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 빅데이터와 야간 위성영상을 활용한 도시 활력 평가: 대구시를 사례로

        정시윤 ( Si-yun Jeong ),전병운 ( Byong-woon Ju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공간 빅데이터, 공공 Wi-Fi AP와 야간 위성영상과 같은 새로운 지리 데이터를 활용하여 2018년 대구광역시의 도시 활력을 평가하였다. 새로운 지리 데이터는 다양한 시공간 스케일에서 도시민의 활동을 보다 직접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이동전화 데이터, 대중교통 스마트카드 데이터, 신용카드 데이터와 같은 세 가지 공간 빅데이터가 도시 활력의 사회적, 경제적 및 모빌리티 측면을 반영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반면에, 공중 Wi-Fi AP와 야간위성영상은 도시 활력의 가상적 및 물리적 측면을 고려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다섯 개의 도시활력 지표들은 주성분 분석을 통해 통합되어 네 개의 시간대에서 집계구별 도시 활력 지수로 변환되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높은 도시 활력을 가진 다섯 개의 클러스터가 대구 도심, 대구은행 네거리와 범어역 네거리, 성서, 동대구역, 칠곡 3지구 주변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도시 활력 지수는 같은 도시 공간상에서도 시간대별로 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도시 활력을 측정하기 위한 대리변수로 공간 빅데이터, 공공 Wi-Fi AP, 야간 위성영상을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urban vitality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 2018 using emerging geographic data such as spatial big data, Wi-Fi AP(access points) and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 The emerging geographic data were used in this research to quantify human activities in the city more directly at various spatial and temporal scales. Three spatial big data such as mobile phone data, credit card data and public transport smart card data were employed to reflect social, economic and mobility aspects of urban vitality while public Wi-Fi AP and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 were included to consider virtual and physical aspects of the urban vitality. With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ive indicators were integrated and transformed to the urban vitality index at census output area by temporal slots. Results show that five clusters with high urban vitality were identified around downtown Daegu, Daegu bank intersection and Beomeo intersection, Seongseo, Dongdaegu station and Chilgok 3 district. Further, the results unveil that the urban vitality index was varied over the same urban space by temporal slots. This study provides the possibility for the integrated use of spatial big data, Wi-Fi AP and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 as proxy for measuring urban vitality.

      • KCI등재

        되솔새(Phylloscopus tenellipes)와 사할린되솔새(Phylloscopus borealoides)의 분류학적 위치에 관한 연구

        박종길(Jong-Gil Park),정시윤(Si-Yun Jeong),김양모(Yang-Mo Kim),진경순(Kyoung-Soon Jin),남동하(Dong-Ha Nam)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는 번식기 지저귐에서 차이가 뚜렷하지만 형태적으로 구별이 거의 불가능한 솔새과 조류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번식하거나 봄․가을에 이동하는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 2종을 대상으로 형태적 특징과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되솔새(Phylloscopus tenellipes)는 지리산, 설악산, 소백산을 비롯한 고지대 산림에서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확인되었으며, 사할린되솔새(P. borealoides)는 봄․가을에 비교적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확인되었다. 솔새과 내에서 두 종 사이의 유전적 거리는 ND2에서 4.12%, COX1에서 4.25%로 측정되었다. 두 종의 계통분석 결과 ND2 유전자의 경우 대략 203만년, COX1 유전자의 경우 244만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DNA 정보를 기준으로 두 종의 형태 분류 시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는 외형적 색깔로 구별이 불가능하였지만 익식의 차이에 근거하여 81.8-96.2% 수준으로 종 구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 결과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의 종 동정 시 형태분류와 분자유전학적인 계통분류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여야 종 구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wo sibling species of leaf warblers, namely Pale-legged Leaf Warbler (Phylloscopus tenellipes) and Sakhalin Leaf Warbler (P. borealoides), exhibit near-identical morphology; however, their songs are markedly different during the breeding season.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these two species of leaf warbler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barcoding. The Pale-legged Leaf Warbler was identified to be a summer visitor that commonly breeds in the highland forests of Jiri, Seora, and Sobaek mountains, while the Sakhalin Leaf Warbler was identified to be a relatively common spring and autumn passage migrant. The estimated interspecific genetic distance among Phylloscopus species was 4.12% based on ND2 and 4.25% based on COX1. The two sibling species of leaf warblers diverged approximately 2.03 (ND2) to 2.44 (COX1) million years ago. Although the plumage color patterns, bare-part colors, and biometrics of Pale-legged and Sakhalin leaf warblers identified as such based on DNA barcodes were near-identical, the species could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wing formula (81.8–96.2%). Integrated morphological and genetic analyses may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of these two morphologically indistinguishable Phylloscopus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