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철도차량의 구조체 처짐량에 대한 해석 방안 연구

        정종덕(Chung Jong-Duk),편장식(Pyun Jang-Sik)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5월

        This paper describes the structural deflection analysis method and result of EMU(Electric Multiple Units). During manufacturing of rail passenger coaches, the underframe is assigned a camber before it is integrated with other major assemblies of shell such as the side panel, the end panel and the roof. The camber of the positive deflection given intentionally to compensate for the sagging so that it remains straight at the maximum load. But some manufacturers have insisted there h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amber and the safety or life cycle and they expect to reduce a manufacturing cost without a camber. So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camber influences on the safety or life cycle of EMU structure under a full load and regular driving condition. The structural dynamics model for a railway vehicle is introduced.

      • 레이져 가공기술을 이용한 도시철도차량 제작 기술 개선에 대한 고찰

        정종덕(Chung Jong-Duk),김원경(Kim Won-kyung),홍용기(Hong Yong-Ki),편장식(Pyun Jang-Sik) 한국철도학회 2003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 of laser material processing on the EMU production technique. Material processing with lasers takes advantage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laser light. The high energy density and directionality achieved with lasers permits strong localized heat- or photo-treatment of materials with spatial resolution below one micrometer. The pulsed and mono-chromatic light allows the control of depth of heat treatment or selective excitation. The laser beam can be moved to process large areas, is a sterile tool and is no subject to wear and tear. Using laser processing have taken more interests in EMU production for improving the rigidity, weight reduction, crash durability, and cost savings so that their application to auto-bodies has been increased.

      • KCI등재

        방송고 특별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콘텐츠 적용 분석

        정종인(Chung, Jong-In),정영식(Jeong, Young-Sik),김미용(Kim, Mee-Y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8

        1974년 개교 이래로 현재까지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방송통신고등학교의 특별활동은 교육여 건 및 온라인 콘텐츠의 미비로 사실상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송고 특별활동의 정상 적인 운영을 위하여 방송고에 소속되어 있는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실태분석 및 수요도 조사를 실시, 그 결과를 토 대로 방송고 특별활동 영역 중 계발활동 영역에서 선호도가 높게 선정된 4개의 과목을 발굴하여 특별활동 온라인 콘 텐츠를 시범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온라인 콘텐츠를 청주 방송고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시험 적용하였다. 온 라인 콘텐츠 적용 후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 그 결과를 분석하여 특별활동 온라인 콘 텐츠 학습의 만족도와 문제점, 특별활동 운영상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ACHS) has played a key role as an organization of lifelong learning since 1974. However, extra-curriculum in ACHS has not been operated successfully due to lacks of educational supports and on-line contents. So we surveyed demands of the ACHS teachers and students for successful operation of extra-curriculum, found four subjects that students preferred in the developing activity area which is on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experimentally developed four on-line contents for extra-curriculum. And we also applied the developed on-line contents to the students of Chongju H.S. After the application, another survey and interview were carried out to measure learner's satisfaction, find out problems of learning with on-line contents and suggest the ways of improving extra-curriculum learning system.

      • KCI등재

        한국 문화정책의 창조적 전회

        정종은(Jong Eun Chu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3 인간연구 Vol.0 No.25

        이 연구는 영국의 신노동당(1997~2010)에 의해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어 온 문화정책의 ‘창조적 전회’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창조산업, 창조경제, 창조도시 등 일군의 새로운 개념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국가 단위 문화정책을 구조조정하고자 한 이 전회는 대륙과 반구의 경계를 넘어 빠르게 확산되어 왔으며, 그 결과 많은 국가들이 그 자신의 역사나 현재의 상황과 관계없이 이 흐름에 편승하는 경향마저 보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민의 정부’(1998~2003)와 ‘참여정부’(2003~2008)하에서 발생한 ‘문화산업 정책의 부상’이라는 사건이 유사한 창조적 전회가 한국에서도 발생했음을 보여 주는 직접적인 증거라는 점을 논구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고는 양국에서 창조적 전회를 추동한 담론 및 정책 수단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정책적 이행은 산업화의 상이한 궤적과 속도 등으로 인해 영국의 그것과는 매우 다를 수밖에 없었다는 점도 보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자는 ‘동아시아 개발국가’라는 개념을 진입 지점으로 삼아 1997~1998년의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한국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이러한 문화정책상의 이행을 겪게 되었는지를 고찰할 것이며, 다음으로는 그러한 이행의 결과물로서 등장한 문화정책의 틀거리는 무엇이었고 이는 개발국가 시대의 문화정책 및 동시대 영국의 문화정책과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를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문화산업정책 영역에서 분명하게 구체화된 ‘한국의 창조적 전회’는 서구 조절국가에서 빌려 온 ‘팔길이 원칙’(자유/자율성의 원칙)과 과거 개발국가 시대의 관습을 원용한 ‘문화산업의 국가기간산업화 비전’(압축적인 투자/견인)을 두 기둥으로 삼고 있었다는 점이 분명해질 것인 바, 바로 이것이 한국의 창조적 전회를 ‘신개발주의’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worldwide interest in the ‘creative turn’ in national cultural policy, which was initiated by the British New Labour governments (1997~2010). Indeed, the turn, which sought to restructure cultural policy with a constellation of new concepts such as creative industries,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cities, has had a remarkable takeup in many parts of the world. Whatever their past histories or contemporary situations, many countries appear to have quickly adopted this new trend. Within this context, this study argues that the ‘rise of cultural industries policy’ under th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Governments (1998~2008) can be taken as direct evidence that a similar kind of creative turn also happened in South Korea. However, despite the similarities in the driving discourses and policy methods, this study also argues that the Korean policy shif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its British counterpar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s in the paces and trajectories of industrialization in these nations. Starting from the concept of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as an entry point, I will explore how and why Korea went through a cultural industries policy shift in the period following the 1997~1998 Asian financial criisis and then reconstruct the distinctive policy framework that was produced as a result of the shift. I will conclude this study by stressing the ‘creative turn’ of Korean cultural industries policy was based upon the two pillars, ‘arm’s length principle’ (i.e. freedom/autonomy) borrowed from the regulatory states and the ‘vision of making cultural industries into a new national basic industry’(i.e. investment/traction) borrowed from the country’s own developmental era. this is the reason why the creative turn can be called ‘neo-developmental’.

      • 예술위원회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비교 분석

        정종은(Jong-Eun Chung) 한국문화정책학회 2014 문화정책 Vol.1 No.-

        현대적인 의미의 예술지원 정책은 이차대전 직후(1946) 경제학자 케인즈가 대영예술위원회(Art Council of Great Britain)를 설립하면서부터 본격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캐나다(1957∼), 미국(1965∼), 호주(1973∼) 등은 영국식 ‘팔길이 원칙’을 수용하면서 유사한 방식으로 예술위원회 모델을 채택하였고, 우리나라 역시 2005년에 기존의 ‘문화예술진흥원’을 ‘문화예술위원회’로 재편함으로써 위원회 모델을 예술진흥체계의 중핵으로 삼게 된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문화예술기관이 신설되고 지역문화재단의 등장과 함께 지방분권이 가속화되면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여타 국가의 예술위원회와는 달리, 역할체계의 급속한 축소 및 후퇴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주요 예술위원회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비교 사례연구(comparative case studies)를 통해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현재의 위상과 향후 방향을 고민함에 있어 참조할 수 있는 하나의 준거점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연구의 초점은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의 예술위원회들이 자신들의 문화예술 생태계를 일신하고 촉진하기 위해 최근 어떠한 비전과 전략, 사업계획 등을 구성해왔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통해서 해외 주요 예술위원회들이 매진하고 있는 10대 사업범주를 도출하고 한국예술위원회가 그 역할 및 기능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것이다. It can be said that the arts promotion policy in a contemporary sense star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Art Council of Great Britain by Keynes in 1946. Since then, Canada Council for the Arts(1957~),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1965~), Australia Council for the Arts(1973~) and so on have bee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British ‘arm’s length principle’. South Korea has also adopted the arts council model in promoting the arts and culture after transforming ‘Korea Culture and Arts Foundation’ into ‘Arts Council Korea’ in 2005. However, on the contrary to the other councils, Arts Council Korea seems to have been suffering from the reduction and regression of its role and functions within the Korean cultual policy field. Both the establishment of a variety of cultural organizations under Korean government and the reorganization of arts support systems driven by the rise of many local cultural foundations are key reasons for this. In this situation, this article seeks to conduct comparative case studies of major arts councils abroad and thus to prepare a reference point with which Arts Council Korea can reflect upon its current position and future direction.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 examines the arts councils in England, the US, Canada and Australia, focusing on their visions, strategies, action plans devised to renew and promote their national ecology of the arts. This article concludes by (re)constructing 10 major categories to which all those arts councils have recently committed and suggesting how Arts Council Korea may redeem its role and functions as its international counterp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