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광 장성연의 현대가사에 나타난 전통의 지속과 변화

        정소연 ( So Yeon Chung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0 청람어문교육 Vol.41 No.-

        본고는 현대가사를 왕성하게 창작하고 있는 예광 장성연(1944~현재)의 작품을 대상으로 전통가사의 지속과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한 것이다. 현대가사는 여성작가나 지방문학에서 명맥을 유지한다고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으나 예광은 서울에 거주하는 남성작가로서 1만여 연에 이르는 가사를 창작한 작가로서 학계에 소개할 충분한 가치가 있다. 예광의 가사는 현재적 갈래로서 어떤 양상으로 존재하는지, 그리고 가사의 현재적 계승을 위해 나아갈 길은 무엇인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예광의 현대가사에 나타난 전통의 지속과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과 표기에 있어서 4음절의 엄격한 유지와 4보격, 그리고 4행마다 연을 구분하는 변화를 보인다. 또 열린 結語를 통해 공동체와의 소통과 겸손한 위치에서의 하나됨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둘째, 창작의 현장성과 즉흥성에서 전통가사를 이르면서도 낭독·필사와 더불어 묵독 위주로 향유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셋째, 이야기나 한시, 고사성어의 가사화를 통해 전통시대의 갈래교섭현상을 볼 수 있다. 가사의 교육적 기능 및 교훈성 전달이라는 전통가사의 기능을 잇고 있는 것이다. 넷째, 기행가사, 교훈가사, 종교가사, 현실비판가사, <인생월령가>나 <효행가>, <뉴욕별곡> 등 전통가사의 다양한 세계를 재현하되 낮은 자세에서 청자를 향해 겸손히 말하는 방식이 특징이다. 다섯째, `변화속의 지속`으로서 이름 머릿글 가사라는 새로운 창작방식을 고안하였다. 이러한 창작세계는 전통시대의 미덕이자 이 시대에 부족한 사람간의 유대감과 친밀감, 공동체 의식을 기르는 효과를 거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be continual presence of Ga-sa genre today. To find the ways, I studied YeKwang Jang Sung-yeon(1944~present)`s Modern Ga-Sa works. According to previous study, Modern Ga-Sa is created by women writers or at provinces. But YeKwang Jang Sung-yeon as a man writer lives in Seoul and created numerous works. He has composed ten thousands of works, so we can find the succession and change of traditional Ga-Sa from his works.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YeKwang succeeded the formality of 4 letters and 4 metres, but he divided with several stanza. And unlike traditional Ga-Sa, he opened the closing remarks to pursue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speech of modesty. Second, in the ways of creation and enjoyment, he succeeded improvisation of traditional Ga-Sa. Third, we can find translation of several kinds of genres like traditional Ga-Sa works. Fourth, YeKwang represent diversity of traditional Ga-Sa sings travel, didactic contents, religion, criticism, etc. Fifth, YeKwang created new world of Modern Ga-Sa, namely, Name Ga-Sa that starts with the someone`s initial.

      • KCI등재

        설화교육의 의의와 방향 탐색을 위한 <천냥점> 설화 연구

        정소연(Chung, So-yeon) 국어교육학회 2014 국어교육연구 Vol.55 No.-

        This paper shows the meanings of the nationalwide 〈Thousand-Nyang -Divination〉 Tale of 85 versions. I classified this tale into 7 types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types. And I explored 3 aspects’ meanings of this tale, namely textual, traditional, and present meanings. Though this tale has transmitted by ordinary people, but the meanings of this tale are not simple. This tale deliver the messages of our lives. These are as follows. First, The best wisdom is to respect others’ lives important as my own life, and this is the way to solve my life’s problems. Second, life is not simple, it has the other side’ truth, so we should know there are the irony and paradox. Through this article, I tried to find the present value of narrative literature. It has not the rhetorical devices, but it has the wisdom penetrates the time and space. So it needs to find the position of narrative tales in our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普賢十願歌〉의 漢譯양상 연구

        정소연(Chung So-yeon) 한국어문학회 2010 語文學 Vol.0 No.108

        This article is the full-scale work which study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translation into Chinese poetry. I studied in the two sides, structure of contents and form. In chapter 2, I found the circulation structure in the part of contents’ structure. Namely, the structure of the first half which is from the 1st work to 5th work is [Buddhist → myself(poetic speaker) → me&others]. And the structure of second half is same with it of the first half. In chapter 3, I examined the basic structure of Korean songs(Hyang-Ga) and Chinese poetry. Korean songs have 5 lines and Chinese poetry 8 lines. So, I compared the translation appearances according to one lines in chapter 4. As a result, there were 3 kinds of translation principles, which are creation&addition, materialization and deletion. In chapter 5, I examined the translation aspects according to larger unit, more than two lines and found that Korean songs were translated into [4lines+2lines+2lines] or [2lines+4lines+2line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wo structure. In conclusion, I studied the whole structure of a three stage structure in Korean songs and a four stage structure in Chinese poetry. The whole structure in sequence of 11 works has antithesis, so the structure of antithesis in the one work agrees with that of whole 11 work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find the translation condition of Hyang-Ga(Korean songs) which is the sequence works into Chinese poetry in the history of diglossia in Korea.

      • KCI등재

        서사 향유 현상으로서의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의 문학사적 의미

        정소연 ( So Yeon Ch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6 No.-

        This paper explores the literary history by means focusing on online games as a new way to enjoy the narrative and Korean classical novels by comparing and reporting it as a literary phenomenon. Chapter 2 looked at changes in enjoying people(readers) and media surrounding the creation of new genres in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ture examined whether the classical novel and online games on any literary historical location. Chapter 3 enjoying people(readers) and media change, focusing on such a controversial procedure that appears on the emergence of new genres looked at the literature history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the classical novel and online games specifically. And I looked at the appearance of enjoying people(readers) of literary history, especially from a small number of upper male gender to high and low class, men and women, age and youth people were appeared as the subject of attention in the course of literary history. Chapter 4 was a enjoyment way of narrative as an online game now means the emergence of youth as a new subject in the literary history, so highlighted that literary history education must be made based on literature consciousness.

      • KCI등재

        황윤석의 <목주잡가>에 나타난 시(詩) 지향성의 시조사적 조명 - 18세기 시조의 시(詩) 지향성 발견을 중심으로 -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8 No.-

        본고는 황윤석(1729-1791)의 시조 <木州雜歌二十八首>를 대상으로 18세기 시조가 시조사적으로 가지는 변화적 특징에 포착해 황윤석의 시조가 가지는 18세기적, 나아가 시가사적(詩歌史的) 전개를 해명하는 데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창작 상황면에서, 3장에서는 구성면에서, 4장에서는 내용면에서 접근해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창작 상황에 있어서 지방 은거나 유배기에 주로 지어진 시조 작시 경향과 달리 황윤석은 자기 생애의 가장 높은 관직 시절에 현감으로서의 책임감을 다짐하는 시조를 짓는 변화를 보인다. 둘째, 세계관을 직접 표출하는 통로로서 시조를 지으면서 구성면에 있어서는 ‘木州雜歌二十八首’로 묶어둔 일련의 작품의 연작적 유기성이 약하다. 셋째, 내용면에 있어서 자연을 다루지 않고 사람을 주요 제재로 삼아 다루었다. 특히 임금에 대한 왕(王), 군(君)의 직접적 표현과 화자 자신의 신(臣)이라는 단어 사용, 작가의 가족과 친지 관계의 구체적인 정보와 사실의 표현 등 작가와 화자가 거의 일치되고 생활밀착적인 생활시로서의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한시의 특징, 더 구체적으로는 읽는 시의 특징이기도 한데, 당시의 시(詩)란 한시였던 양층언어작가에게 시조가 시로서의 위상을 성취해가는 과정으로서 시조가 더 이상 고급문학이 아닌 노래가 아니라 읽는 시(詩)로서의 지향을 보이는 갈래로 인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목주잡가>는 18세기 사대부 시조의 변모를 통해 근대로 가는 길목의 시가사적 전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18th century poetic historical significance through Hwang Yunseok’s sijo < Mok-Ju-Jab-Ga(木州雜歌) >. First, Hwang Yunseok created this works when he is the best political position in his life, though other sijo writers had created when they are in local province or in exile. Second, the sequence structure of < Mok-Ju-Jab-Ga(木州雜歌) > is not organically, it is a kind of deviation from other historical sijo’s creative custom. And it is also a new trend to express directly writer’s view of the world by sijo. Third, the content of < Mok-Ju-Jab-Ga(木州雜歌) > did not deal with nature and dealt with human. In particular, Hwang Yunseok directly expressed the king and writer’s real family concretely. From this expression of specific information and the fact of writer, we can know that the distance of writer and poetic speaker is very close and this is almost similar like hansi. Namely, Hwang Yunseok, as a diglossic poet, sought a poetry directivity. So, by Hwang YunSeok, we can find the process from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to Modern Korean poetry in the period of Modern transitional 18<sup>th</sup> century.

      • KCI등재

        1930년대 김억의 한시 국역 양상과 의미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시가학회 2018 韓國 詩歌硏究 Vol.44 No.-

        In this study, I examined a translated poetry Mang-Woo-Cho(忘憂草), which clearly depicts various aspects of the translation of hansi by Kim Eok in 1930s. This study compares Kim Eok with other contemporary poets. Kim was a popular 20th-century poet who translated more than 800 hansi into Korean and published the first translated hansi 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are 166 translated hansi in total, including 87 Chinese hansi, 61 Korean hansi, and 18 hansi by the unknown. Chinese hansi involves a lot of Tang poetry, and Korean hansi mostly belongs to th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Most of the hansi are in Chinese quatrain, and the writers are not only male and high class, but also female and low class like Ki-saeng. In the traditional era, China was a main center of hansi, and most of the writers were men. Hansi was a male-oriented high class literature; however, Kim wanted it to be accepted as Korean poetry that could be enjoyed by all in the 20th century. Second, the contents of hansi are mainly emotions such as parting, sorrows of old age and nostalgia. In addition the lyrical poetry of the 1930s is expressed through translated hansi. In most cases the original title was imported, and translated into four lines. Each line 7.5 syllables and 3 feet of meter, and the rhyme of hansi was changed into the rhyme of Korean poetry. Although hansi was comprised written poetry traditionally, Kim's translations were oral songs, similar to Korean traditional poetry and songs. During the 1930s, Kim's contributions accorded an important place for traditional Korean poetry in the modern history of poetry. Third, compared with the works of other poets of the 1910s-1930s, Kim’s works were the same as the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hansi, particularly Tang poetry, and ha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ngs. However, his translations were much better in that they included the Korean hansi of both men and women irrespective of social class and incorporated the unique rhythm of Korean traditional songs In this respect, Kim Eok an be considered a representative poet who accepted the tradition of hansi and embraced all aspects of poetry and songs. Further Kim’s translations of many Korean traditional hansi that date back to the time of severe Japanese oppression express his resistance to Japan, along with the Korean lyrical pursuits of the 1930s.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나타난 고전시가 수용 방식과 현대적 의의

        정소연 ( So Yeon Chu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8

        I studied reception and creation attitude of Il-yeon for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Sam-guk-yu-sa( 三國遺事)≫. It is stereotyped in three ways - descriptive attitude, analytical attitude and creative attitude. And I discussed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it and educational effect. We looked the knowledge, experience, performance and attitude were well fulfilled in this book. The meaning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we studied how the ancients receive classical songs and poetry. We could find ancient people had active interest in classical songs and poetry and the story surrounding them, attitude which takes advantage of context-related knowledge, Second, we could find the implications and wisdom for teaching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the classic documentary, ≪Sam-guk-yu-sa ( 三國遺事)≫. It shows that classic documentary could be repository of wisdom to find ways of classical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al contents. Third, we could find that the aim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ere implicated in the classic documentary of the classical period, and seek educational measure of ``Critical Reception and Creative Production of Literature`` at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1.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정인보, 김소월의 전통 한시 국역(國譯) 연구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4

        본고는 20세기 초에 하나의 문학사적 현상으로 나타난 시인들의 외국시 번역, 그 중에서도 전통 한시의 국역(國譯)에 주목하고, 1930년대 한시를 국역한 시인들 중에 정인보와 김소월을 중심으로 그 양상과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정인보가 국역한 한시는 3수에 불과하지만, 고가(古歌) 및 여성 화자 위주의 한시를 행 구분 및 4음보 위주의 국역을 통해 문학담당층이 확대되는 새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면서도 전통 국어시가의 율격을 지속하고자 한다고 보았다. 전통 시대의 중심 갈래인 한시를 20세기에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국역(國譯)하되 국어시가사의 전통적 율격을 계승할 뿐만 아니라, 원시에 없던 일상 구어를 추가함으로써 한`시`의 국역이 오히려 구술성을 획득하는 시가(詩歌)적 지향을 보였다고 하겠다. 김소월은 1930년대에 10수의 한시를 국역하였는데, 모두 중국 당시(唐詩)로서 이별 노래가 압도적으로 많다. 일본이 동아시아 문명권의 주변부인 시대의 시이자 우리의 문화적 자부심을 고취할 수 있는 시대의 시를 국역함으로써 당시 우리 민족 모두의 정서를 대변하고 공감할 수 있는 시를 대상으로 삼았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국역시는 거의 2음보격으로, 한 행이 7음절이거나, 띄어쓰기가 없이 7언절구처럼 보이는 국역시까지 있어서 시각적으로는 시(詩)로서의 정형성을, 낭독으로는 가(歌)로서의 율격을 동시에 추구하는 시가적(詩歌的) 지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원시를 읽은 독자의 반응을 표현한 수용자 중심의 국역을 보여준 점도 주목된다. 본 논의를 통해 정인보와 김소월은 전통시대 시(詩)의 중심이었던 중국 한시를 우리 `국어` `시가(詩歌)`의 전통적 율격으로 바꾸고, 새로운 시대의 문학 주체의 확장과 공감 가능한 보편적 내용으로 국역하여 20세기 한국 현대시를 모색하는 또 하나의 방안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같은 시대 한시를 국역한 세 시인 중 한 사람인 김억의 경우를 함께 살피지 못해 차후 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language translation of traditional hansi in the 1930s, especially poets Jeong, In-bo and Kim, Sowoel. In the 20th century, Many poets had translated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hansi into Korean language.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it started Korean language as a national public language. At that time, not only hansi but also several languages` poetry had translated into Korean. First, Jeong In-bo translated 3 Chinese ancient songs which contents are about women into Korean poetry with 4 metre each lines. It means that hansi is past representative poetry genre of male poet, but he translated into women centric Korean poetry and songs because in 20th century the subject of literature enlarges into women. Besides 4 metre rhythm is traditional rhythm of Korean poetry andd songs as like Sijo and Gasa genres. So he inherited tradition in 20<sup>th</sup> century for the search Korean new modern poetry. Second, Kim So-woel translated Chinese tradition Hansi, especially Dang dynasty`s poetry of not only famous male poets like Wang Wei, but also unknown poets and female poet, etc. Poet Kim translated into Korean poetry with 2 metre each line, sometimes 7 syllables each line without word spacing like quatrain Chinese hansi genre. It means he aimed for not only songs as a spoken literature like orality and universality but also poetry visually as a written literature. It shows that they thought Korean modern verse literature should be songs as well as poetry. And it shows continuity of literary history that hansi continues in the modern poetry, though the language is Korean.

      • KCI등재

        1910~20년대 시인의 전통 한시 국역 양상과 의미 연구 - 최남선, 김소월, 김억, 이광수를 중심으로 -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4 No.-

        본고는 20세기 전반기에 하나의 문학사적 현상으로 나타난 시인들의 한시 국역 현상에 주목하고, 이 중에서도 1910년대에 최남선의 한시 국역 7수, 1920년대에 김소월의 6수, 김억의 6수, 이광수의 3수에 주목하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그 국역의 구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에 한시 국역을 처음 한 1910년대의 최남선은 이백, 두보 등의 유명 당시(唐詩) 및 근체시, 특히 7언시를 국역하였다. 원시(原詩)는 노래의 성향을 적지 않게 띠고 있으나 최남선은 음보율에 더 나아가 음수율에 가까운 형식을 추구하고 행말이 명사나 부사어로 끝나게 국역 한다거나 문장으로 기록된 문체로 바꾸는 등 읽고 보는 시(詩)를 지향하였다. 또한 원시보다 행수가 같거나 더 짧게 국역해서 축약함으로써 군더더기나 부연을 줄이고 독자가 시어들 간의 해석에 적극 개입하고 해석하는 여지가 마련한 점도 기록문학의 특성을 지향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1920년대에 첫 한시 국역을 한 김소월도 이백, 두보 등 유명 당시(唐詩)를 대상으로 하였고, 노래의 성향을 적지 않게 띤 중국 한시를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최남선과 반대로 원시보다 더 행수나 정보량이 길어지게 국역하여 부연이나 첨가의 내용이 추가되게 하였고, 단연체 시를 다연체 시로 국역하였다. 특히 감탄구나 의성어, 동어 반복 등으로 일상 구어에 가까운 구술성을 강화하고, 보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화자 등의 시어를 바꾼 점은 노래로서의 성격을 지향하는 국역 방식을 보여준다. 셋째, 1920년대의 김억도 이백, 두보 등 유명 당시(唐詩) 및 절구를 대상으로 국역했다는 점에서 앞의 시인들과 같으나 고려 정지상의 <송인>이 한 편 들어갈 뿐만 아니라 이 작품을 합쇼체의 경어체로 국역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김소월처럼 단연체의 한시를 다연체로 국역하였고, 또 특정 율격을 추구하지 않고 내용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일대일 대응이 되는 국역을 한 점이 이후 김억의 700여 수에 가까운 한시 국역과 다른 이 시대의 특징이다. 넷째, 1920년대의 이광수도 당대(唐代) 시인인 두보의 한시를 국역하면서 다연체로 바꾼 점이 다른 1920년대 시인들과 같다. 이 외에도 대화체 및 현장감을 높이는 방식으로의 국역은 다른 1920년대 시인들과 같이 기록문학으로서의 시보다는 구술성을 추구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 네 시인은 전통시대에 국어시가보다 위상이 높았던 중국의 옛 한시를 도리어 국어시가화하되, 1910년대의 최남선은 국문전용시대의 우리 근대시가 나아갈 방향이 기록성과 문자성을 추구하는 것이라 여겼다면 1920년대의 김소월, 김억, 이광수는 다수가 공감하며 보편성을 높일 수 있는 일상 구어 기반의 노래[歌]로서의 존재를 함께 추구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시의식을 보여준다. 이는 당시 시인들이 생각한 근대 한국시의 지향점으로서 기록문학성만 추구한 것이 아니라 구술문학으로서의 특성도 포함한 시가(詩歌)를 근대시로서 인식한 것이기도 할 뿐만 아니라 한자로 되지 않았으나 근대 국어로 된 시에도 한시가 지속되고 있다는 시가 사적 지속성도 잘 보여주는 것이다. 나아가 비록 22수에 불과하지만 1930년대나 40년대에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다른 특성을 보이게 되는 전통 한시 국역 양상의 문학사적 흐름을 살펴보는 기반으로서의 의의도 가진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language translations of traditional Chinese hansi in the 1910s and 1920s. In the 20<sup>th</sup> century, many poets translated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hansi into Korean.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Korean language began to be used as a national public language. At that time, not only hansi but also poetry from several other languages had been translated into Korean. Choi Nam-sun in the 1910s and Kim So-woel, Kim Eok, and Lee Kwang-su in the 1920s translated Chinese traditional hansi, focusing on famous Dang dynasty poetry from Tu Fu and Li Bai, etc. Choi Nam-sun’s translation in the 1910s aimed to consider poetry as a written literature. On the contrary, Kim So-woel, Kim Eok, and Lee Kwang-su believed that Korean modern verse literature should be songs as well as poetry, and their translations in the 1920s aimed to create songs as spoken literature by focusing on orality and universality. Though Korean is now the language, the literary history of hansi continues in modern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