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명동성당에 나타나는 고딕성당의 디자인 원리 연구

        정서연(Jeong, Seo-Yeon),정세정(Jung, Se-Jung),원지(Won, Ji-Yeon)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3 No.2

        In the Middle Ages, cathedrals were constructed using the principles of number and geometry, based on the religious view that the world was formed by God. This paper aims to find out how the design principles of Gothic cathedrals were applied to domestic cathedral architecture when the architectural style of Gothic cathedrals was introduced in Korea in the 19C. The research method aims to examine the design principles of Gothic cathedrals through prior research and analyze how these principles were appli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geometric proportion, and symbolic number of domestic cathedrals.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the design principles of Gothic cathedrals were not applied, but it seems to follow the Gothic style in many areas, such as spatial composition and decorative elements.

      • KCI등재

        유치원 교실에서 참여권을 실현하기 위한 유아의 노력

        정서연(Jeong, Seo-Yeon),윤재희(Yoon, Jae-Hui)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실에서 참여권을 실현하기 위해 유아가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A유치원 누리반을 관찰하고 연구 참여자들과 면담했다. 관찰자료, 면담자료, 문서 및시청각 자료, 현장일지 등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누리반 유아들은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수용될 수 있도록 언어적 방법을 사용했다. 먼저 유아들은 자신의 의사를 통보하여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수용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상대방의 허락을 구하는 우호적인 방법을 사용하기도했으며 교사의 힘을 가져오기도 했다. 둘째, 누리반 유아들은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수용될 수 있도록비언어적 방법을 사용했다. 먼저 유아들은 신체언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수용될 수 있도록했다. 그리고 침묵하거나 때로 쉼 없이 자신의 말을 반복하여 강하게 주장하기도 했다. 누리반 유아들은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수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는 능력을 가진 존재였으며 일방적이기보다 우호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strategies 5-year-old children use to practice their righ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room activit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interviews, documents, audiovisual materials, and field journals from a Nuri classroom in a Kindergarte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used linguistic approaches in ways what they expressed can be accepted. They included expressing their intentions, seeking permission for their said intentions, and asking for teachers. Additionally, children used a friendly strategy to ask permissions while they brought power of a teacher. Secondly, they used nonverbal methods to express themselves. They included the use of body language, silence, and strong assertion. Children showed the ability to use various strategies to express themselves and have what they expressed accepted. Children generally used friendly methods rather than unilateral ones. It was discussed that this study helps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young children’s ability in expressing their opinions and exerting their influence in a classroom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기호학에 토대한 시각장애인 미술 감상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정서연(Jeong, Seo-yeon) 한국장애학회 2020 한국장애학 Vol.5 No.2

        오늘날 시각장애인을 위한 미술 감상 방법 연구는 모두의 사회참여를 이루어나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미지가 정보를 주도하는 사회에서 시각장애인은 문화생활의 사각지대에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안과 방안을 마련하는 역할이 중요해졌다. 이미지를 감상하는 것은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해 망막에 맺히는 기능적인 것뿐만 아니라, 문화를 바탕으로 한 상호간의 약속 체계, 즉 기호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체계를 연구하는 기호학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기호의 법칙과 기호를 통해 생겨나는 의미를 해석하고 공유하는 학문이기에 미술 감상의 수단이 된다. 본고는 이러한 지점에 입각하여, 이미지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기틀에 기호학을 사용하여 시각장애인의 미술 감상을 이미지의 언어화 측면으로 접근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진행한 <기호학에 토대한 미술 감상 교육프로그램>은 언어를 활용해 작품을 감상하는 시각장애인에게 언어적 상호작용의 기틀을 마련하여 미술 감상의 질적 향상과 감상의 전문성을 높인 것으로, 시각장애인의 미술 감상방식 지평을 넓혔다는 측면에서 장애학적 함의가 있다. Today, the study of how to appreciate art for the visual impaired has important social implications for achieving everyone s social participation. In a society where images lead to information, the cultural life that anyone can enjoy is becoming inaccessible to the visual impaired. so the role of researching this and coming up with a plan has become important. Appreciating images is not only functional, passing through cornea and lens and forming on the retina. Image is to understand the mutual commitment system based on culture. The law of symbols used by people and the way they interpret and share the meaning of symbols can be a way of appreciating art. Based on these points, this paper used semiotics to approach art appreciation in terms of linguistic aspects of images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images. The program, which was conducted by applying this methodology, laid the foundation for verbal interac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who mainly used language to appreciate works, thereby enhancing the quality of art appreciation and expertise in appreciation. As a result, this paper has disability studie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expanded the way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ppreciate art.

      • KCI등재

        감정이입적 그림책읽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서연 ( Seo Yeon Jeong ),이보람 ( Bo Ram Lee ),홍혜경 ( Haekyung H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감정이입적 그림책읽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마음이론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위치한 H와 I사립 어린이집 만5세 두 학급 총 40명의 유아를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은 감정이입적 그림책읽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상적인 그림책읽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주 2회씩 총 8주간 진행하였으며, 실험처치 후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감정이입적 그림책읽기 활동이 유아의 전체 정서지능과 하위영역인 자기인식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이입적 그림책읽기 활동이 유아의 전체 마음이론과 하위영역인 내용교체, 위치이동, 이차틀린믿음 과제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감정이입적 그림책읽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마음이론 발달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icture book reading using an empathic approach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ory of min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from separate classes of two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Gwangju.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picture book reading using an empathic approach,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given traditional picture book reading. The study consisted of the preliminary study, pretest, eight-week treatment, and posttest. A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empathic picture book reading on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have improved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The experimental group also rank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ison group in all sub-scales (young children’s self-awareness ability, self-control ability, others-awareness ability, and others-control abilit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have improved theory of mind. This effect was shown through an unexpected contents task, an unexpected location task, and a second false-belief task.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icture book reading using an empathic approach can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ory of mind.

      • KCI등재

        유엔아동권리협약을 중심으로 본 유아 참여권 개념 해석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현 방안

        정서연(Jeong, Seo-Ye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참여권 개념 및 핵심 내용을 탐색하고 유아참여권 실현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엔아동권리협약 및 유엔아동권리협약 일반논평 12호, 유아 참여권 관련 선행연구 및 단행본,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등을 수집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참여권 개념은 공통적으로 유엔아동권리협약 제12조 제1항 의사표현권의 의미를 포함하며 핵심 내용은 유아 의사표현으로 유아가 의사를 표현하는 부분과 유아의 의사가 비중 있게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이 모두 포함된다. 유아 의사표현의 내용에는 요구, 견해, 거부, 사회적 표현이 포함될 수 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참여권은 적극적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참여권은 유아를 미성숙한 존재로 보는 성인의 관점과 권위적 간섭주의로 인해 적극적으로 실현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를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존재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또한, 유아 의사가 모두 수용되는 것만이 유아 참여권 실현은 아니며 교사가 유아의 의사에 귀 기울이고 수용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이 유아 참여권 실현의 시작임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를 능력 있는 존재로 보는 교사의 관점, 교사의 심리적 부담감 감소, 교사 역량 향상, 부모의 적극적 조력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ldren"s rights to participation of concept and cont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apply the this concep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the data analysis, it has collected UN Convention on the right of children, General comment No.12, study on children’s rights to participation, National curriculum and so 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hildren’s rights to particip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ommonly includes the meaning of the right to express opinions under Article 12(1)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to child. Children can express their opinions in verbal and nonverbal ways, which must be heard and realized by the other person. The contents of children’s expressions include demands, views, rejection and social expressions. Second, children’s right to particip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all be actively realized. children’s right to particip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ay not be actively realized due to adult’s view of children as immature and paternalis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iew children as capable beings to express their opinio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eptance of all children’s opinion is not the only realization of children’s right to participation, and that the teacher’s efforts to listen to and accept the children’s will are the beginning of the realization of children’s right to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eacher’s perspectives on children as capable beings, teachers’ psychological burden reduction, teacher’s capacity improvement, and active parental support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