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투자자 심리에 의한 ESG가 기업위험에 미치는 영향

        정인희(Jeong, In-Hee),반혜정(Ban, Hye-Jung) 한국회계정보학회 2021 회계정보연구 Vol.3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ESG 활동에 대한 낙관적인 투자자 심리를 전제로 하여, 기업의 펀드멘탈 이외에 투자자 심리에 따른 ESG 활동이 기업의 위험을 완화시키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그리고 경영 환경이 악화될수록 이러한 ESG의 긍정적인 역할이 보다 명확해지는지 확인한다. 또한 회계 투명성이 높을수록 투자자 심리에 의한 ESG가 기업 위험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증가하며 경영 불확실성이 높은 경우 회계 투명성의 조절적 효과가 더욱 뚜렷해지는지 검증한다. [연구방법] 2015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지배구조원의 ESG등급이 확인가능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경영 불확실성이 극도로 증가한 2020년과 2019년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투자자 심리에 의한 ESG의 긍정적 역할이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한다. 또한 조절 회귀분석을 통하여 비정상ESG와 기업위험간 관련성에 대한 회계투명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연구결과] 2015년에서 2019년을 대상으로 회귀분석한 결과, 투자자 심리에 의한 ESG가 기업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경영 불확실성이 급증하는 2020년도 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 경영 환경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투자자 심리에 어필하는 ESG가 기업의 위험을 완화시키며 회계 투명성이 증가할수록 투자자의 심리에 의한 ESG의 위험 감소 효과가 더욱 강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경영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일수록 투자자의 심리적 기대에 의한 ESG가 기업의 위험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고 가치 프리미엄을 만들 수 있다는 함의를 도출한다. 또한 ESG가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회계 투명성이 이러한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다는 증거를 통하여 보다 적극적인 기업의 ESG를 유도함과 동시에 투명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경영 정책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선순환고리로 연결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whether ESG activities based on investor sentiment mitigate corporate risks. And check whether this positive role of ESG becomes clearer as the business uncertainty. In addition, the higher the accounting transparency, the greater the effect of ESG driven by investor sentiment to mitigate corporate risk, and it is verified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 of accounting transparency becomes more pronounced when management uncertainty is high. [Methodology] From 2015 to 2020, a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on listed companies whose ESG rating can be confirmed by the Korea Governance Service. Check whether the positive role of ESG by sentiment shows a difference.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accounting transpar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normal ESG and corporate risk is verified through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no evidence was found that ESG by investor sentiment reduces corporate risk. However,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data from 2020, where management uncertainty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ESG, which appeals to investor sentiment in a deteriorating business environment, mitigates corporate risk. And as accounting transparency increases, the risk reduction effect of ESG by investor sentiment was further strengthened. [Implications] This study derives the implication that ESG based on investor s sentiment can significantly reduce corporate risk and create a value premium in an environment with high management uncertainty. In addition, the ESG has recently been positioned as a positive evaluation factor in the market and the evidence that accounting transparency can strengthen this relationship leads to more active ESG of companies.

      • KCI등재

        연구논문 :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 건강 이미지와 착의 실태 차이

        정인희 ( Lhn Hee Chung ),권수애 ( Soo Ae Kweon ),이윤정 ( Yun Jung Lee ),이주영 ( Joo Young Lee ),정운선 ( Woon Seon Jeong ) 한국의류학회 2013 한국의류학회지 Vol.37 No.1

        This study suggests basic data on optimum thermal insulation for spring wear through an investigation of subjective thermal sensation, self-health image and actual wearing conditions.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on subjective thermal sensation, self-health image, wearing conditions, demographic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variable of wearing conditions was measured as the response to the clothing they were wearing. Garment items (26 types for males and 41 types for females) were suggested and the items worn by the students were converted into the thermal insulation values for clothi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body type perception, males perceived themselves as not fat while females perceived themselves as not thin. As for the health perception, males perceived themselves healthier than females. As for the climate adaptability perception, females were more sensitive to cold than males. The average thermal insulation of clothing was 0.97clo (0.34-1.95clo) with higher insulation for males than females. Students were more sensitive to the cold when their BMI was lower, their body surface area per body weight was larger, and the more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not health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lf-health image of sensitiveness to cold and the thermal insulation of clothing. The results were synthetically discussed in terms of environmental physiology.

      • KCI등재

        미적 범주를 적용한 20세기 메이크업 분석

        정유진(Yoo Jene Jeong),정인희(Ihn Hee Chung) 한국복식학회 2004 服飾 Vol.5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20th century`s makeup according to aesthetic categories. On the basis of aesthetic theories, four category pairs were determined as inter-confronting aesthetic categories: beauty of utility vs. beauty of social aptness: beauty of decoration vs. beauty of construction: sublime vs. grace: classical beauty vs. romantic beauty. 20th century`s makeup was analyzed at the interval of 10 years referring to the images of actresses in the films produced in Hollywood and European countries. It was identified that 20th century`s makeup had changed from decorative and dramatic makeup to natural makeup as the century proceeded. Consequently, beauty of social aptness, beauty of decoration, sublime, and romantic beauty were emphasized in the early 1900s while beauty of utility, beauty of construction, grace, classical beauty were emphasized in the later 1900s. In the whole 20th century, grace is the most dominant beauty among eight aesthetic categories due to it connote femininity. As the variety of fashion increases, the makeup patterns has become more diversified in recent years.

      • KCI등재
      • KCI등재

        경영자능력과 전략유형 및 회계부정 위험도간 관련성

        반혜정(Hye Jung Ban),정인희(In hee Jeo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8 국제회계연구 Vol.0 No.81

        본 연구는 경영자의 능력이 기업의 회계부정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또한 경영자능력과 회계부정 위험의 관련성에서 경영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가 산업 내 경쟁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능력이 뛰어날수록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 정확한 판단과 예측을 통해 기업 운영에 적합한 경영전략을 선택하고 회계부정의 위험을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리고 경영전략은 기업운영에 대한 경영진의 성향이 반영된 환경 적응패턴으로서 산업의 경쟁 환경은 경영자의 전략적 선택을 변화시키기도 하고 경쟁 위험에 따라 회계부정의 위험도가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2010년에서 2016년까지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경영자능력이 우수할수록 정확한 판단과 효율적 자원 활용으로 회계부정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한 경영능력은 선도적인 전략을 추구하며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기업의 운영이 기업의 부정 위험도를 감소시킨다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련성은 산업 내 경쟁강도가 높은 기업의 경우 더욱 강화되어 산업 내 경쟁강도가 높을수록 경영자의 역할이 중요함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는 재무적 비재무적 자료를 활용한 회계부정위험 예측모형인 F-score를 이용하여 경영자능력과 회계부정 위험도간 관련성을 검증함으로써 기존 재무자료를 활용하여 회계정보의 품질을 규명한 선행연구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영자의 능력이 회계부정의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함으로써 회계투명성 향상에 경영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business strategy selection by managerial ability on accounting fraud risk. First, we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business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accounting fraud risk, and further analyze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competition in the industry. As the managerial ability improves, the risk of accounting fraud can be reduced by proper business strategy and discretionary accounting selection through manager"s accurate judgment and prediction in complex and uncertain managemen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business strategy quantifies the adaptation patten of the management environment that reflects the management"s tendency toward the firm"s operation, and the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the business strategy in the discretionary accounting such as accounting fraud will appear. As a result of analyzing 140 sample companies of KOSPI and KOSCAQ listed companies from 2010 to 2016, the more favorable the managerial ability, the more preferable the prospector strategy,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spector strategy reduces the risk of accounting fraud. So the meditating effect of the strategy type in accounting fraud risk relevance was demonstrated. In the case of firms with high competition intens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strategy type and accounting fraud risk is strengthened, and the greater the managerial ability, the lower risk of accounting fraud. Therefore, it has been proved that the manager"s role is more important when the intensity of competition is high, and managers"s accurate judgement based on good managerial ability and efficient use of resources led to a prospector strategy to reduce accounting fraud ris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the precedent study to identify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accounting fraud risk using the F-score which is accounting fraud risk prediction model using financial and non-financial data. It also provides an implication that management"s role is important to enhance accounting transparency by verifying whether manager"s ability affects accounting fraud risk.

      • KCI등재

        경영자 능력과 기업수명주기 단계별 회계정보의 질

        반혜정(Ban, Hye-Jung),정인희(Jeong, In-Hee) 한국산업경영학회 2017 경영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경영자 능력이 이익관리를 통하여 회계정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경영자 능력이 우수할수록 회계보고의 질을 높이고 투자자들에게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재무정보를 제공하는지, 아니면 이해관계자의 요구 수준에 맞추어 수익을 과대계상하거나 자신의 능력에 대한 평판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회주의적 행동을 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련성이 기업수명주기로 인한 재무적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2010년에 2016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경영자 능력이 우수할수록 재량적 발생조정과 실물 이익조정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성장기에 속하는 기업의 경우 경영자의 능력이 우수할수록 불필요하게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 조정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성숙단계에 속하는 기업은 이익조정의 유인이 감소 할 수 있으나, 개인적 명성 유지 및 잠재적 위험이나 손실 완화 또는 안정적인 수익성에 대한 개인적 효용을 추구하기 위하여 실물 이익조정을 활용함으로써 회계정보의 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투명하고 신뢰받는 회계정보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경영자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는 경영자 능력이 재무정보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를 통하여 회계투명성 관련 선행연구에 공헌 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의 내부통제환경의 요소인 경영자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건전한 지배구조를 통하여 회계투명성이 향상된다는 선행연구를 확장시키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whether managerial ability affects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through earnings management. We examine whether higher-ability managers provide the better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to the investors or they are opportunistic actions to overestimate profits to meet the needs of stakeholders or to maintain their reputation. We als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se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financial environment of the firm’s life cyc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for companies listed on the securities market from 2010 to 2016, more able managers are associated with fewer discretionary accruals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In the case of the firms with growth stage, the higher-ability managers do not manipulate the earnings through the real activity by intervention in the financial reporting process. However, in maturity stage, the higher-ability managers can reduce the incentive of earnings management as stable profitability but the quality of financial information can also be reduced because they pursue the personal reputation through reducing the potential risk or private benefit rather than the benefit of shareholders with high managerial abi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accounting transparency through evidence that managerial ability affects the quality of financial information.

      • KCI등재

        산업 내 경쟁정도와 혁신활동에 따른 기업수명주기와 사회적 책임

        반혜정(Ban, Hye-Jung),정인희(Jeong, In-Hee) 한국관리회계학회 2016 관리회계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기업수명주기와 CSR간 관련성을 검토하고 기업이 속한 산업 내 경쟁정도와 기업의 혁신활동이 수명주기 단계별 CSR활동에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한국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중 2011년에서 2013년까지 3년간 KEJI지수가 공표되는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단계 기업은 시설투자의 확대나 불안정한 수익성으로 인하여 CSR활동이 낮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성숙단계의 기업은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확보하고 CSR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반면, 쇠퇴단계의 기업은 경영환경의 악화 및 재무성과의 하락으로 CSR활동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숙단계의 기업은 산업 내 경쟁위험이 높을수록 CSR활동 정도가 높다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셋째, 성숙단계에 속하면서 연구개발지출 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CSR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며, 쇠퇴단계의 기업이라 하더라도 혁신활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CSR활동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수명주기에 따른 CSR 전략이 기업의 내․외부 환경요인으로 인해 차별화될 수 있다는 증거를 도출함으로써 선행연구에 공헌한다. 기업이 속한 시장의 경쟁위험에 따라 CSR활동이 차이를 보인다는 논의를 통하여 CSR활동이 경영환경을 고려한 경쟁우위 확보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함의를 유도한다. 또한 CSR활동이 잠재적 위험을 감소시키고 지속가능한 경영에 대한 신호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규명함으로써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firm life cycl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then investigates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affected by the degree of industry competition and firm’s innovation activities. Firm’s strategic decision making and CSR activities can be differentiated by the characteries of firm life cycle stage. As firm face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CSR activities are affected complexly by each stage of firm life cycle.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we find that firm in growth stage reduces CSR activities. While firm in mature stage is actively engaged in CSR activities due to stable profitability, firm in decline stage shows less CSR activities through the deterioration of management environment. Second, firm in mature stage performs CSR strategically responding to stockholders’ requirement when the market competition is more intensive. Third, High R&D expenditure firm in mature stage actives is actively engaged in CSR activities and CSR activities are improved by high level of innovative activities in spite of declined stag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previous research by deriving evidence that CSR strategy according to corporate life cycle can be differentiated by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of company. The discussion is located leads to the implication that CSR can be used as a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y considering the management environment of the market. I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by identifying the fact that CSR activities serve as a signal to sustainable management.

      • <디자인과 마케팅>융합을 통한 출판사 협동조합 `POOM` 개발 - 그래픽 디자인, 제품 디자인, 공간 디자인을 중심으로 -

        주서역 ( Zhou Yejiong ),오연수 ( Oh Yon-su ),유로운 ( Yu Lo-wn ),이진민 ( Rhie Jin-min ),장미정 ( Jang Mi-jeong ),전찬희 ( Jeon Chan-hee ),정인희 ( Jung In-hee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한국인의 독서 장려와 보다 효율적인 독서문화 전파를 위해 출판협동조합 브랜드 `POOM`을 개발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6년 3~6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 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로써 4개 팀 중 1개 팀의 작업물을 정리한 것이다. 연구 범위는 4개(物, 事, 人, 場)의 주제 중 物의 `product`로 한정한다. 연구 결과, `늘 내 품에 지닐 수 있는 책`이라는 상징개념으로 ` 품(POOM) `이라고 브랜드 네이밍하였다. 그래픽 디자인은 심플함과 속도감을 나타내는 레드 컬러로 얇은 책을 형상화한 형태를 로고에 적용, 제품디자인은 휴대하기 편한 패키지디자인 개발, 공간디자인은 지하철 2,3,9호선으로 선정하고 각 호선의 특성을 기반으로 브랜드 컬러로 하여, 각 호선에 맞는 공간과 경유하는 지역의 특성을 통합적으로 브랜딩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출판협동조합의 아이덴티티를 개발함에 있어서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좀 더 체계화된 G·I, P·I, S·I의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드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협동조합의 통합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series of process to develop publisher cooperation brand `POOM` in order to encourage Korean people to read books and spread out reading culture. This study is one of the finals out of 4 projects. This project was held about 15 weeks during March to June on 2016 in < Brand Space Marketing > Study Course featured from Environmental design major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e topic of study is limited to 物`, which means `Product` from four other topics (物, 事, 人, 場). As a result, the brand name `POOM` has been chosen with a symbolic meaning of `a book that can be cherished every day.` The main concept of graphic design is red color to create simple and fast pace mood. and this has been applied in logo, imagery of a thin book cover. product design is done with portable package design, and in space design, subway line 2,3,and 9has been selected and re-branded with different colors to show each line`s identity and also relationship between other lines. In conclusion, the study isa collaboration of design and marketing to develop more systematically combined manual of G·I, P·I, S·I , also expected to be a data for corporative combined brand design in the future.

      •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Venus In Forest` 브랜드 개발에 관한 연구 - `Venus`와 `Fermob`의 브랜드 믹스를 중점으로 -

        권상미 ( Kwon Sang-mi ),김미정 ( Kim Mi-jung ),이진민 ( Rhie Jin-min ),김태범 ( Kim Tae-beom ),신은별 ( Shin Eun-byul ),장미정 ( Jang Mi-jeong ),정인희 ( Jung In-hee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현재까지 브랜드 믹스 전략에 관한 연구는 여러가지 브랜드 마케팅 요소들의 믹스전략의 인지도, 이미지, 충성도 등 소비자 관련 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또, 브랜드 성과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디자인을 전략적 요소의 핵심으로 삼고 이를 2차원, 3차원 및 4차원의 공간 환경에 구현하여 브랜드 믹스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공간 사례를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두 브랜드 `Venus`와 `Fermob`각각의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전략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복합문화 공간 브랜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브랜드를 입체적으로 구현하는 브랜드 공간을 2016년 9월~12월 15주간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과 <공간디자인스튜디오Ⅵ>을 통해 그래픽 디자인과 공간디자인이 구현되는 디자인 요소들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제시되는 마케팅 전략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Until today, studies about brand mix strategy are mostly focused on how the brand marketing elements can impact on brand awareness, image, loyalty in mixed strategy, and how they relate to brand performance. However, this study presents a case study where design is taken as the core of strategic elements and implemented in two dimension, three dimension and four dimension spatial environment and lead brand mix to success. More o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ulti-cultural brand space based on current market data, and marketing strategy of existing brand `Venus` and Fermob`. Another purpose is to find marketing strategy effect by using graphic and space design elements in three dimensional brand space. This study was held during September to December for 15weeks in Environmental Design major course < Space Design Studio >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