과 좌익세력에게 모든 책임이 전가되고, 그것이 좌우, 남북의 증오와 대립을 조장하는 기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쟁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의 가슴 아픈 역사로서 학살과 가해/피해의 문제를 보듬어 안고, 끊임없이 복기하고 성찰하는 재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그럴 때 전쟁은 이데올로기의 영역에서 우리의 삶의 영역으로 정당하게 돌아올 것이다. While the state power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forced the bloody massacre by the Korean army/the Right and US army to be silenced, it connected discourse of the Reds to the ravages of war, which became the official memory. In the process, the left became ‘demonized’ to be the main culprit of tremendous damage. South Korea being democratized, however, various cases of experience came pouring out which challenged to the official memory of the state. This treatise categorizes the different aspects of telling the damaged experiences by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local leftists which became the official memory by the state, and also tries to analyze its significance, based on the tales of war experiences collected nationwide by Konkuk Research Group of Korean War Experiences 2012~2013. Reconstruction of damage Experiences by the left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first, it should be revealed that the civilian massacre by the red guerrillas was actually done by ROK. Families of the deceased challenged the official memory of the state by openly declaring that “It was not the reds who killed our family.” Second, the brutal and abominably cruel image of the reds should be changed by actual experiences of the victims, and it should be known that “the reds are human beings even as we are.” Especially those who experienced war in their childhood recall the war experiences through the children’s eyes, and their point of view is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official memory. Finally,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War is the wounds for all of us.” It can be done through experiencing massacre by both the left and the right, and carrying out reflec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past experiences. People who experienced massacre by the left and the right do not accuse solely the left of the war and massacre but suggest that the war has been the wounds for all of us, and accordingly they are deconstructing the official memory of the state.

      • KCI등재

        해방 20년(1945~1965) 한국 경제학계와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

        정진아 ( Jin A Chung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5 延世經濟硏究 Vol.22 No.3

        이 글에서는 해방 20년 한국 경제학계의 동향 속에서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의 경제학 교육을 살펴보았다. 해방후 연희전문학교 상과는 연희대학교상경대학의 경제학과, 상학과 체제로 전환되었다. 연희대학교 상경대학에서는 고전학파, 역사학파, 신고전파, 케인즈경제학과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이론적 탐색이 이루어졌고, 한국의 경제현실과 국제경제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6.25전쟁이 체제전의 성격을 띰으로써 많은 경제학자들이 월북, 납북 또는 사상적 이유로 대학을 떠났고, 교수진의 공백이 심각했다.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은 모교 출신 인재를 영입함으로써 교수진의 공백을 메꾸었고, 학생들은 상경연우회의 연구조사활동과 연구발표회를 통해 수업내용의 결손을 보완해나갔다.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은 1950년대 후반 상경대학 재편을 단행하면서 자기정체성을 분명히 정립하였다. 경제학과의 방향을 종래의 이론 중심에서 기업경영과 정책수립에 필요한 실천이론을 발전시키는 쪽으로 전환하고, 기업경영 실무를 집중적으로 연구할 상학과와 경영학과를 상경대학의 틀 속에서 함께 발전시키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후 연세대학교 상경대학은 워싱턴대학프로젝트를 통해 미국의 경영학 이론과 사례연구 중심의 커리큘럼, 토론식 교수법 등의 신사조를 전면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기업경영의 실무적 기반을 쌓고자 경영학과와 한국의 경제이론과 경제정책을 실증적,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적 실천경제학’을 추구한 경제학과의 양대 학풍으로 정립되었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trends of the circle of economics in Korea during the 20 years after the Liberation, focusing on Economics education in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sei University. After the Liberation, the Division of Commerce of Yonhee School was settled into the Department of Economics and Department of Commercial Science under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in 1950.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which was a collision between the two systems, many economists left the university as they went or were kidnapped to North Korea or for ideological reasons.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sei University filled the gap by inviting competent people among its alumni, and the students compensated the loss of class through research activities and seminars led by the Commerce and Economics Research Club Y.S.U.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sei University established its self identify clearly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college in the late 1950s. As the Washington University Project was promoted in the late 1950s, the College of Commerce and Economics of Yonsei University was finally settled to have th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at tried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by accepting new trends such as American business administration theories, case study oriented curriculums, and discussion based teaching methods. And the Department of Economics that pursued “Korean style economics” from a subjective position by analyzing economic issues in Korea positively and critically and suggesting altern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