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의학교육과 헤게모니 경쟁 : 경성제대 의학부의 설립과정과 제도적 특징을 중심으로

        정준영(JUNG Joon Young) 한국사회사학회 2010 사회와 역사 Vol.0 No.85

        이 글은 경성제대 의학부가 식민지의 의학교육 및 연구에 미친 영향을 검토한다. 경성제대 의학부의 설립과정은 대학 설립을 둘러싸고 식민당국과 제국정부, 서양인선교사들과 조선인들이 벌인 ‘헤게모니 경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세브란스의전을 중심으로 기독교 종합대학을 설립하려 했던 서양인 선교사들의 시도는 경성제대 설립의 직접적인 촉진제의 하나가 되었다. 총독부는 이러한 ‘헤게모니 경쟁’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서 본토의 제국대학체제를 식민지에 그대로 도입했다. 당시 제국대학은 일본 내에서도 최고학부였기 때문에, 식민당국은 이를 통해 ‘동화’ 정책에 대한 식민당국의 정치적 의지를 과시하고자 했으며, 또한 제국대학은 지식생산에 있어서도 독점적인 기관이었기 때문에, 식민당국은 이를 통해 식민통치에 필요한 지식을 ‘과학적 권위’의 이름으로 축적하여 활용하고자 했던 것이다. 설립 이후, 경성제대 의학부가 한편으로는 식민지의료 및 의육체제의 연속성과 경험을 기반으로 식민지적 이해관계에 충실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제국의 최고 대학에 걸맞은 교육 및 연구기반을 갖추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적 권위를 확립하는데 주력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적 성격은 의학부 교수진 구성과 강좌구성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교수진의 구성은 한편으로 ‘식민지의 경험’이 강조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본토의 제국대학에 뒤지지 않는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오히려 동경제대 중심의 학벌구조를 타파하고자 하는 ‘실험적’ 성격을 가질 수 있었다. 강좌구성과 학문 활동에서는 실지조사를 통해 확보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실증 과학적 분석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했는데, 이런 방대한 실지조사 자체가 권력의 개입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식민지적 상황의 산물이다. 결과적으로 경성제대 의학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와 교육은 거기에서 파생된 식민주의적의도 · 효과와 결코 명백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런 ‘뒤얽힘’이야말로 식민지근대성의 특징적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and reveal meanings of the making of KIUMS and it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 colonial korea through analysing hegemony competition concerning medical education. As medical school, KIUMS overwhelmed other medical colleges( Senmongakko, 專門學校) in terms of periods of education, financial assistance, privileges for the graduated, and so on. What is distinct about KIMUS compared to other medical colleges was that this was established as the highest level of Japanese educational system, that is, imperial university(deikoku daigaku, 帝國大學). In Japan, the imperial universities was the privileged state apparatus which was established for the education of 'national elite' and the monopoly of 'modern' knowledge-production for national strength and wealth. As a imperial university, KIUMS was differentiated with other higher educations for the colonized which was founded by the western imperialism, in that the colonial university gained the same status with metropole's universities of the highest level. And then, why did the Japanese colonial power established KIMUS as a imperial university? I argued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result of hegemony competition concerning medical education in the colonial society. While Chosun Government-General(CGG) oppressed higher education for the colonized in the 1910's,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y, supported by Koreans, act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christian college. The both continued competing in building schools of higher education level. Especially in Medical education, what was at issue is whether the medical school was chartered as medical college or university medical school, for the privilege of medical license has been conceded to the graduates of chartered medical schools. And therefore, Severance Union Medical School, founded by foreign protestant missionaries, pushed ahead with building the chartered medical college(醫學專門學校) and even a christian university. In order to seize the initiative of medical education, CGG had no choice but to build the university which overwhelmed this movement. KIMUS, established in 1926, was the outcome of this hegemonic competition. Furthermor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KIMUS were reflected in the outcome of such conflicts, too. For solidification of hegemony in colony, CGG built colonial university as a imperial university, which led to the acquisition of elements of the imperial university which the colonial rule did not intend. The vision of university for colonial rule and the universal vision of modern university were inherently conflicting. In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KIMUS, many controversial element existed together and exacerbated the disrupture of the university.

      • KCI등재

        제국일본의 도서관체제와 경성제대 도서관

        정준영 ( Joon Young J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5 사회와 역사 Vol.0 No.105

        이 논문은 경성제대 도서관의 모델이 되었던 일본의 근대 도서관의 확립과정, 그 중에서도 제국대학 도서관체제의 특징을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경성제대 도서관의 설립과 운영에 대해서는 이미 기존연구를 통해 상당부분 해명된 바가 있지만 활용 가능한 자료의 제약으로 많은 부분이 과제로 남겨져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 중 하나로 경성제대가 모델로 삼고 있었던 일본의 제국대학 도서관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추적하는 방식을 택했다. 여기서는 일본의 근대 도서관의 도입경위, 당시 일본 최고학부(最高學府)였던 제국대학의 도서관체계의 형성과정 및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검토했는데, 이것은 일차적으로는 일제강점기 대학도서관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적 연구로 의의가 있지만, 사료의 한계로 빈 곳이 많을 수밖에 없는 대학도서관의 존재방식 및 기능에 대한 참조와 부분적 복원이라는 의미도 가진다. This article shows the concrete trajectories of making modern university libraries in prewar Japan. Especially, the formation of Tokyo Imperial University(TIU) Library becomes the main focus of this article, for library system of TIU acted a role model for all other university libraries in Japanese Empire. As a part of this system,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accepted institutional structures and practices of TIU Library intactly. An attempt of this article for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mperial university library system, therefore, will help us a better understanding of making modern university libraries since the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조선총독부의 "식산"행정과 산업관료

        정준영 ( Joon Young J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2

        이 논문은 조선총독부의 행정기구, 그 중에서도 식산국과 같이 산업정책을 관할했던 기구들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 기구의 변천과정 및 인사이동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패턴들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식민지 ‘식산행정’의 의미 및 총독부 산업관료의 성격도 검토해보았다. 최근 식민지 관료에 주목하는 중요한 연구 성과들이 제출되고 있지만, 식민지배의 실질적인 작동방식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는 아직 시작단계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식민지관료 연구와 더불어, 식민지 통치를 일선에서 담당하고 있었던 조선총독부 통치기구가 어떻게 구성되었고, 어떻게 변천했는지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체계적인 인식을 획득하는 것은 연구의 과제로서 여전히 유효하다. 이런 문제의식 아래에서 이 논문은 구체적으로 두 가지 방향에서 분석을 시도했다. 첫째, ‘식산’을 표방했던 일제의 산업행정의 외연과 내포가 식민통치 상황의 변화 속에서 어떻게 변모해 나갔는지 식산국의 기구변천과 인사변동을 통해서 그 대략의 경향을 추적했다. 둘째, 관보와 직원록을 이용해 식산국의 인적 구성과 관료이력에 대한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그 특징을 시기적으로 분석했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patterns on changing process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Industrial Promotion’ and career trajectories of industrial bureaucrats in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oncerning colonial bureaucracy of prewar Japan, there are many recent researches which has been conducted on how a particular bureaucrat affects the implementation of concrete policy procedure in the colonial state. However,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political orientation of particular bureaucrats as political interest groups, and thus were not sufficient to derive sociological insights from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colonial stat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structured patterns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ir implication as the colonial state, through analysing the details of department reorganization of the Industrial Promotion Bureau (殖産局; IPB) that was responsible for industrial administration of colonial Korea, and tracing career trajectories of IPB bureaucrats, especially department heads of IPB.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사관의 차질(蹉跌) : -조선사학회와 1920년대 식민사학의 제도화-

        정준영(JUNG, Joon-Young) 한국사학사학회 2016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4

        이 논문은 1923년에 조직되어 대략 1930년대 초반까지 활동했던 조선사학회라는 일본인 단체에 주목하면서, 1910년대 후반 이후 일제의 식민사학이 어떤 딜레마적 상황에 처해있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1920년대 들어 어떻게 식민지 관변사학의 제도화를 모색했는지를 검토했다. 1923년 설립되어 1924년에 이르기까지 왕성한 활동을 전개했던 조선사학회는 식민사학의 제도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보았듯이 여러모로 전환기적 성격이 강했다. 조선사학회가 설립되었던 것은 1916년 조선총독부가 의욕적으로 출범시켰던 ‘조선반도사’ 편찬사업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사실상 중단된 이후 1922년 조선사편집위원회가 설치되어 관변 역사편찬의 새로운 전환을 모색했을 무렵이었다. 이런 전환의 시점에서 조선사학회는 1910년대 조선반도사 편찬사업이 가졌던 식민지 통사의 문제의식, 즉 조선이 식민지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역사적 사실에 입각해서 통시대적으로 서술한다는 지향을 계승하면서도, 관변통사 자체가 가지는 자기모순, 즉 역사연찬과 역사보급 사이의 딜레마를 ‘지상강의(紙上講座)’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취해서 극복하려 했다. 하지만 이런 조선역사의 보급이 과연 실효를 거두었는가 하는 것은 여전히 문제가 있는 듯이 보인다. 실제 서술에서 조선사강좌가 과연 누구를 독자로 겨냥하고 있었는지가 불분명할 뿐 아니라, 과연 이런 통속강좌로 조선인들에게 의도했던바 의식의 개선이 당시에 이루어 졌는지도 의문의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Chosensigakkai, or The Chosun History Society was established by Oda Shogo(小田省吾), the high-ranking officer of the Chosen Governor-General and the Japanese historians who served for government in Colonial Korea, and was officially accredited as a “academic society in 1923. This association held many academic lectures for a year since its foundation, and published and distributed lecture note, The Lecture of Chosen History(朝鮮史講座) every month. Especially, the publication of this lecture note was closely related to the Chosenhantosi(朝鮮半島史) compilation project that the colonial state had promoted enthusiastically in the 1910s promoted enthusiastically.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compile a unique Korean history in perfection from the viewpoint of Japan. But, this project failed and the colonial state changed its direction. In this sense, the activities of Chosensigakkai in the 1920s can be located i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lonial historiography.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and reveal meaning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lonial historiography through analyzing the activities of Chosensigakkai in the 1920s.

      • KCI등재

        코로나 시대 마스크 착용의 정치학 - 팬데믹 초기 국면의 역사화

        정준영(Jung, Joon Young) 역사비평사 2021 역사비평 Vol.- No.137

        This article tracks the various meanings of mask-wearing amid the global spread of COVID-19 and examines how these meanings are positioned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is article aims to focus on the controversy surrounding face masks at the early stages of the Pandemics, and analyzed the multi-layered political meaning of mask-wearing from the perspective of racism, democracy, and public trust. To historicalize the experiences of the early stages of quarantine will be useful for raising some issues to understand the new social landscape and the changed life world in the new normal era.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

        정준영(Jung, Joon-Young),송선희(Song, S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몰입과 원하는 진로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진로 결정수준과 자신의 학습한 내용과 결과에 만족을 하는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했다. 추가적으로 진로 결정수준과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과의 관련성도 확인했다. 이를 위해 2019년 11월 8일부터 12월 1일까지 전국 4년제 대학생 398(남:217, 여:181)명을 대상으로 진로 결정수준검사,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 학습만족도 검사를 자기 보고식 설문으로 실시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 결정수준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진로 결정수준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진로 결정수준이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처럼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고, 학습에 만족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진로를 결정 할 수 있도록 진로에 대한 다양한 교육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진로 교육을 통해 자신의 진로 결정수준이 높아진 학생은 진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함으로 학습의 결과도 좋아지고 학생의 학습만족도도 높아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which is required to concentr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which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and leaning satisfaction, was also confirmed. For this study, 398(male : 217, female : 181) university students answered self-report questions about career decision lever test, self-directed learning preparation test and learning satisfaction tes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on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on self-directed learning.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on learning satisfaction. Fourth, career decision making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as a media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for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learning and to be satisfied with their learning,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m about various career for they can decide their career. Students who have high career-decision level through career education will self-directed learning to achieve their goals. And they have learning satisfaction

      • KCI등재

        경성제국대학의 유산 -일본의 식민교육체제와 한국의 고등교육-

        정준영 ( Joon Young Jung ) 현대일본학회 2011 일본연구논총 Vol.34 No.-

        This paper elucidates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educational institution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case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of colonial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role of university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its ``traces`` and ``residues`` in postcolonial Korea. What is distinct about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compared to other colonial universities was that this was established as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for the metropolitan students and treated as such. While the colonial universities founded by the western imperialism symbolized not only the ``benevolence`` of civilization but also ``degradation`` of colonies,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manifested the strong political gesture of the Japanese colonialism for assimilation policy. In this context,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of assimilation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mperial University in colonial Korea.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d the Japanese system of higher education, especially that of imperial universities.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was bound to such structural constraints of Japanese imperial universities and this left much room for the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onial universities. Secondly, this study examined the establishment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terms of formation of colonial educational system in colonial korea.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established in 1926 was the outcome of hegemonic competition with among colonial agencies for founding university. The colonial rule not willing to permit the establishment of universities except for the colonial university only cared for the foundation of the university. Therefore, this led to the acquisition of the elements of the Imperial University which the colonial rule did not quite intend. The vision of the university for national prosperity and the universal vision of modern university were inherently conflic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