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t3 파일 시스템 기반의 편집된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의 고속 저장 기법

        정승완,남영진,서대화,Jung, Seung-Wan,Nam, Young-Jin,Seo, Dae-Wha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6 No.2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고화질 미디어의 확산에 따라 휴대폰, 디지털 TV, PMP,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한 사용자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및 편집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처리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 편집된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데 있어, 기존 파일 시스템은 많은 시간과 디스크 입출력을 소요하는 성능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xt3 파일 시스템에 아이노드 블록 포인터 재설정을 통한 데이터 블록 공유 기법을 추가하여 편집된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기법을 적용할 경우 다양한 형태로 편집된 파일에 대한 Ext3 파일 시스템의 저장 성능을 평균 16배 향상시킬 뿐 아니라, 데이터 블록 공유를 통해 사용된 디스크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보여준다. With the advance in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high quality multimedia contents, there is a growing user demand for multimedia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digital TV, PMP, digital camcoders, digital cameras. Such devices provide various services associated with multimedia file manipulation, including multimedia contents playback, multimedia file editing, etc. Conventional file systems exhibit a performance-related drawback that requires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disk I/Os in order to store large-sized edited multimedia files. This paper proposes a fast, efficient writing technique for large-sized edited multimedia files by using data block sharing with adjustment of inode block pointers.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not only improves write performance of the Ext3 file system on average by 16 times with various types of edited multimedia files, but also reduces consumed disk space dramatically through the data block sharing.

      • KCI등재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 고속 편집저장을 지원하는 블록 링크 파일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승완,남영진,서대화,고석영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7 No.2

        Recently, the need for multimedia devices, such as digital TV, and camcorder has increased. These devices provide many services on multimedia files such as playing, recording, and editing. Throughout these services, in case of storing edited large-scaled multimedia files, existing file system have several capability problems that are taking too much time and requiring disk I/O.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use of Linux Ext2 file system based 'Block-Link file (BL-file) syste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or the BL-file system, when editing and storing large-scaled files, there is no data input or output but only modification of the metadata. Additionally, by sharing data blocks between multimedia files, we can save disk spaces. Moreover, because the managing of data block sharing information is more convenient than the existing FWAE technique, we can lessen system overhead. The BL-file system is based on Ext2 file system and implemented in a Linux environment, an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validated by applying the Linux multimedia file-editing tool ‘Avidemux’.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TV, 캠코더와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및 녹화, 편집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 편집된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데 있어, 기존 파일 시스템은 많은 시간과 디스크 입출력을 소요하는 성능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 연구인 FWAE (Fast Writing after Editing)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 리눅스 Ext2 파일 시스템 기반의 블록 링크 파일 시스템을 제안한다. 블록 링크 파일 시스템은 대용량 파일 편집저장 시, 실제 데이터의 입출력 없이, 메타데이터만을 수정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 간, 데이터 블록을 공유함으로써, 디스크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데이터 블록 공유 정보 관리가 기존 FWAE 기법보다 간단하여 시스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제안하는 파일 시스템은 Ext2 파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리눅스 환경에 구현하였으며, 유용성은 리눅스 Avidemux 편집 툴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 KCI등재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 고속 편집저장을 지원하는 블록 링크 파일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승완,고석영,남영진,서대화,Jung, Seung-Wan,Ko, Seok-Young,Nam, Young-Jin,Seo, Dae-Wha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7 No.2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TV, 캠코더와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및 녹화, 편집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 편집된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데 있어, 기존 파일 시스템은 많은 시간과 디스크 입출력을 소요하는 성능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 연구인 FWAE (Fast Writing after Editing)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 리눅스 Ext2 파일 시스템 기반의 블록 링크 파일 시스템을 제안한다. 블록 링크 파일 시스템은 대용량 파일 편집저장 시, 실제 데이터의 입출력 없이, 메타데이터만을 수정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 간, 데이터 블록을 공유함으로써, 디스크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데이터 블록 공유 정보 관리가 기존 FWAE 기법보다 간단하여 시스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제안하는 파일 시스템은 Ext2 파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리눅스 환경에 구현하였으며, 유용성은 리눅스 Avidemux 편집 툴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Recently, the need for multimedia devices, such as digital TV, and camcorder has increased. These devices provide many services on multimedia files such as playing, recording, and editing. Throughout these services, in case of storing edited large-scaled multimedia files, existing file system have several capability problems that are taking too much time and requiring disk I/O.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use of Linux Ext2 file system based 'Block-Link file (BL-file) syste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or the BL-file system, when editing and storing large-scaled files, there is no data input or output but only modification of the metadata. Additionally, by sharing data blocks between multimedia files, we can save disk spaces. Moreover, because the managing of data block sharing information is more convenient than the existing FWAE technique, we can lessen system overhead. The BL-file system is based on Ext2 file system and implemented in a Linux environment, an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validated by applying the Linux multimedia file-editing tool 'Avidemux'.

      • KCI등재

        저층밀집주거지역 행정복지센터의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승완,이태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8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is recognized as a public space closest to the local community that performs self-government and culture, welfare, and convenience for the local residents. In particular, the public role of the centers in the low-rise densely populated residential areas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as an anchor facility, and in this regard, the publicity of public buildings is being actively discussed.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architectural publicity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in the low-rise densely populated residential areas and the planning direction for the architectural publicity of a new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in low-rise densely populated residential area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oncept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and architectural publicity were explored first by reviewing prior studies. Then, among the publicity analysis elements used in previous studies, a framework consisting of space utilization, ease of use, accessibility, and resident autonomous space(program) was derived, and to conduct on-sit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the selected cases.(Results) First,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most of the entrance and above-ground open spaces of the cases in low-rise densely populated residential areas are used for parking, and it was found that the usability of outdoor rest areas in the building was low because the area was narrow or its accessibility was restrict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lack of convenient facilities such as parking spaces, public kiosks as well as conveniences, such as disabled toilets. Third, in the case of accessibility, even if the centers were generally within walkable distances there existed problems of mix of parking space and vehicle road, pedestrians as well as lack of information signage. Fourth, the centers in low-rise densely populated residential areas had a relatively small area allocated to self-governing facilities resulting in accommodating and operating various programs. (Conclusions)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in low-rise densely populated residential areas need to consider the following architectural planning aspects to promote publicity when planning new construction or expansion. Firs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ense of openness of the entering area of the building so that any visitors can use it at all times, and outdoor rest areas in a building need to be planned with consideration of accesibility and usabil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y securing a parking space more than the legal standards for parking areas and toilets for the disabled. It also needs to secure the safety of pedestirans through considering sufficient signage and a clear car separation plan, etc, in the vicinity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 KCI등재

        더블벤츄리 연마노즐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정승완,박상훈,송명준,이열 한국기계가공학회 2018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7 No.2

        In the present work, a numerical study is carried out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 and particlebehaviors in a supersonic double Venturi abrasive blasting nozzle. Schlieren flow visualization and Pitotpressure at the nozzle downstream are also carried out, and those measurement results are compared to thenumerical ones for code validation. Open and closed secondary holes on the double Venturi nozzle surfaceare tested for various nozzle pressures,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ones observed for other similarsupersonic Laval nozzles.

      • YAFFS2에서 콜드 데이터를 고려한 가비지 콜렉션 기법 연구

        정승완 ( Seung Wan Jung ),윤준영 ( Jun Young Yoon ),서대화 ( Dae-wha Se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YAFFS2는 빠른 마운트와 안정성 등의 이유로 휴대용 기기의 파일 시스템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YAFFS2의 복사되는 유효 페이지를 최소화 하고 가비지 콜렉션 효율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탐욕 기반 정책을 가진다. 하지만 탐욕 기반 가비지 콜렉션으로 인해 오랫동안 값이 변하지 않는 콜드 데이터를 가진 더티 블록은 가비지 콜렉션 대상 블록으로 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YAFFS2에서 콜드 데이터를 고려한 가비지 콜렉션 기법을 제안하고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 기법의 우수성을 증명한다.

      • 인셉션 기반 멀티모달 융합네트워크와 뇌영상을 이용한 뇌교종의 등급 구분

        정승완(Seung-Wan Jeong),조환호(Hwan-ho Cho),권준모(Junmo Kwon),박현진(Hyunjin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20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8

        Glioma is a brain tumor that occurs in the neuroglia cell in the brain. It is important to classify the grades of glioma because the prognosis and method of treatment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grades of glioma. In this paper, we propose a fusion network—based inception network that effectively uses information from multi—modal brain images to classify glioma grades. The Brain Tumor Segmentation Challenge 2017 (BraTS 2017) dataset was used to evaluate the network. The network received multi—modal images as input and was validated using the 5—fold cross—validation. As a result, our method achieved AUC value 0.9412 on average on the test fold, which is 0.005 to 0.01 higher than other competing methods.

      • 리눅스 기반의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 편집 및 고속 저장 기법

        정승완(Seung-Wan Jung),남영진(Young Jin Nam),백장운(Jang-Woon Baek),서대화(Dae-Wha Seo) 한국정보과학회 영남지부 2007 한국정보과학회 영남지부 학술발표논문집 Vol.1 No.1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장비의 대중화로 인하여, 오늘날 누구나 쉽게 영상물을 촬영하고 디지털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이런 장비들이 제공하는 고화질의 미디어 컨텐츠는 대용량 파일의 형태로 저장된다. 대용량 파일의 필요한 부분만을 편집하여 재저장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법이 요구된다. 현재의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편집된 파일의 내용을 새롭게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대용량 파일의 경우 많은 디스크 대역폭과 시간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아이노드 블록 포인터 재설정 기법을 구현함으로써 대용량 파일에서 필요한 부분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편집하여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편집하여 저장할 시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 비해 최대 16배 시간 단축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