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부산지역 산업인구의 사고사에 관한 역학적인 조사연구

        정영선,Chung, Young-Sun 대한예방의학회 1977 예방의학회지 Vol.10 No.1

        산업재해로 인하여 발생한 사망자들의 그 원인 및 특성을 파악하여 산업재해의 예방대책 수립에 도움이 되고져 과거 6년간의 부산지역 산업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들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얻은 성적은 다음과 같다. 1. 6년간 발생한 총 사망자수는 361명으로 평균 사망율은 33.8이었다. 연도별로는 1974년이 52.9로 가장 높고 가장 낮은 연도는 1970년도로 13.8이었으며 업종별로는 전기 가스 수도업이 149.3, 건설업 83.9의 순위였으며 최저율을 보이는 업종은 제조업으로 18.3이였다. 2. 연령별 사망율로는 $20{\sim}29$세군이 43.0으로 최고였고 다음이 $40{\sim}49$세군으로 38.1, $30{\sim}39$세군 32.0, 50세 이상군 31.9의 순위였고 최저는 19세 이하군으로 17.9였다. 3. 근속연수별 누적사망자 수는 6개월 이하가 전체의60.4%, 1년 이하가 72.9%, 2년 이하가 83.1%로서 1년 이하의 근무경력을 가진 자가 대부분이었다. 4. 월별 발생분포로는 8월이 15.8%로 최고였고 2월이 5.8%로 최저였으며 요일별로는 금요일이 19.2%로 최고였고 최저는 월요일으로서 11.9%였다. 5. 재해원인별 분포는 차량에 의한 것이 28.3%, 추락 19.1%, 충돌 9.2%의 순위였으며 상병부위별로는 두부외상 44.6%, 전신외상 33.0%, 흉부외상 10.5%의 순위였으며 최저는 배부외상으로 1.9%이었고 상명 병별로는 뇌좌상 및 뇌출혈 39.4%, 골절 탈구 33.2%, 질식 8.0% 등의 순위였다. 6. 부상으로부터 사망까지의 기간별 누적사망자는 수상 당일 사망한 자가 74.2%, 3일 이내가 88.5%, 일주일 이내가 96.1%로서 대다수가 부상 후 일주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7. 1일 평균 임금별 누적사망자는 1,000원 미만이 56.8%, 2,000원 미만이 91.7%로 대다수가 2,000원이하였었고, 4,000원 이상인 자는 겨우 1.6%에 불과하였다. The author have performed an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accidental deaths at industry from 1970 to 1975, in order to seek for the preventive measures of industrial accident with the under-standing of its cau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ccidental death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otal number of deaths for 6 years were 361 (350 males, 11 females). and the mean death rate was 33.8 per 100,000 industrial workers during 6 years. By the highest as 52.9 was in 1974 and the lowest as 13.7 in 1970. By the industry group, the death rate of Electricity, Gas and Water was 149.3, Construction 83.9 and the lowest was Manufacturing as 18.3. 2. Standardized mortality rate of the cases by the age group showed that 20-29 years old group was 43.0, 40-49 years old group 38.1, 30-39 years old group 32.0, and the lowest as 17.9 was under 19 years old group. 3. The cumulative percentage of the cases by years of service showed that under 6 months was 60.4%, under 1 year 72.9%, under 2 years 83.1%. 4. By the month of occurrence, the highest was 15.8% which occurred in August and the lowest was 5.8% in February. The highest as 19.1% was on Friday and the lowest as 11.9% on Monday by the day of a week. 5. By the causes of accident, car accidents was 28.3%, fall accidents 19.1%, accidents by a crash 9.1% in that order. By the location of injury, head was 44.6%, multiple injuries 33.0%, chest 10.5%, and back was the lowest as 1.9%. The distribution of the cases by nature of injury shelved that cerebral contusion and hemorrhage was 39.4%, fracture and dislocation 33.2%, asphyxia 8.0% in that order. 6. The cumulative percentage of the cases by the duration from injury to death showed that the injuried day was 74.2%, within 3 days after injury 88.5%, within 7 days 96.1%. Therefore most of the cases were occurred within 7 days after injury. 7. Byythe daily mean wages, most of the cases as 91.7% were under 2,000 won, and more 4,000 won was 1.6% merely.

      • KCI우수등재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 불안의 매개효과

        정영선(Young Sun Chung)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5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aternal overprotection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rough their anxiety. In this study, maternal overprotection was defined as anxiously shielding their young children from having negative experiences and maintaining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intrusive and permissive parenting for their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were 183 mothers and 18 teachers with young children aged from four to six years. Mothers rated themselves on the degree of their overprotecting behaviors measured by a maternal overprotection scale for young children (Y. S. Chung & Park, 2021). Teachers rated young children’s anxiety and social compet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ootstrapping method was appli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young children’s anxiety and social competence. Seco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pported the hypothesized relations among maternal overprotection, young children’s anxiety and social competence after controlling with young children’s gender, maternal academic backgroun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anxie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protective 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was associated with varying levels of young children’s anxiety and social competence. Additionally the maternal overprotection linked with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directly through their anxiety. These findings offer basic knowledge applicable to parent education and the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improving parenting behaviors. The limitations and other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우수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정영선(Young Sun Chung),박경자(Kyung Ja Park)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aternal Overprotection Scale to measure the degree of maternal overprotective behaviors in child-rearing. Methods: There were two parts in this study. In Study 1, the items and scale development was conducted and in Study 2, the scale evaluation was conducted. In Study 1, the sample consisted of 262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ged from five to six years. Mothers rated themselves on the degree of their overprotecting behaviors carried toward their children. The scale initially comprised 45 items, and it ended up with 18 items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tudy 2, the data of additional 197 mothers who responded to these items were analyzed by mean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In Study 1,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scale identified three sub-scale factors: Intrusive Control (eight items), Permissive Indulgence (four items), and Anxious Protection (six items). In Study 2, the Cronbach’s α values ranged from .70 to .85, showing appropriate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The cross-validation was established using different samples. The concurr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the association with a maternal parenting attitude measured by the Parenting Dimensions Questionnaire (PBDQ). Conclusion: The Maternal Overprotection Scale reliably and accurately measured degrees of overprotective maternal parenting with young children. This scale can be used as a tool for estimat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mothers’ overprotection for their young children, as well as correlations with other aspects of development.

      • KCI등재

        인권중심 지방행정 구현을 위한 인권제도화 방향

        정영선 ( Chung Young-sun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3 No.4

        우리나라 전체 지방자치단체 245개 중 약 90여개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인권 조례가 제정되는 등 지방자치단체 인권제도는 확산 일로에 있다. 그러나 외형적 발전과는 별개로 내용적인 측면에서 보면, 현 단계 지방자치단체의 인권제도는 실효성 있는 운영까지는 아직 담보해내지 못하고 있는 곳이 대부분이다. 그 이유는 인권제도가 도입된 지 10년도 채 안되는 짧은 역사 탓도 있지만 인권 관련 조직과 인력 운용 과정에서 인권 업무의 독자성을 확보하지 못한채 관성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점이 보다 더 근본적인 문제점이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확산하기 시작한 인권제도가 뿌리내리고 실효성을 갖추기 위해서 반드시 고려해야 될 요소와 그 운영 방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특히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인권제도 중에서 인권위원회, 인권 전담 사무조직, 인권센터와 인권옴부즈맨 등을 중심으로, 운영의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인권행정 조직을 갖추기 위해서 어떠한 문제에 착안을 하고 시정을 해나가야 할지에 대한 방향 설정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주요 연구 범위와 내용으로 설정하였다. 이처럼 인권제도 중에서 조직과 인력 부문으로 제한된 연구 분석을 통해 현행 지방자치단체의 인권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및 쟁점들을 도출하고, 향후 실효성을 갖춘 인권제도의 발전을 위해 유념해야 될 각 인권 조직의 운영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인권위원회의 독립적 위상 강화 및 심의·의결 기능 강화, 그리고 위원회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제반 여건의 강화, 인권업무 조직의 인권전담 기능 강화, 인권센터의 조사·구제 기능 강화 및 인권옴부즈맨의 기능 강화 방안 등을 위한 논거와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아울러 지방자치단체 집행부를 비롯한 인권업무 담당자들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전문성 관련 역량강화 방향과 인권에 기반을 둔 지방행정의 기본 방향 등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institution in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suggestion on the direction that how to develop more effective institution in view of rights-based approach. Recently, a number of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the human rights system including human rights ordinances, human rights commission, human rights center, ombudsman etc., whatsoever the contents and structures of the institutions are various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ommunity. In the meanwhile, in spite of numerical increment of human rights institutions, the effectiveness of them seems to be vulnerable. One of main reasons is that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organization such as human rights commission, human rights unit, human rights center is very vulnerable, especially, in view of size and mandate of the organization itself. Moreover,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administrative powers` is weak as well as the professional capability of staff is not good enough to commit human rights tasks. To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institutions, on reflection of independent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commission, strengthening on the decision- making function of the commission,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human rights task unit, strengthening on investigation powers of human rights center, guarantee on the mandate of human rights ombudsman are needed to be closely connected to the movement on good governance, which called, `human rights-based local administration.` The local government needs to concentrate on building the organization for human rights tasks, and to give continuos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y of human rights for all members(including members of human rights commission, staff of human rights organization) in the local community for strengthening of empowerment.

      • KCI등재

        영화 <로맨틱 레시피>에 나타난 음식 셔레이드 연구

        정영선(Chung, Young Sun),유동환(Yoo, Dong Hwa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4 문화콘텐츠연구 Vol.- No.30

        음식은 인간에게 필수적인 요소이며 문화적인 표현인 동시에 미디어 안에 위치할 때는 특정한 의미를 지닌다. 그중에서도 영화와의 영향 관계가 주목된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음식은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스토리를 전달하고 있으나 아직 이를 규명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접근하고 있는데 영화 속에 위치한 음식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이론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음식의 숨겨진 스토리 가치를 찾기 위하여 영화의 비언어적인 표현 기법인 셔레이드 이론을 활용해 영화 <로맨틱 레시피>에 나타난 음식 셔레이드를 시간, 음식 장면, 내용, 사용목적 순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견된 첫 번째 특징은 음식을 통해 인물의 성격과 심리 상태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요리사 하산의 음식으로 나오는 성게는 영화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며 그의 천부적인 재능, 어머니와의 추억, 사회적 성공,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낸다. 이는 음식이 개인의 정체성 구축에 영향을 주며 주인공의 연대기적 성장과도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두 번째 특징은 음식을 통한 관계의 표현으로 영화 속 음식은 갈등을 나타내고 화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 프랑스 음식을 대표하는 말로리 여사와 인도 음식을 대표하는 하산의 아버지의 갈등을 봉합하는 건 하산의 음식으로 두 문화의 화해를 시도하며 관계를 매개한다. 세 번째 특징은 음식을 통한 장소의 표현이다. 음식은 그 자체로 사회, 국가, 문화를 나타내며 등장인물들이 속한 시공간을 보여준다. 셔레이드의 사용 목적에 따른 음식을 분석한 결과 영화 속 음식은 인물의 표현, 관계의 매개, 장소의 상징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음식이 인물-관계-장소에 관여한다는 점은 향후 스토리의 핵심 요소인 인물-사건-배경으로의 확장가능성을 내포하며 이는 음식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에도 기여할 수 있다. Food is an essential element for humans and is a cultural ex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has a specific meaning when it is located in the media. Among them,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with the movie is noteworthy. The food in the movie has various meanings and conveys the story, but research to clarify this is still insufficient. In addition, most of the research is approached in a socio-cultural context, but since the food in the movie is located in the movi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t using theories in that field. This study analyzed the hidden story value of food in the movie using the Charade technique, a theory of the movie. This study analyzed the food that appears in the movie using the movie’s charade technique to find the hidden story value. Charade is a non-verbal expression technique that shows a character’s emotions, events, or background. The film in question is <The Hundred-Foot Journey>, which deals with the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a French restaurant and an Indian restaurant that operate opposite each other. Food appears as a major charade in this film. This study analyzed the food in the movie <The Hundred-Foot Journey> by viewing the food as a single accessory charade. The first characteristic found here is that it expresses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 through food. The sea urchin, which is served as the food of a young chef Hasan, continues to appear in the movie, representing his natural talent, memories with his mother, social success, and longing for his hometown. In the movie, the meaning of sea urchins var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protagonist, showing that the food is also related to the chronological growth of the protagonist.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expression of the relationship through food, and the food in the movie represents conflict and plays a role in helping reconciliation. Mrs. Mallory, who runs a French restaurant, and Hassan’s father, who runs an Indian restaurant, are the biggest pillars of the conflict, and they represent French and Indian food culture, respectively. Reconciling them is the food of Hassan and Margaret, who attempts to reconcile culture by welcoming strangers and mediating people’s relationships.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e role of food as a place. Food itself represents society, country, and culture, and shows the time and space to which the characters belong. Croissants, baguettes, foie gras, and Nan, Curry, and Samosa of India appear intersectionally, showing their group and cul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od symbo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harade’s 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food in the movie represents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 through the construction of individual identity, the expression of the relationship through conflict and reconciliation, and the symbol of the place that reveals socio-cultural differences. In addition, the fact that food is involved in person-relationship-place impli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nto characters-incident-setting, a key element of future stories,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orytelling using food.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인권제도 발전 방향과 과제

        정영선 ( Young Sun Chung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論集 Vol.18 No.2

        국가의 법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조례를 제정하는 이유는 지방특색을 반영한 인권조례를 통해 보다 주민친화적 인권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각 지역에서 인권조례 제정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지만 인권제도의 발전 과정은 단순히 그 수적 증가만으로는 평가할 수는 없으며, 각 지역 특색에 걸맞은 인권제도를 만들어 운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 하에서, 먼저 21세기형 풀뿌리 민주주의를 견인해 내는 지방자치단체 인권제도의 핵심축인 인권조례의 의의를 살펴보고,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인권조례의 제정 역사가 가지는 의미를 고찰했다. 다음으로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의 인권조례에 규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주요 인권제도의 내용과 쟁점을 살펴보고, 실효성을 갖춘 바람직한 인권제도화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현재 제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인권조례 현황을 고찰해 보면,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기대만큼의 실효성을 담보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권제도화 과정 속에서 남아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권에 기반을 둔 행정’ 즉 바람직한 인권 거버넌스를 위해 향후 풀어나가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인권조례 제정 및 확산을 위해 계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이미 인권기본조례를 제정한 지자체라면, 지역 특성을 반영한 개별 인권조례 제정하는 쪽으로 한걸음 더 나아가야 한다. 궁극적으로 인권조례의 제정과 그 실행은 주민 전체의 인권 보호와 증진뿐만 아니라 지역 민주화에도 기여하게 되며,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민주화를 위하여 주어진 역할을 제대로 해내는 필수적인 과정이라는 점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인권조례의 제도적 실효성을 확보해야 한다. 제도가 지역을 넘어서 국가적 법령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인권조례의 내실 있는 운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지역차원의 인권조례 입법이나 실효적 운영은 지역적 수준의 인권 향상만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정부 차원에서 인권 관련 법규의 제정을 이끌어 내는 밑거름이 되기도 한다. 셋째, 지자체 내에 인권전담 사무조직의 정비가 필요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인권제도화의 기장 큰 문제점은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질적인 인권업무를 추진해 나갈 전담 사무조직이 정비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충분한 인력 및 예산이 확보되어야 조례 운영의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다. 넷째, 사회 전체 구성원을 향한 지속적인 인권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 집행부나 지방의회 의원은 물론 지역사회 모든 구성원을 향한 인권교육은 인권제도 정착의 성공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한 시민들의 적극적 감시가 필요하다. 인권조례가 만들어졌다고 해서 그것으로 만족해서는 안 된다. 지속적이고 주도면밀한 행정 감시와 의정 감시를 통해서 지자체 집행부와 지방의회 의원들의 의무 이행을 적극적으로 촉구하고, 설득해 나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movement on the enactment of human rights ordinance in local community and on several tasks to be solved to develop more effective human rights institution nationwide. Recently, a number of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the human rights ordinances, whatsoever the contents and structures of the ordinances are various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Human rights ordinance need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local government to expand the human rights of residences who have lived in the region. Therefore, human rights ordinance can help to promote and protect human rights of vulnerable group, which can be neglected due to priority of human rights policy enacted by the related laws nationwide. In the meanwhile, in spite of numerical increment of human rights ordinances, the effectiveness of it seems to be vulnerable. Regardless of legal foundation and dignity of human rights itself, there are some reasons why it is hardly to enact human rights ordinance by local government. One of main reasons is that administrative powers and local council have not understood social significance of human rights and its ordinance as a systemic mechanism. To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ordinance, on reflection of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stake-holders including positive policy-making of local administrative government, active role of local council members, enthusiastic participation of citizen and continuos coordination by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re needed to be closely connected to the movement on good governance, which called, ‘human rights-based administration.’ The local government needs to concentrate on building the organization for human rights tasks, continuos education of human rights for all members in the local community. Furthermore, civil society including NGOs continuously needs to audit and check the local administrative executives and local council to enact the human rights system in the human rights ordinances.

      • KCI등재

        학생에 대한 징계규정의 인권적 고찰

        정영선(Chung, Young-Sun),유종민(Yoo, Jong-Min)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40 No.-

        오늘날 우리사회에서의 인권의식은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학생인권조례로 대표되듯이 학생인권에 대한 인식도 상당부분 향상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현장에서는 표면적으로 인권교육의 중요성을 이야기 하면서도, 실제적으로는 교육목적을 수호하기 위한 교육활동의 일환인 징계로 인한 학생인권이 침해되는 경우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물론 학교에서 적법절차에 따라 인권적이며 교육적인 징계를 행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하여는 반론이 있을 수 없다. 하지만 이때의 징계는 교육상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적법절차에 따라 행해지는 경우에만 허용되어야 하고, 이러한 경우에도 반드시 교육적 배려가 요구된다. 그러나 여전히 학교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생활지도(징계 또는 체벌)와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 중 하나는 학교현장에서 적법절차에 따른 제도적 징계는 무시되고 보다 손쉬운 사실상 징계인 체벌이 암암리에 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적법하고 합리적인 제도적 징계가 적절한 생활지도로서 행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위법하고 부당한 체벌이 행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학생 지도에는 역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상의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학생에 대한 징계 관련 규범과 실제 발생하는 체벌 간에 괴리가 있음을 착안하고, 징계는 적법한 제도적 징계에 한정되어야 함을 논증 하였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은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도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체벌을 금지하는 방향으로 민법과 학교교육법을 개정하였는데, 이러한 시도는 우리나라의 법령개정 방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학생 징계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의 관련 법률 및 규칙 등을 비교함으로써 우리의 학생지도 방법이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와 아울러 적법절차의 준수여부와 관련하여 사실상 징계인 체벌의 문제점 및 반인권적 성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학생 징계 및 지도의 인권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Human rights sensitivity of people‘s is increasing day by day, as we can see that the establishment of human rights ordinances for students plays a key role for improvement of human rights of students. On the one hand, people apparently talk about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in school, on the other hand, a lot of cases on human rights violation against students have been reported, specially with a disguised education with two faces. It is no wonder that legal punishment based on the due process is inevitable in some sense, however, such a punishment can be understood only in case which is considered as a reasonable mean for goal of good education itself. More seriously, the corporal punishment under the name of effective education can not be permitted in any condition. The legal and reasonable punishment can only be considered as the appropriate means for education of student, however, the corporal punishment(as de facto punishment) is still alive and negatively impact on the student guidance regulations. In this respect, this paper is carrying out analysis on the illegal characteristics of the corporal punishment and arguing that it can not be the right solution for student education. Based on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civil laws between Korea and Japan, it is impressed that Japan even removed the potential article on the corporal punishment in its amendment of civil law in 2011. Through the comparative legal studies, this paper makes a conclusion that Korean laws are needed to amend the plausible parts on the corporal punishment, as well as it leads the potential direction for student guidance with human rights-based approach.

      • KCI등재후보

        인권조례 제정 동향과 향후 과제

        정영선(Chung, Young-Su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2

        최근 우리나라 몇몇 지역에서 인권조례 제정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광역단위에서는 광주광역시, 경상남도, 전라북도에서 각각 인권조례가 제정되었고, 기초자치단체에서도 부산광역시 남구, 해운대구, 수영구 그리고 울산광역시 북구에서 인권조례가 제정되었으며, 이러한 조례 제정 움직임은 각 기초자치 단체로 확산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지방자치 차원의 인권조례 제정 사례 수는 여전히 미흡한 편이다. 국가의 법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조례를 제정하는 것은 각각의 지방특색에 따른 조례를 통해 인권향상을 위한 사회기반정비와 개선을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지역 특색에 걸맞은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인권조례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인권조례 제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외형적인 제도 마련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존엄을 실현하기 위해 각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인권의 기준을 세울지 고민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각 지역에서 만드는 인권조례는 인권관련법의 실핏줄 역할을 하며 지역 주민들의 인권 보호와 증진을 위한 중요한 통로가 된다. 그뿐만 아니라 인권현실 개선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의회의 역할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규정함으로써 지역 책임기관의 의무와 책임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의 논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에서 인권조례 제정 추진이 부진한 이유를 살펴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인권조례 제정의 동향과 조례 제정 과정에서의 주요 쟁점을 고찰하는 한편, 향후 조례 제정 및 시행 과정에서 풀어나가야 할 과제를 고찰해 보았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인권의 보편적 가치를 존중하고 이를 지역에서부터 실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는데, 인권조례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특성과 정책, 그리고 적극적 조례 제정운동의 결합이 연계되어야 한다. 절차적으로는 지역 사회의 인권 단체와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문제제기, 일반 주민의 참여, 지자체와 지방의회의 수용이 순조롭게 진행되어야 하며, 내용적으로는 조례내용의 실효성 및 다양성 확보, 지자체의 적극적인 실현 의지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movement on the enactment of human rights ordinance in local community and on several tasks to be solved to establish more human rights ordinances nationwide. Recently, some local governments including Kwangju metropolitan city have tried to enact human rights ordinance, whatsoever the contents and structures of the ordinances are various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However, compared with Japan’s cases on the human rights ordinances, the number of Korean cases are still smaller. Human rights ordinance need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local government to expand the human rights of residences who have lived in the region. Therefore, human rights ordinance can help to promote and protect human rights of vulnerable group, which can be neglected due to priority of human rights policy enacted by the related laws nationwide. Recent experiences of human rights cities tend to revitalize human rights ordinance within the context of local politics. However, sociological imagination remains to be fully further explored to grasp genuinely bottom-up aspect of human rights promotion in our society. Regardless of legal foundation and dignity of human rights itself, there are some reasons why it is hardly to enact human rights ordinance by local government. One of main reasons is that administrative powers and local council have not understood social significance of human rights and its ordinance as a systemic mechanism.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the reasons of insufficient tendencies on establishment of human rights ordinances, and to approach the current movement on the enactment of human rights ordinances of selected local governments, and to several key issues remained in the process of enactment of human rights ordinances as well as the tasks to overcome to spread the movement on establishment of human rights ordinance in the future. To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ordinance, on reflection of characteristics local community, stake-holders including positive policy-making of local administrative government, active role of local parliament members, enthusiastic participation of citizen and continuos coordination by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re needed to be closely connected to the movement on establishment of human rights ordinance.

      • KCI등재

        장애 차별 및 장애인 권리구제 제도 개선 방향에 대한 소고

        정영선(Young-Sun Chung)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시행중인 장애 차별 관련 권리 구제 제도가 실효성을 갖추고 작동하고 있는 지에 대한 검토와 제도적 개선 방향을 고찰하는 차원에서 시도되었다. 먼저, 장애 차별 관련 권리 구제를 위해서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애의 개념과 외국의 입법례에 규정된 장애 개념 비교를 비롯하여 장애차별의 종류와 영역, 장애차별의 예외 등에 대해서도 외국의 입법례와 비교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장애차별시정 및 권리 구제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 접수된 장애 차별 조사ㆍ구제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장애인차별시정기구로서의 실효적 기능을 개략적으로 진단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 차별 관련 구제제도의 실효성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와 제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개선 방안으로는, 먼저 인권적 관점에서 ‘장애’의 개념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하며, 이에는 장애인차별금지법 등 관련법의 ‘장애’ 개념을 수정하는 작업으로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장애인에 대해 협소한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장애인차별금지법은 ‘장기간에 걸친’ 경우만 장애로 한정하고 있는데, 장ㆍ단기간의 장애는 물론 일시적 장애, 과거의 장애 경력도 포함해야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둘째, 장애 차별 유형에 대한 명확한 기준 정립이 필요하다. 특히 차별의 예외와 관련하여 외국 입법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과도한 부담’ 또는 ‘현저히 곤란한 사정’ 등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없어서 차별 예외에 대한 자의적 해석이 우려된다. 셋째,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장애인 차별 시정을 위해서는 사후적인 차별구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근본적인 방안은 장애인 차별에 대한 사회 각 구성원의 인식을 개선하여 차별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인 바,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 인권교육이 필수적이다. 넷째,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국가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장애인 차별 문제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발언이나 행위 또는 장애인시설에서 벌어지는 불합리한 행태에 대한 대책뿐만 아니라, 장애인이 하루의 일상생활을 시작하는 시간과 공간을 고려한 대책이 필요하며, 그 책임의 상당부분은 국가가 져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애 차별시정기구로서의 국가인권위원회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동안 국가인권위원회는 장애인차별 시정을 위하여 일정 부분 노력해왔지만 장애계의 요구에는 미치지 못하는 미흡한 부분들이 많았다. 장애인 차별을 구제하도록 만들어진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도록 차별 시정기구로서의 본연의 역할에 보다 충실을 기할 것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rying to find out the direction to improve remedy system for rights of the disabled in Korea. First, comparing the concepts relating to ‘disability’ and ‘the person with disability’ in Korea with those of the cases in foreign countries, I found that we need to redress the narrowed concepts of those terms used in Korea and expend the concepts to the range of foreign cases. When we look into the laws relating to the concepts of ‘disability’ and ‘the person with disability’ including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n Korea, narrowed concepts of those terminologies in the related laws cause the limited application of remedy system for rights of the disabled and those behaviors are in turn violating fundamental rights of the disabled. Second, we need to clarify the guideline for the type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Arbitrary adop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also induce the illegal discrimination, therefore we need exactly define what direct discriminations is, what indirect discrimination is, what exceptional cases can be excused in terms of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rights of the disabled, etc. Third, continuous education and public awareness on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re essential to prevent the general public from the discrimination and violation against the disabled. Fourth, the various governmental policies are needed to prepare the reasonable methods for assisting the disabled, including daily program for the disabled, because the disabled also have rights to live as a common citizen in the our society. The state has the responsibility to support any facility and resource for the disabled, and has inclusive obligation to look after the disabled after all. Finall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s a body to redress discrimination and remedy of rights of the disabled shall be requested to play more active role to improve and promote the rights of the disabled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에밀리오 푸치(Emilio Pucci) 패션디자인의 색채 특성 -2005년부터 2009년 밀라노 컬렉션을 중심으로-

        정영선 ( Young Sun Chung ),조주연 ( Ju Yeon Cho ),이연희 ( Youn Hee Lee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에밀리오 푸치(Emilio Pucci)의 패션디자인에서 나타난 색채의 특성을 분석하고 브랜드의 색채 특성을 규명해 봄으로 패션디자인 분야의 조화로운 색채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은 2005년 S/S부터 2009년 F/W까지의 에밀리오 푸치 작품을 웹사이트 자료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사진들을 일정한 형식(jpg)으로 저장한 후, Munsell Conversion(10.0 version)을 이용하여 HV/C 값으로 변하여 색채를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5년 S/S~2009년 F/W 컬렉션의 멘셀 40색상의 특징은 7.5YR에서 10Y 계열의 노란 기를 띠는 색상과 7.5PB에서 5RP 계열의 붉은 기를 띠는 색상의 사용 빈도가 두드러지며 S/S 컬렉션의 색 사용이 F/W 컬렉션보다 다양하게 보여 진다. 2005년S/S~2009년 F/W 컬렉션의 먼셀 10색상과 PCCS 색조의 특징은 색상은 Y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PB, P순으로 색조는 고명도·저채도의 p, 고명도·중채도의 lt, 고명도·중채도의 sf순으로 보여 지며, 계절에 상관없이 Y, PB 계열의 색과 고명도·저채도의 p, 고명도·중채도의 lt의 출현 빈도가 높다. 2005년 S/S~2009년 F/W 컬렉션의 색상과 색조에서 G, BG, B와 v, dp, dk의 출현 빈도는 현저하게 낮게나타난다. 2005년 S/S~2009년 F/W 컬렉션의 배색 특징은 대비색상 배색의 출현 빈도가 높았으며, 무채색은 W, B순으로 보여 지고, 2009년 컬렉션으로 갈수록 사용빈도수가 줄어들고 있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designs by Emilio Pucci, to identify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Emilio Pucci brand,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armonious color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web sites about the works of Emilio Pucci from the 2005 S/S season to the 2009 F/W season. After storing the collected photos in jpg format, the investigator converted them into HV/C values and extracted colors using Munsell Conversion.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40 Munsell hues of the collections from the 2005 S/S season to the 2009 F/W season can be characterized by the outstanding frequency of yellows from 7.5YR to 10Y and reddish colors from 7.5PB to 5RP. The color uses were more diverse in the S/S collections than the F/W collections. The 10 Munsell hues and PCCS colors of his collections from the 2005 S/S to 2009 F/W seasons can be characterized by the highest frequency of Y, which is followed by PB and P, in order of most frequent. The most frequent shades in order were p of high luminosity and low chroma, lt of high luminosity and medium chroma, and sf of high luminosity and medium chroma. The frequency of Y and PB colors, p of high luminosity and low chroma, and lt of high luminosity and medium chroma was high regardless of the season. The frequency of colors such as G, BG, and B and shades such as v, dp, and dk was considerably low in from the 2005 S/S to 2009 F/W seasons. The color arrangements of the collections from 2005 to 2009 can be characterized by the high frequency of arrangement of contrasting colors, the frequent use of achromatic colors in the order of W and B, and the increasingly lower frequency of achromatic colors towards the 2009 coll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