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손(祖孫)가정의 격대교육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인식

        정아란,김영철 한국보육학회 2014 한국보육학회지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ing that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s about grandparent-headed families'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The topics for this study are the teachers' difficulty of teaching grandparent-headed families' children, the awareness of teachers'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and activation methods of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interview were 18 directors and teachers of 9 child education institution in Jeolla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ve difficulty of grandparent-headed families about teaching children of daily life's habits, children's low self-esteem, and interviewing with grandparents. Second, teachers were lacked that awareness of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at first, but they become aware of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s value while research interview. At last, It need methods to activation of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that usage words of alternate-generation education, development of programs for grandparents' children education ability, and education to teachers for understanding grandparents. 본 연구는 조손가정의 격대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손가정 영유아 지도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 격대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격대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문제로 설정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라남도의 9개소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 등 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조손가정의 영유아에 대한 기본생활습관 지도,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낮은 점, 조부모와의 상담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격대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으나 면담 중 점차 격대교육의 가치를 인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격대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격대교육의 용어 사용하기, 조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부모를 이해하기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 교포 어린이의 기초 운동 움직임 기능 발달도

        정아란 한국초등무용학회 1997 한국초등무용학회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file of the level of motor skills of Korean-American children living in the United States. Proficiency in both locomotor and object control skills were measured for 24 Korean-American male children age 34 to 28 months, using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TGMD) (Ulrich, 1985). Results indicated the mean standard score for the locomotor skills of the subjects was 11 (63rd percentile) ; while the range was from the 1st - 98th percentile. The mean standard score for the object control skills of Korean-American children was 13 (84th percentile) ; while the range of object-control standard scores was from the 37th - 99th percentile. While group mean data show average to above average skill development, individual data dipict wide variance in skill level. Further research should study motor skills of native Korean children to gain better insight into the development of these skills.

      • 유아의 컴퓨터게임 과몰입 예방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정아란 한국보육학회 2006 한국보육학회지 Vol.6 No.2

        This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to develop a prevention program of computer games overindulgence in early childhood, and developed a model of prevention program. To develop this model, researcher analyzed cure and prevention programs of addicted computer games in Korea and extracted the constructive principles that is appropriated development grades of young children, and then suggested the 5 steps of model for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 of computer games in early children. Then, researcher divided the 5 steps into the 12 steps again and suggested goals and purposes, and constructed 20 kinds of activities and multiple teaching strategies. Futhermore, researcher studie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is program to be able to use a model of developing programs in the future. So,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ot only prevention education of computer games overindulgence but also the way of teaching computer in early childhood. From now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to prevent computer games overindulgence of young children will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model. 본 연구는 유아의 컴퓨터게임 과몰입 예방프로그램 구안을 위한 예비연구로, 그에 따른 모형을 개발한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컴퓨터게임중독 치료와 예방프로그램을 분석, 유아의 발달단계에 맞는 구성 원리를 추출하여 유아의 컴퓨터게임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을 5단계로 제시하였다. 5단계는 12회기로 나누어 목적과 목표를 제시하였고 20개의 활동과 다양한 교수전략으로 구성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구조와 운영방형을 모색하여 앞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모델로 활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의 컴퓨터게임 과몰입 예방교육은 물론 유아의 컴퓨터교육의 방향성까지도 제안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후 본 모형에 입각한 유아의 컴퓨터게임 과몰입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질 것이다.

      • KCI등재
      • 유아의 컴퓨터게임 과몰입 예방교육프로그램

        정아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7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7 No.-

        최근 유아에게까지 확산되고 있는 컴퓨터게임 과몰입에 대한 예방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져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의 컴퓨터게임 과몰입 예방교육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적용한 효과를 알림으로써 유아들이 컴퓨터게임을 스스로 절제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한 교육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저와 목표 및 내용 구조, 적용방법을 제시하였고 프로그램이 유아의 컴퓨터게임 이용을 스스로 절제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밝혔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유아에게 컴퓨터게임 중독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주고 컴퓨터게임 과몰입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부모교육에도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유아들의 컴퓨터게임 중독지식 부족과 컴퓨터게임 과몰입 실태를 인지하고,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에게 유아의 컴퓨터게임 과몰입을 예방교육 시킬 수 있는 올바른 교육 자료의 초석이 되리라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