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복지기관 직원슈퍼비전 실행구조 및 실행단계에 관한 실태연구 - 경상남도 장애인복지기관을 중심으로 -

        정은주 ( Eunjue Jung ),김선화 ( Sunhwa Kim ) 한국사회복지슈퍼비전학회 2017 슈퍼비전과 실천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직원슈퍼비전의 실행에 관한 실태를 파악하여 직원슈퍼비전 실행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운영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원슈퍼비전을 실행구조와 실행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실행구조에서는 실행형식, 실행유형, 실행교육, 실행내용과 기능을 조사하였고 실행단계에서는 준비, 시작, 중간(실행), 평가단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조사대상자가 속한 전체 기관의 반 정도가 슈퍼비전 실행구조가 잡혀있지 않았다. 즉 슈퍼비전을 실시하지 않거나 실시하더라도 복지관 평가를 대비해 형식적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대부분의 종사자들이 기존 슈퍼비전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단계에서는 직원슈퍼비전을 실행하지 않는 비율이 45% 정도였으며,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실행의 정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세부적으로 준비단계의 실행수준이 가장 높았고, 평가단계가 가장 낮았다. 실행단계에서 슈퍼비전 지위에 있어서 어떠한 지위를 받지 않은 종사자들의 실행수준이 상당히 낮았고, 슈퍼비전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는 종사자들이 기관 내부, 외부 교육을 다 받았던 종사자들에 비해 매우 낮은 실행수준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슈퍼비전 연구가 주로 서울지역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서울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의 직원슈퍼비전 연구가 미진한 상황에서 경상남도 장애인복지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원슈퍼비전 실행체계를 연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lies in providing guidelines to build staff supervision system through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staff supervision in social welfare fields. In order to do so, it was divided into supervision structures and processes; supervision structures were then divided into format, type, education, contents and function while processes were divided into preparation, beginning, middle(practice), evaluation for further research. It was revealed through the research that about half of total research subjects lacked supervision structure and the current implementation status was the highest in preparation and the lowest in evaluation in terms of processes. The meaning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while social welfare supervision studies mainly focuses on welfare agencies in Seoul and lacks subjects in non-Seoul regions,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system of staff supervision targeting social welfare workers in Southern Gyeongsang ‘nam region’s welfare agencies of the disabled.

      • KCI등재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역량 증진을 위한 PBL 적용 수업의 효과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수업운영을 중심으로-

        정은주(Eunjue Jung),홍순혜(Soonhae Hong)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4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6 No.-

        본 연구의 목적은 PBL 기반의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수업이 사회복지 전공생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역량과 PBL 교육 역량 증진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데 있었다. 조사방법은 집단실험설계의 양적 방법과 FGI의 질적 방법을 혼합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대상은 2023년 1학기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수업을 수강한 서울지역 S대 사회복지 전공생이었다. 양적 분석결과, 학생들의 프로그램 개발 역량 전체 평균은 5점 기준으로 수업 전(3.06점)과 후(4.05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9.98, p=.00). 특히 논리모델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프로그램 기획의 전반적 단계를 이해하는 능력의 점수가 월등히 높아졌다. FGI 조사결과, 프로그램 목표에 맞는 세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과 기존의 선행연구를 반복적으로 찾아 기획서에 적절한 자료로 정리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렸다고 하였다. PBL 기반 팀 활동 수업을 통해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전체 과정을 제대로 알게 되었고, 막막하기만 하던 사회문제에 대한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과 기존 우수 프로그램을 변별할 수 있는 능력, 프로그램별 세부 활동 및 예산을 수립하는 역량이 증진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PBL 방식을 통해 창의력, 협업 능력, 문제해결 능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의 교육역량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앞으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수업이 학생들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역량 증진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PBL 방식의 학생주도 팀 활동 수업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교수자의 철처한 PBL 교과목 사전 설계, 학기 중 학생들과의 지속적인 협업과 소통, 그리고 사회복지 현장의 프로그램 관련 업그레이드된 정보 확보 등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BL-based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class on social work students’ social work program development competencies. The research method was a combination of the quantitative method of group experimental design and the qualitative method of FGI, and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social work students at ‘S’ university in Seoul who took the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clas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3.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tudents’ program development skills from pre- to post-course on all 25 items. In particular,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ly logic models and their ability to understand the overall steps of program planning were the most significantly improved. As a result of the FGI survey, it was time-consuming and difficult to organize a detailed program that meets the program goals and to repeatedly find existing prior research and organize it into appropriate materials in the proposal. But through the PBL-based team activity class, the students learned the entire process of developing a social work program, learned how to set goals and objectives for a social problem that was confusing to them, improved their ability to identify existing good programs, and developed detailed activities and budgets for each program. The students felt that the PBL method improved their creativity, collaboration,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order for the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class to help students develop social work program development capabilities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PBL method of student-led team activities, which require instructors to thoroughly design the PBL course in advance, collaborate and communicate with students, and obtain upgraded information on social work programs every year.

      • KCI등재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적응성, 진로구성의 관계 :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정은주 ( Jung Eunju ),이아람 ( Lee Ahram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급변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진로를 설계하는 대학생들이 불확실한 상황에 대처하고 스스로의 진로를 구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진로적응모형에 기반하여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적응성, 진로구성 간의 순차적 관계를 경로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진로적응성이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구성 사이에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ootstrapping 신뢰구간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계획된 우연기술은 진로적응성과 진로구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진로적응성은 진로구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적응성은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구성 사이에서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을 진로교육 및 상담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planned happenstance,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construction using a path analysis model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Korean college students’ adapt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both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construction. Second, career adapt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with career construction. Finally, career adaptability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co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romoting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are proposed to enhance the career construction of college students in the highly unpredictable modern society.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변천 연구

        정은주(Jung E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변천을 분석하여 향후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본 교육과정이 도입된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대상으로 기본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및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시간 배당은 교육과정 개정과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수학과의 시간 배당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구성 체제는 일관되게 교과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등의 큰 틀을 유지하면서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여 세부적인 변화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내용은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범위와 수준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보다 실효성 있는 적용을 위하여 기본 교육과정 적용 대상이 누구인지에 대한 고민,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 연구 및 내용 영역별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Basic Curriculum of mathematics 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mathematics of the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o this end,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Basic Curriculum of mathematics from the 7th curriculum in which the Basic Curriculum was introduced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the format and contents of the Basic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ime allocation for the Basic Curriculum of mathematics tended to increase with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However, in common, it was found that as the school grade went up, the time allocation for the mathematics decreased. The composition system of Basic Curriculum of mathematics consistently maintained a large frame of subject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showed detailed changes by reflecting the changes caused by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Lastly, the contents of the Basic Curriculum of mathematic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scope and level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study on the Basic Curriculum-eligible students for a more effective application of mathematics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next curriculum. This study also emphasized the needs for a study on the adequacy analysis of the contents of Basic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a study on in-depth research by content area.

      • KCI등재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한 특수학급 학생의 교과 지도 현황과 지원 방안

        정은주(Jung, Eunju)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교과지도 현황과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과지도를 위해 필요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3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는 직업관련 교과의 수업이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었다. 특수학급 운영을 위해 특수교육 교육과정 위주로 운영하는 경우와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병행해서 운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둘째, 58% 정도의 특수교사가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교과지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교과지도가 어려운 이유로는 학급 내 학생들의 수준차이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과지도를 위한 방안으로는 교과지도 시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보급이 가장 우선시되었으며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과전문성 신장을 위해 현장 중등 특수교사를 위한 교과교육관련 연수가 가장 선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atus of teaching subjects and support needs for teaching subjects at special classrooms in high schools. A total of 36 special teachers in high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nswered the survey ques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eachers were teaching subjects related occupation. Mathematics and Korean language were also mainly taught. For managing special classrooms, teachers mainly applied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r ‘both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about 58% of teachers answered they had difficulties in teaching subjects. The main reason of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subjects was the level differences of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Third and lastly, the first and foremost support plan for these teachers to teach subjects wa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eaching materials they could use. As the plan for improving teachers" specialities in subjects, teachers preferred teacher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teaching subjec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일반학급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연구에 관한 문헌 분석

        정은주 ( Eunju J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3

        Recently, the attention to the interventi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problem behaviors in inclusive classrooms are increas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recent literatures on apply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in the inclusive classrooms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analyze th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PBS as well as the research trends appeared in the research. The search procedures through the Web-database systems were implemented to find the proper studies, and a total of 10 articles from 1997 to 2013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The results, first, indicated researchers had more interests in third and fourth graders as subjects and in providing interventions at a individual level than at a universal level. The single subject study method was mostly implemented as a research method. The PBS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mostly in the area of classrooms rather than other places. Intervention periods appeared in papers were diverse, but those did not go beyond one semester. Most researchers preferred observation methods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PBS interventions. Results also foun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ies applying PBS were the ‘use of classroom rules’ as a universal level and antecedents intervention and consequences intervention as a individual level. Finally, the PBS interventions at both a individual level and a universal level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problem behavior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인식한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평가 실태 -서울시를 중심으로

        정은주 ( Eunju Jung ),류귀성 ( Guisung Ryu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support needs for academic assessment in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A total of 50 special teachers in high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nswered the survey ques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eachers assess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ll students who they were teaching with the detailed annual plans. They were teaching mostly the subjects related to Occupation,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They preferred the observation as the assessment method and recorded the results mostly only in the students’ IEPs. Second, teachers were struggling from the imperfect assessment systems and experiencing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various assessment methods to meet individual student’s needs. Third, the first and foremost support plan for academic assessments in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wa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the assessment methods and tools for each subject, followed by nation-level assessment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academic assessment in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 KCI등재

        미국 대규모 학업평가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접근성(accessibility) 지원에 대한 고찰

        정은주(Jung E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대규모 학업평가에서의 접근성 지원 현황을 살펴보고 일반 학업평가에 참여하는 우리나라 장애학생을 위한 접근성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다양한 문헌을 통하여 미국 학업평가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접근성 지원의 발전 배경, 현재 미국에서 적용하고 있는 접근성 지원 유형, 그리고 학교현장에서 접근성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의사결정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장애학생을 위한 접근성 지원 유형과 방법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접근성 지원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고 지원 수준을 다양화해야 하며 관련법을 정비해야 한다. 셋째, 접근성 지원을 위한 의사결정 과정과 적용방법을 구체화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토대로 지속적인 접근성 지원과 관련한 심층적인 연구 수행, 구체적이고 명확한 매뉴얼 및 지침 마련, 접근성 지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accessibility supports in large-scale assessments in the United State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studying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Through reviewing a variety of literature, the background of accessibility supports in the assess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types of accessibility supports currently applied in the US,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roviding accessibility supports in schools are examined. Given these US cas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the types and methods of accessibility suppor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should be varied. Second, the range of students receiving accessibility supports should be expanded, the level of supports should be diversified, and the related laws should be revised. Third,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application method for accessibility supports should be specified. Based on these findings and 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continue in-depth research on accessibility supports, to provide specific and clear manuals and guidelines, and to educate teachers for better understanding on accessibility support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 관련 일반 교육과정 총론 및 시·도 교육청 지침 분석

        정은주 ( Jung Eunju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general education documents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 present th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do this, this study reviewed the General Guidelines in 2009 Revised Curriculum and 17 MPOE(Metropolitan?Province Office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at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Guidelines mentioned 3 times 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most of MOPE have the same contents as the General Guidelines includes. In the cases of having additive guidelines in MOPE, the scope and specificity varied depending on MOPE. Some MOPE did not describe in detail 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only inform the teachers to reference the document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lso, there were needed special educator’s review on the contents and terms in MOPE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the exact guidance. Finally, there needed more concrete guidelines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support thei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계획된 우연기술 잠재프로파일 : 영향요인과 진로적응성 및 진로적응반응과의 관계

        정은주(Jung, Eunju),이용진(Lee, Yongj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우연기술에 따른 대학생의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예측요인의 영향 및 결과 변인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4년제 대학생 52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계획된 우연기술의 다섯 개 하위요인 점수를 기반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잠재프로파일 별 진로적응성과 진로적응반응에 대한 점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세 개의 잠재 집단(적극적 대응형, 평범한 대응형, 소극적 대응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영향요인 중 성별, 학년, 전공계열, 성적, 재학 중인 대학 소재지는 계획된 우연기술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일하게 긍정적 양육경험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진로적응성과 진로적응반응의 모든 하위요인 점수가 소극적 대응형에서 적극적 대응형으로 갈수록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는 계획된 우연기술 잠재프로파일 연구가 드문 가운데, 새로운 방법론적 시도를 통해 진로적응성 및 진로적응반응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이 계획된 우연기술을 활용하는 적극적인 진로발달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진로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cide the most appropriate number of latent profiles underlying the five dimension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to test the predictors and outcomes of the latent profiles. Using nationwide data of 522 university students, we conducte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ree latent profiles (active respondent mediocre respondent and passive respondent) are tenable. Among the tested five predictors (gender, grade, major, GPA, university location, and positive nurturing experience) only the positive nurtur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atent profile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sub-scale scores of both career adaptability and adapting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latent profiles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While most of the studies o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ve been conducted under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our study is valuable in that we tried the person-centered approach. In addition, the study implies that career-related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should incorporate the elements which help university students view unplanned happenstance as opportunities and take actions that make the most out of the opport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