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고용 및 복지서비스 인지의 관계

        정순둘(Soondool Chung),이은진(Eunj in Lee)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1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과 고용 및 복지서비스 인지에 대한 청년ㆍ중년ㆍ노년의 연령대별 차이를 살펴보고, 그 함의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전국을 대상으로 할당표집을 통해 추출된 20세 이상 성인남녀 1,216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분석결과 고용 및 복지서비스 인지에서 청년ㆍ중년ㆍ노년의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청년층보다는 중년층이, 중년층보다는 노년층에서 고용 및 복지서비스 인지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별로 관련성을 살펴보면, 신뢰는 고용서비스와 복지서비스 인지 모두 청년층과 중년층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참여는 청년층의 고용서비스와 노년층의 복지서비스 인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령대별 사회적 자본 요인을 고려한 고용 및 복지서비스 인지 제고 방안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recognition of employment and welfare service in three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the young,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by a quota sampling method from 1,216 Korean adults aged 20 and abov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Age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ecognition of employment and welfare service, which is that the recognition of those services becomes lower with age. Trust, a component of social capital, appeared as an important variable to predict the recognition of employment and welfare service in two age groups such as the young and the middle-aged. While social participation was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employment service for the young, it was also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welfare service for the middle-aged. Further discussions concerning method for promoting the recognition of employment and welfare service including social capital intervention by age were provided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research was proposed based on the study result.

      • KCI등재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변수와 건강정보이해력 및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을 중심으로

        정순둘 ( Soondool Chung ),임정숙 ( Jeungsuk Lim ),이미우 ( Miwoo Lee ),정세미 ( Semi Ch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건강(우울), 그리고 건강정보이해력 및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향후 이들의 노후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역량강화 지원사업의 ``연령주의 및 연령통합에 대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00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변수인 우울이 높고, 건강정보이해력과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정보이해력이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건강정보이해력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긍정적인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ㆍ실천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 to improve older people`s life satisfaction from identifying factors, which were derived from exploring several variables (perceived health, mental health,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 affecting perception on ageing positively and negatively. This study used data (400 people age 65 and over) from survey on ageism and age integration conducted by ``supporting project of enhancing humanities and social capacity``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ed; 1) older people negatively perceived psycho-social ageing; 2) older people had high level of depression; 3) showing slightly low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literacy; 4) depression, perceived health and mental health literacy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e on perceived psycho-social aging. With these results, the ways were suggested to improve positive psycho-social ageing and quality of life.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순둘 ( Soondool Chung ),박애리 ( Aely Park ),기지혜 ( Jeehye Ki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손자녀 돌봄의 지속 여부에 따라 손자녀 돌봄을 종단적으로 유형화하고, 이러한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1차년도(2005년)에 만 50세 이상의 가구원 중 4차년도(2011년) 조사까지 설문에 모두 참여한 대상자를 개인별로 병합하여 사용하였다. 손자녀 돌봄은 종단적으로 돌봄지속, 돌봄중단, 돌봄전이, 비돌봄의 4가지 형태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비돌봄 노인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돌봄중단 노인이 비돌봄 노인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돌봄전이 노인이 비돌봄 노인에 비해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연령층에 따라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돌봄중단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는 중년층에서만 나타났으며, 돌봄전이와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 또한 중년층에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돌봄중단을 경험한 조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손자녀 돌봄에 참여하는 노인의 건강한 노후생활을 위한 제고방안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tterns of grandparenting role on grand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e employed data from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aves of data were utilized. In this study grandparents taking care of grandchildren wer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indicating duration of care for their grandchildren-those who were continuously raising a grandchild; those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 those who began to raising a grandchild;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at all.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 were lower levels of life-satisfaction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at all. Also, those who began to raising a grandchild were higher levels of family-relationship-satisfaction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The significant group effects were only discovered among grandparents under 65 and grandmothers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 showed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We discuss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on the grandparenting roles for grandparents` healthy life.

      • KCI등재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정순둘(Soondool Chung),정윤경(Yunkyung Jung)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2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ublic perceptions of aging Korean society and related factors in the context of population aging and generational difference. Data are from 1,498 individuals older than 20 who were recruited through the quota sampling techniqu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reported less then three as the number of positive aspects of aging Korean society.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population aging, such as knowledge about aging, perceptions about family care, anxiety about later life, and perspectives about generational conflict, anxiety about later life was shown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rception of aging Korean society across age groups. Respondents 65 and older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about aging Korean society and this association was conditioned by perspectives about generational conflict. Perspectives about generational conflict revealed positive associations with perception of aging Korean society among respondents aged 20-44 and 45-64, while no association was found among those 65 and older. Discussions focused on ways to alter perceptions of aging Korean society and needs for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고령화와 관련된 가치체계와 세대차이의 맥락 속에서 고찰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을 대상으로 할당표집을 통해 추출된 20세 이상 성인남녀 1,498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고령화 사회 인식의 8개 영역 중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영역은 세 개 이하였다. 노화에 대한 지식, 부양인식, 노후불안, 세대 갈등으로 측정된 인구고령화와 관련된 변수들 중, 노후에 대한 불안이 모든 연령 집단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65세 이상 연령 집단이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이 20~44세, 45~64세 집단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세대갈등 변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대 갈등적인 인식은 20~44세와 45~64세 집단들에서 고령화 사회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나 65세 이상 집단에서는 두 요인 간에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 구성원의 고령화 사회 인식의 전환의 방향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노후불안인식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정순둘(Chung, Soondool),정주희(Jeong, Juhi)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2

        본 연구는 노후불안인식의 수준과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각 연령집단별로 살펴보고, 노후불안을 낮추기 위해 사회적으로 어떠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지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17 연령 통합 설문 조사”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017명의 조사대상자를 청년층 307명, 중년층 357명, 노년층 353명의 3개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여 노후불안인식 영향 요인들을 비교분석하였다. 각 연령집단 간 노후불안인식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노후불안인식에 대한 각 변수들의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각 연령집단별 노후불안인식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낙인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가능연령은 청년층과 중년층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공정성인식은 중년층과 노년층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령통합인식과 고령친화적 환경 변인은 노년층에서만 노후불안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노후불안에 대해 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노년기에 대한 인식과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과의 연관성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aging anxiety by three different age groups and to find out what alternatives should be socially prepared to lower aging anxiety. We us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017 adults who are aged 18 and over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18-44 age group, 45-64 age group, over 65 age group.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according to each age group, 2) ‘perceived elderly stigma’ was found to affect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in all age groups, 3) ‘perceived maximum age possible to work’ was influencing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in 18-44 age group and 45-64 age group, 4) ‘perception of fairness to the operation of social systems’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for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in the 45-64 age group and over 65 age group, 5)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and ‘aging-friendly environment’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only in over 65 age group. Suggestions for reducing the perceived level of aging anxiety have been propos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사회결속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통합 인식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정순둘(Chung, Soondool),박애리(Park, Aely)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는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사회결속력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연령통합 인식이 고령친화 환경인식과 사회결속력 인식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연구재단의 한국사회기반연구사업(SSK)에서 진행된 ‘2017 연령통합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분석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세에서 86세까지 성인 997명이였다. 고령친화 환경인식은 WHO에서 제시한 고령친화도시가이드라인 항목을 활용하였으며, 연령통합인식은 연령유연성과 연령다양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측정하였다. 사회결속력 인식은 사회통합에 관한 측정도구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사회적 자본 척도 가운데 신뢰와 사회응집력을 묻는 문항을 사용하 였다.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령, 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을 통제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높을수록 대상자들의 사회결속력 인식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령친화 환경인식은 연령통합 인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사회결속력 인식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구고령화로 인한 세대 간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고령친화 환경조성 및 연령통합인식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perceived social bonding.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between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and perceived social bond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2017 Ages Integr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SK). A total of 997 adults from 20 to 86 ears of ag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was measured using the age-friendly city guidelines set out by WHO and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was measured using questions that asked about age flexibility and age diversity. Also, the social capital scale was used to measure perception of social bonding.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age, gende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residential area were controll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employ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ceived social bonding in a positive direction, controlling for age, gende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residential area. Second,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perceived social bonding controlling for covariat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age-friendly environment and age-integration.

      • KCI등재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인식

        정순둘(Chung, Soondool),최혜지(Choi, Hye Ji),배은경(Bae, Eun Kyung),이경민(Lee, Kyoung Min)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위험인식을 고찰하고, 우리 사회의 고령화 사회 준비와 그 방향을 모색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위험에 대한 Slovic의 구성주의적 인식과 Taylor-Gooby의 신사회적 위험의 시각을 바탕으로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인식을 위험순위와 위험인식으로 유형화하여 고찰하였다. 사회조사 연구로 설계했으며, 할당표집으로 추출한 20세 이상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인식은 11개 위험영역 중 7번째로 나타났으며,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순위는 '고령화 사회에 살고 있는지에 대한 인지여부', '고령화가 삶에 미치는 영향', '최종학력'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인식은 '고령화 사회의 자신과 연관성', '고령화가 삶에 미치는 영향', '최종학력'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구성원의 고령화 사회 준비와 그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risk regarding an ageing society and to suggest the ways of preparation for an ageing society. Based on the social constructionist paradigm from Slovic as to the perception of risk and the perspectives of new social risks from Taylor-Gooby, we observed risk perception of an ageing society in two ways: ordering of perceived risks and risk perception. Social survey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and data collected from 1,500 subjects aged 20 and over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isk perception of an ageing society was ranked 7th out of 11 social risks. 'Whether or not one perceived he/she lived in an ageing society', 'an ageing society's effects on one's liv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ordering of perceived risks of an ageing society. Also, perception of risk regarding an ageing socie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lation of ageing society with his/her own life', 'an ageing society's effects on one's liv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Further discussion for the preparation of an ageing society was provid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정순둘 ( Chung Soondool ),성민현 ( Sung Min Hy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각 연령대별로 나타나는 사회적 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과 함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전국 15개의 시도를 중심으로 연령, 성별로 층화하여 표본 할당 및 조사 대상을 추출하였다. 표본은 20~44세 406명, 45~64세와 65세 이상에 대해 각각 405명씩 할당 표집하였고, 총 1,216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삶의 만족도 평균은 각 연령집단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노인층의 삶의 만족도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 변인들로는 인구사회학적 변인들과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들로 나타났는데 연령대별로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자본은 각 연령별로 영향을 미친 하위요인이 다르게 나타나 각 연령대별로 고려해야 할 점이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연령별로 찾아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life-satisfaction by three different age groups. Sampling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by quota sampling considering residential district, age, and gender of the respondents. A total of 1,216 peopl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age groups: aged 20 to 44, aged 45 to 64, and aged 65 and over. Result showed that the elderly group had lower level of life-satisfaction than any other groups. Economic status appeared as a common variable to predict life satisfaction for all age groups. Life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different sub-dimensions of social capital in each age group. On the basis of results,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related to social capital and life-satisfac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