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굴 패각 가루와 함초 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한 갓김치의 품질특성과 저장성
정복미,정선진,김은실,Jung, Bok-Mi,Jung, Sun-Jin,Kim, Eun-Sil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0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0 No.2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gat kimchi added with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were investigated during a storage time of 80 days at $5^{\circ}C$. After storage for 80 days, the average calcium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kimchi containing the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than the control. In addition, the average hardness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S4 group(oyster shell powder at 4%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at 2%) than the control group, as well as the OS10 group(oyster shell powder at 10%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at 2%) during storage for 80 days. The hunter b value of the OS4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During fermentation, gat kimchi containing the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had a higher pH and a lower acidity value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sensory evalu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calcium-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fter 40 days of storage, the OS4 group showed a lower total viable count, as well as lower lactic acid bacteria, yeast and E. coli,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OS10 groups. Based on the microbial load, the gat kimchi containing the oyster shell powder showed limitations in terms of shelf life.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천년초 줄기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및 최적화
정복미,김다솔,주나미,Jung, Bok-Mi,Kim, Dah-Sol,Joo, Nami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Opuntia humifusa powder and determine the optimal composite recipe by three different amounts of Opuntia humifusa powder, sugar and butter in cookies prepared with Opuntia humifusa powder. In regard to its antioxidant effects, Opuntia humifusa powder had a total phenolic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6.64{\pm}0.54mg/g$ and $90.12{\pm}0.42%$, respectivel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to obtain sixteen experimental points(including three replicates for Opuntia humifusa powder, sugar and butter) and Opuntia humifusa cookie formulation was optimized using rheology.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produced very significant values for color (p<0.05), flavor (p<0.05), texture (p<0.05), sweetness (p<0.05), appearance (p<0.05), overall quality (p<0.05), and the results of instrument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values in sweetness (p<0.001), hardness (p<0.001), lightness (p<0.001), redness (p<0.001), yellowness (p<0.01). As a results, the optimum formulations obtained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ere found to be 3.11 g of Opuntia humifusa powder, 35.00 g of sugar and 50.54 g of butter.
전남 여수 여천지역을 중심으로 한 농촌주부들의 전통 일상식의 기호도 조사
정복미,임상선,김은실 ( Bok Mi Jung,Sang Sun Lim,Eun Sil Kim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997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3 No.2
The housewives living in the rural area of Chunnam, Yosu were asked by using the questionaires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 habits.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s: 43.1% of the respondents were 50 to 59 years old, 38.1% of them had primary school education and 57.5% of them lived with husbands and children. 40.6% of them had 3∼4 family members. 30% of them earned 5 to 8 million won yearly; 99% of them liked boiled rice, especially plain boiled rice (63.1%) and mixed boiled rice (36.9%). The most liked food was Doenjangkuk (59.4%), Doenjangchigae (61.9%), Kimgui (30.1%), Pugochim (15.6%), Hobakchon (26.2%), Kongjaban (25.6%), Kongnamul (50.6%), Raw fish (23.7%); and They enjoyed Shirudock (16.9%) and Sickhae (60.6%) as dessert.
정복미(Bok Mi Jung),정규화(Gyu Hwa Chung),신태선(Tai Sun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는 참조기를 이용하여 조미액을 달리하여 4가지 건포류를 제조한 후 영양성분, 과산화물가, 대장균군수 및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건포류의 일반성분에서 수분은 다른 제품에 비해 녹차액을 사용한 B제품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조미 건포류의 단백질함량은 39~45%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지방함량은 녹차액이 함유된 B제품이 가장 낮았으며, 매운 조미료를 이용한 D제품에서 지방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탄수화물 함량은 23~31%로 나타났으며, 매운맛을 내는 D제품의 탄수화물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분 함량은 특히 매운 조미료를 사용한 D제품에서 다른 제품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건포류의 구성 아미노산 중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glutamic acid이었으며, 다음으로 aspartic acid, glycine, lysine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산의 구성에서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50~51%범위로 거의 제품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monoenes의 비율은 로즈마리액을 처리한 제품의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polyenes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로즈마리액을 처리한 제품이 높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가 가장 낮은 제품은 로즈마리액을 첨가한 C제품이었으며, 매운맛을 내는 D제품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대장균군수는 모든 제품에서 모두 음성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평가결과 맛, 색의 경우 모든 제품이 쥐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냄새의 경우 매운맛을 내는 D제품은 쥐포와 차이가 없었으나, A, B, C제품은 모두 쥐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좋아함에서는 모든 제품이 쥐포와 차이가 없었다. To utilize the small redlip croaker, four kinds of seasoned fillet were produced. The nutrient composition, peroxide value and coliforms count of the products were determined,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he seasonings consisted of the formula for commercial dried file fish added with water (A, control), green tea extract (B), rosemary extract (C) and soypaste with red pepper (D). The crude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the products were in the range of 39~45% and 23~31%, respectively. The lipid content of product B was the lowest, while that of product D was the highest among the tested products. All products showed similar amino acid profiles with a high content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and lysine. The saturates in fatty acid composition were similar (50~51%) among the products. However, the polyenes were higher (17%) in product C than products A, B and D (13%). The peroxide value of product C was the lowest among the product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te and color among the products.
전남 여수시에 거주하는 일부 주부들의 식단작성의 관심도와 식품 구매에 관한 조사 연구
정복미(Bok-Mi Jung),안창범(Chang-Bum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는 식단작성에 관한 관심도와 식품구매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남 여수시에 거주하는 일부 주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식단작성의 유무, 식단작성의 필요성, 식품 구매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주부들의 연령은 40~49세가 39%로 가장 많았고, 조사 대상 주부들의 44.5%가 직장에 다녔으며, 학력은 고졸이 53%로 가장 높았다. 가정의 월수입은 100만원~200만원이하가 50.1%로 가장 많았으며, 가족구성은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비율이 75.6%로 가장 높았고, 가족 수는 3~4명이 57%로 가장 높고, 주거형태는 아파트가 67.1%, 주택의 소유형태는 자가가 69.9%로 가장 높았다. 학력이 높을수록 식단 작성 및 필요성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001), 식품 구매 시 충동구매보다 미리 생각하여 구매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직장이 없는 주부들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식품구매장소는 재래시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재래시장에서 구입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마트, 아파트 상가, 슈퍼 순이었다(p<0.0001). 주거형태에서 아파트 거주 주부들은 마트를, 주택 거주 주부들은 재래시장을 선호하였다. 식품 구매 시 우선 고려하는 요인은 재료의 신선도, 다음으로 가격, 영양, 맛 순이었다. 식품구매는 2~3일에 1번 보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구매시 대부분 유효기간 및 성분을 확인한다고 답하였다. 그러므로 여수지역 주부들의 식단작성에 대한 관심도는 연령이 낮을수록 높다고 볼 수 있으며, 구매는 주로 재래시장에서 미리 생각하여 재료의 신선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구매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로 볼 때 연령이 높은 주부들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통하여 식단작성의 중요성을 알리고, 직장을 가진 주부들은 계획구매를 실천하도록 유도하여 식단작성과 계획구매가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인식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terest in menu and food purchase of housewives living in Yosu, Chonnam. The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meal planning and food purchase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00. The maj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orties was 39%, having a job was 44.5%, a high school education was 53.0%, and 1~2 million won in monthly household income was 50.1%. A couple with children was 75% and a 3~4 headed family was 57%. An apartment resident was 67% and one’s own house was 67%.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was,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menu preparation and necessity was significantly (p<0.0001). On grocery purchase, the percent of planned purchase was higher than that of impulse purchase, which was higher in housewives without a job. The subject’s favorite place for grocery purchase was a traditional market. The higher the age of subjects and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of subjects were, the higher the grocery purchase at a traditional market was. However, the younger subjects and subjects with higher education level preferred to purchase groceries in a mart, stores in an apartment, and supermarkets in order (p<0.0001).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during purchasing grocery were freshness of materials, price, nutrient, and taste in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older person for importance of planning menu and encourage housewives with a job to plan grocery purchase to provide nutritionally adequate meals at reasonable coast.
일반과 자색 건조 돼지감자의 식품 성분 및 항산화 활성
정복미(Bok-Mi Jung),신태선(Tai-Sun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8
본 연구는 일반과 자색 건조 돼지감자의 일반성분, 무기질함량, 유리아미노산 함량, 색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돼지감자의 일반성분은 품종과 관계없이 탄수화물, 조단백, 회분, 수분 함량 순으로 높았으며, 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돼지감자의 품종과 관계없이 가장 높은 무기질은 칼륨이었고, 다음으로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시료가 자색시료보다 높은 무기질은 칼슘, 마그네슘, 철분, 아연이었고 자색이 일반보다 높은 것은 칼륨, 나트륨, 구리, 망간으로 나타났으나 품종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돼지감자에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품종과 관계없이 arginine이었고, 다음으로 asparagine, aspartic acid, γ-amino-n-buty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시료보다 자색시료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난 아미노산은 cystine, leucine, tyrosine이었고, 일반시료가 자색시료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난 아미노산은 phosphoethanolamine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L, a, b 모두 일반시료보다 자색시료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항산화 활성에서는 방법론 중 ABTS assay를 제외하고는 모든 활성에서 자색시료가 일반시료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일부 FRAP와 ORAC assay의 경우 추출물의 낮은 농도에서는 일반시료와 자색시료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색시료의 경우 높은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od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ried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with white and purple colors. For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dried Jerusalem artichoke, regardless of color, carbohydrate content was highest, followed by crude protein, ash, and moisture contents, and breed-specific differences were not detected. The highest mineral content of dried Jerusalem artichoke was potassium, followed by calcium, magnesium, sodium, and iron. The major minerals of white color sample were calcium, magnesium, and zinc, whereas those of the purple color sample were potassium, sodium, copper, and manganes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amples were detected. The main amino acid of dried Jerusalem artichoke was arginine, regardless of color, followed by asparagine, aspartic acid, and γ-amino-n-butyric acid in order. Cysteine, leucine, and tyrosine were significantly (P<0.05) more abundant in the purple color sample than in the white color sample. In contrast, phosphoethanolamin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white color sample than in the purple color sample.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r in the purple color sample than in the white color sample for all activities except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ssay methodology.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s at low concentrations of extracts found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amples, although the purple sample at high concentration showed relatively high antioxidant activities.
도시 직장인들의 생활습관 및 건강관리 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 5대도시(부산, 여수, 창원, 진주, 인천)를 중심으로 -
정복미(Bok-Mi Jung),임상선(Sang-Sun Lim),김은실(Eun-Sil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도시 직장인들의 생활습관과 건강관리를 파악하기 위하여 5대 도시(부산, 여수, 창원, 진주, 인천)의 직장에 근무하는 20~60세의 남녀 직장인 965명을 대상으로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건강 및 생활습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신의 건강상태 평가에서 ‘좋다’는 43%, ‘보통’은 52%, ‘나쁘다’는 4.1%로 답하였다. 대체로 남성이 여성보다 건강상태가 ‘좋다’고 답하였다(p<0.01). 평소에 좋지 않은 부위 또는 질병상태는 조사대상자들의 42%가 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답하였으며, 다음으로 간, 비만, 신경질환 순이었다. 위 질환은 남녀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며, 간, 폐 질환과 당뇨병은 여성에 비해 남성이 높았고, 비만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았다(p<0.001). 지역별, 연령별, 직업별 모두 위 질환이 많았으며, 다음으로 간 질환이었다(p<0.01). 아침운동은 ‘항상 한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10%, ‘가끔 한다’는 26%, ‘전혀 하지 않는다’가 63%로 나타났다. ‘항상 한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이었고, 창원에서는 가장 낮았다. ‘전혀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여수이며, 가장 낮은 비율은 창원이었다(p<0.001). 남성이 여성에 비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있었으며(p<0.001). 41~50세에서 아침운동을 ‘항상 한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21~30세에는 ‘전혀 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높았다(p<0.001). 운동의 종류는 산책이 33%, 조깅이 25%, 체조 14%, 골프 6.4%, 줄넘기, 테니스 순으로 나타났다. 줄넘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운동비율은 남성들에서 높았으며(p<0.001), 41~50세에서는 산책이, 21~40세에서는 조깅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수면시간조사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시간은 5~8시간이었다. 5대 도시 직장인들이 정기적으로 가장 많이 복용하는 약은 비타민제, 다음으로 보약, 소화제 순이었다. 직장 남성들은 여성에 비해 보약을 더 많이먹었으며,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변비 약을 정기적으로 복용하였다(p<0.001).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가장 좋은 건강관리방법은 ‘규칙적인 생활을 한다’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운동, 소식, 보약 순이었다. 규칙적인 생활이 가장 높게 나타난 지역은 부산이었고, 그 외 지역은 운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p<0.0001). 남성들은 운동을 건강관리의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답하였고, 여성들은 규칙적인 생활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답하였다(p<0.001). ‘흡연을 한다’는 41%, ‘하지 않는다’는 59%로 답하였고, 진주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흡연을 하지 않는 비율이 더 높았다(p<0.001). 남성은 여성에 비해 흡연율이 높았으며(p<0.001), 20대는 약간 낮았으나 30대 이후에는 흡연비율은 약간 높게 나타났다(p<0.001). 직업별로는 회사원, 공무원, 전문직은 비 흡연율이 높았으며, 자영업, 생산직, 영업직, 서비스직에서는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알코올 섭취조사에서 술을 ‘마신다’고 답한 사람은 대상자의 78%, ‘마시지 않는다’는 22%였으며, 남성은 조사대상자의 85%, 여성은 67%가 술을 마신다고 답하였다(p<0.001). 21~30세에서 술을 가장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마시는 술의 종류로는 소주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맥주, 위스키 순이었다. 소주를 가장 많이 마시는 지역은 진주, 맥주를 가장 많이 마시는 지역은 부산이었으나, 모든 지역에서 소주와 맥주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p<0.01). 남성들은 여성에 비해 소주를,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맥주를 즐겨 마셨으며(p<0.001), 21~30세에서는 소주보다 맥주를, 31~50세에서는 맥주보다 소주를 더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본 연구 결과 도시 직장인들은 건강은 보통이상으로 답하였으나, 위 및 간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하는 비율이 낮았으며, 음주비율이 높으므로 도시직장인들을 대상으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활습관을 고쳐 건강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health management and life habits of the urban salaried worker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There were more men than women who thought their health good (p<0.01). Stomach disease was the highest in the subjects, and the second was liver disease (p<0.001). Of respondents, 10% always exercised in the morning, 26% often, and 63% never. Men took exercise more regularly than women (p<0.001). The kinds of exercises were walk (33%), jogging (25%), physical training (14%), golf (6.4%), rope jumping, and tennis. Men ate healthy drug more than woman. Most of men thought that sports were the best for health management. Women considered that having regular habits was the best for control of her health. The smoking rate of respondents was 41%, and the rate in Chinju showed higher than the other area (p<0.001). Man smokers were more than women (p<0.001). Drinking rate of respondents was 78%. Men enjoyed soju, while women liked beer (p<0.001)
옥수수가루, 탈지 콩가루 및 오징어를 이용한 스낵제품의 물리화학적 특성연구
정복미(Bok-Mi Jung),김은실(Eun-Sil Kim),이기춘(Khee-Choon Rh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2
오징어와 탈지 콩가루, 옥수수가루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 제품을 제조하여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일반성분은 오징어와 탈지 콩가루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제품의 팽화율, 전단력, 밀도를 측정한 결과 팽화율은 오징어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팽화율의 감소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데 비해, 탈지 콩가루의 첨가수준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제품의 전단력은 오징어 5%와 탈지 콩가루 0%를 혼합했을 때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것은 오징어 7%이면서 탈지 콩가루 10%로 혼합한 제품이었다. 압출성형 제품의 밀도는 오징어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탈지 콩가루의 수준별로 나타난 밀도는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밀도는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 측정에서 오징어 첨가수준과 탈지 콩가루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낮아졌다. 적색도는 오징어와 탈지 콩가루 첨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황색도는 오징어와 탈지 콩가루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여 적색도와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제품의 관능평가에서 외관, 향, 질감, 전반적 인지도에서 오징어 0%, 3%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오징어 함유수준이 높을수록 점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ates combining 4 levels of squid (0, 3, 5 and 7%) with 3 levels of defatted soy flour (0, 5, and 10%). Blends were adjusted to moisture content of 27% and then extruded in a single-screw laboratory extruder at 170 rpm screw speed and 160℃ barrel temperature. The extruded materials were dried at 60℃ for 8 hr to a moisture content of 3~4% and refrigerated at 4℃ for 12 hour before examination for textural properties, expansion ratio, bulk density, shear force and Hunter color. Expansion ratio of extrudates decreased as squid content increased whereas bulk density and shear force increased. Expansion ratio of extrudat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fatted soyflour level. Bulk density of products decreased as defatted soyflour content increased but shear force of products increased as defatted soyflour content increased. In scores of sensory hedonic evaluation of snacks, appearance, flav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values had lowered as squid level increased. Therefore, according to materials contents on extrudates increased, nutritional contents of this products increased and also shear force and bulk density in physical properties increased whereas expansion ratio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