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냉성 균주 유래 재조합 티로시나아제 효소, tyrosinase-CNK의 반응 안정성 연구

        최유래(Yoo Rae Choi),도현수(Hyunsu Do),정다원(Dawon Jeong),박준태(Junetae Park),최유성(Yoo Seong Choi) 한국청정기술학회 2016 청정기술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저온 및 약산성 조건에서 높은 활성을 보이는 티로시나아제인 tyrosinase-CNK의 반응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Tyrosinase-CNK는 지금까지 알려진 중온성(mesophilic) 및 호열성(thermophilic) 환경 유래의 티로시나아제 보다는 열 안정성이 낮았으나 0 ℃에서 효소 안정성이 매우 뛰어났고, 반복적인 동결-해동(freeze-thaw) 과정에서도 효소 활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였다. 또한, 물과 ethanol 및 acetonitrile이 혼합된 유기용매 환경에서 초기 상대 활성 값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유기용매 농도의 증가로 인한 추가적인 활성 저하를 유발하지 않고 활성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한편, 효소 반응의 염(salt)에 대한 저해는 chaotropic 특성이 많이 나타나는 염일수록 적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tyrosinase-CNK는 통상의 티로시나아제를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원하지 않는 반응을 억제하고 효소 불활성화를 최소화면서 반응을 촉매할 것으로 기대된다. Tyrosinases catalyze the hydroxylation of a monophenol (monophenolase activity) and the conversion of an o-diphenol to o-quinone (diphenolase activity), which are mainly involved in the modification of tyrosine residues into 3,4-dihydroxyphenyl-alanine (DOPA) and DOPA/DOPAquinone-derived intermolecular cross-linking. Previously, we obtained a slightly acidic and cold-active tyrosinase, tyrosinase-CNK, by our recombinant protein approach. The enzyme showed optimal activity at pH 6.0 and 20 ℃ with an abnormally high monophenolase/diphenolase activity ratio and still had approximately 50% activity compared with the highest activity even in ice water. Here, we investigated reaction stability of the recombinant tyrosinase-CNK as a psychrophilic enzyme. The enzyme showed remarkable thermal stability at 0 ℃ and the activity was well conserved in repeated freeze-thaw cycles. Although water-miscible organic solvent as reaction media caused the activity decrease of tyrosinase-CNK as expected, the enzyme activity was not additionally decreased with increased concentration in organic solvents such as ethanol and acetonitrile. Also, the enzyme showed high salt tolerance in chaotropic salts. It was remarkably considered that 2+ metal ions might inhibit the incorporation of Cu<SUP>2+</SUP> into the active site. We expect tha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design tyrosinase-mediated enzymatic reaction at low temperature for the production of catechols through minimizing unwanted self-oxidation and enzyme inactivation.

      • KCI등재

        명월초, 여주 및 울금을 포함한 돼지감자 복합물의 항산화 및 AMPK 활성화를 통한 항당뇨 활성

        이수(Soo-Jung Lee),호문사(Wen-Si Hu),표재호(Jae-Ho Pyo),류지현(Ji Hyeon Ryu),다원(Dawon Kang),보영(Bo-Young Jeong),성낙주(Nak-Ju Sung)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1

        명월초, 여주 및 울금의 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돼지감자 농축액에 이들 식물류의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5종의 돼지감자 복합물(JA1~5)에서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비교하였다. 명월초, 여주 및 울금의 에탄올 추출물은 물 추출물에 비해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많았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법에 의한 환원력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의존적이었으며, 특히 명월초와 울금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의 2,000 μg/ml 농도에서 50% 이상이었다. 5종의 복합물은 돼지감자 농축액에 비해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많았다. 또한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도 복합물에서 모두 증가되었으며, 특히 JA1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돼지감자 복합물은 인체 정상 간세포주인 Chang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이 없었으며, Chang세포에서 AMPK 활성화 및 근육세포인 C2C12세포에서 세포 내 당 유입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로써 명월초, 여주 및 울금의 추출물이 혼합된 돼지감자 복합물은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증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of the three following herbs: G. procumbens, M. charantia, and C. longa.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five types of Jerusalem artichoke composites (JA1–5), which were prepared by adding ethanol extracts of several herbs to Jerusalem artichoke concentrate, were studied and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water extract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depended on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 procumbens and C. longa were comparable. Moreover,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s (2,000 μg/ml) from each herb was found to be over 50%. In contrast, the five types of JA composites showed higher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than those of JA concentrate. In addition, increased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observed, with that of JA1 being the highest. However, all concentrations (1~100 μg/ml) of JA tested did not affect the cell viability of Chang cells. In addition, JA induced the activ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in Chang cell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lucose uptake in C2C12 cells.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JA composites (JA1–5) mixed with G. procumbens, M. charantia, and C. longa extract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extracts’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