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온라인 한글 필기 인식 알고리즘 개발

        정다빈 ( Dabin Jeong ),이강은 ( Kang Eun Lee ),정민진 ( Min Jin Jeong ),문창진 ( Changjin Moon ),김성석 ( Sungsuk Kim ),김재현 ( Jaehyun Kim ),양순옥 ( Sun Ok Y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본 논문은 기계학습 기반 온라인 한글 필기 인식 시스템의 첫 구현 결과를 담고 있다. 한글의 글자는 최소한 하나의 모음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모음은 대개 직선으로 필기한다는 사전 지식을 활용하여 인식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필기하면 획 데이터를 획득하여 중성에 해당하는 모음을 찾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에서는, 우선 필기한 글자를 포함하는 사각형 R과 각 획을 둘러싸는 사각형 SR을 생성한 후, 직선을 판별하고, 이 직선들이 모음을 구성하는 후보군을 찾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직 초기 연구이므로, 다양한 경우에 대한 분석이나 실험 결과는 없지만, 이를 활용하여 온라인 필기 인식 모델에 적용하여 인식 성능을 높이기 위한 추후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 영역 분석

        정다빈(Jung, Dabin),정은숙(Jeong, Eun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3rd and 4th grade English textbooks considering the goal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various world cultures.’ With the processes of examining previous studies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and developing analyzing criteria, ten English textbooks (five of the 3rd grade and five of the 4th grade) were analyz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cultural types, 2) cultural backgrounds, and 3)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procedu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cultural types revealed that behavioral culture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followed by material and spiritual culture. Second, the analysis of cultural backgrounds showed that non-English culture w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background, followed by English and Korean culture respectively. Also, rather than presenting a single cultural background, the majority of cultural sections presented more than two cultural backgrounds. Third, in the analysis of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eachers’ presentations and explanations of cultural aspects were the most occurring activities with students’ practicing of communicative functions and key expressions. However, there were few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explore and experience culture directly or indirectly. In addition, in terms of procedures, the study found that in comparison to Moran’s Experiential Learning Cycle, Knowing How, Knowing Why, and Knowing Oneself phases were not adequately incorporated into culture activities, whereas Knowing About phase was quite well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some suggestions for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in English classe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세계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라는 초등 영어 교육의 목표를 고려, 초등 3, 4학년 영어 교과서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분석 범위 및 기준 마련 등의 절차를 통해, 총 10권의 초등 영어 교과서(3학년 5권, 4학년 5권)를 1) 문화 유형, 2) 문화 배경, 3) 문화 교수·학습 활동 및 절차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문화 유형과 관련하여 행동 문화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물질 문화, 정신 문화 순으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문화 배경과 관련하여서는 비영어권 문화가 가장 빈번하게 제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영어권 문화, 한국 문화가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하나의 단일 문화를 제시하는 경우보다는 2개 이상의 문화 배경을 함께 제시한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셋째, 문화 교수·학습 활동 측면에서는 교사의 제시나 설명과 함께 학생의 핵심 의사소통 표현 및 기능 연습이 주를 이루었다. 반면, 학생들이 문화에 대해 스스로 탐색하고 경험할 수 있는 활동들은 거의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지도 절차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Moran의 경험 학습 중심 지도 절차와 비교했을 때, Knowing About 단계는 잘 드러나 있으나, 그 외 Knowing How, Knowing Why, Knowing Oneself 단계는 지도 절차에 거의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영어 문화 교육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 KCI등재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의 읽기 자료에 나타난 문화 연계 실태 및 문화 내용 분석

        정은숙(Jeong, Eunsook),정다빈(Jung, Dabin)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20 초등영어교육 Vol.26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nections between reading materials and culture, and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English textbooks. For this, 150 pieces of reading material in 10 English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ree aspects: 1) whether the reading materials are connected with culture, 2) if so, how strongly the reading materials are tied to culture, 3) what cultural contents (topics, types, backgrounds) are suggested in the reading materials. The content analysis of the reading materials found that 66% (99 out of 150) of the reading materials were tied to culture with different degrees (weak, medium, strong). Specifically, 47.4% of the 99 reading materials turned out to have a weak connection with culture, whereas 23.2% had a medium connection and 29.2% had a strong connection. In addition, in terms of cultural contents suggested in the reading materials, topics about the daily lives of people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were commonly dealt with in 78.1% of the reading material. For cultural types, material culture accounted for 45.8% of the reading materials, followed by spiritual and behavioral culture. Lastly, for cultural backgrounds, English culture was presented the most, followed by non-English and Korean culture. Based on the finding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한글 온라인 필기 인식을 위한 전처리 모듈 개발

        정민진 ( Min Jin Jeong ),정다빈 ( Dabin Jeong ),이강은 ( Kang Eun Lee ),김성석 ( Sungsuk Kim ),양순옥 ( Sun Ok Y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본 논문은 개발하고자 하는 기계학습 기반 한글 필기 인식 시스템의 첫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즉, 기계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용 및 테스트용 필기 데이터가 아주 많이 필요하므로, 이를 수집하고 전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한글의 한 글자는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생성되는데, 실제 만 개 이상의 글자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글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대신, 수집한 글자 데이터로부터 초성, 중성, 종성을 구분하여 최종적으로 자음, 모음 데이터로 저장하고자 한다. 아직 초기 연구이므로, 다양한 경우에 대한 분석이나 실험 결과는 없지만, 이를 활용하여 온라인 필기 인식 모델에 적용하여 인식 성능을 높이기 위한 추후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과도기적 간병인 서비스에 대한 디자인 연구 - 이해관계자 중심의 접근 -

        김진형 ( Kim¸ Jin Hyoung ),조진실 ( Jo¸ Jinsil ),정다빈 ( Jeong¸ Dabin ),김현경 ( Kim¸ Hyoun K ),백준상 ( Baek¸ Joon Sang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9 No.6

        한국 사회의 고령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간병 서비스를 이용하는 인구가 늘고 있지만 현재의 간병 서비스는 환자와 간병인을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환자-간병인 사이의 이해 관계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온라인 매칭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온라인 매칭 서비스는 환자와 간병인의 상호 선택권을 보장함으로써 간병인을 중심으로 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디자인 콘셉트 평가, 본 연구의 온라인 매칭 서비스는 환자와 보호자, 간병인 간의 상호 존중감 향상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추후 개선 과제로 간병인 정보에 대한 신뢰성 확보와 애플리케이션 사용 편리성 증대가 언급되었다. 본 연구는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힌 사회문제를 다루는 디자인 문제 해결적 사례로써 고령 환자 간병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불편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While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n Korean society is increasing rapidly, the current nursing service has failed to satisfy all stakeholders, including patients, guardians and caregiver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patient-care online matching servic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Online matching services meet the needs of stakeholders centered on caregivers by ensuring mutual options for patients and caregivers. The assessment of the design concept through stakeholder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online matching service contributed to create a culture of mutual respect among patients, guardians, caregivers and nurses. However noted that the reliability of caregiver information should be ensured and the ease of use of the application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n alternative to highlighting institutional blind spots and improving the inconvenience of stakeholders surrounding nursing care for elderly patients as a design case dealing with social issues with complex interests of caregiving system.

      • KCI등재

        3.0T MR system에서 TOF-MRA의 유체속도와 신호소실의 정량분석 : 유속조절팬텀 이용

        백상훈(Sang-Hoon Back),정진헌(Jin-Heon Jeong),이예은(Ye-Eun Lee),곽민영(Min-Young Gwak),윤준(Jun Yoon),정다빈(Dabin Jung),오현식(Hyun-Sik Oh),허영철(Yeong-Cheol Heo) 한국방사선학회 2020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의 목적은 TOF-MRA에서 유체속도의 변화와 신호소실의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체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팬텀을 자체 제작하여 유체속도를 8.0 ~ 127.3 mc/s까지 총 16단계로 변화시켰다. 3.0T MRI장치를 이용하여 TOF-MRA검사를 하였고 신호소실의 길이와 영상을 유입부, 중간부, 유출부로 분류하여 각 신호강도를 측정하였다. 신호소실의 길이는 유체속도가 127.3 cm/s였을 때 가장 길게 측정되었고 신호강도는 유체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p<0.05). 유입부(-.547)와 중간부(-.643)는 유체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음의 상관성이 있었다(p<0.05). 결론적으로 유체속도의 증가는 TOF-MRA에서 신호소실을 야기하는 주요한 인자였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혈류속도가 빠른 모델에서 신호소실을 줄이는 시퀀스 및 파라메터를 연구할 때 본 연구가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correlate the change of flow velocity and signal voiding in TOF-MRA. We made our phantom to control the flow velocity, and changed the flow velocity in 16 steps from 8.0 to 127.3 mc/s. The TOF-MRA test was performed using a 3.0T MRI system and the signal intensity was measured by classifying the signal voiding length and image into the In flow, Mid flow, and Out flow. The length of signal voiding was the longest when the flow velocity was 127.3 cm/s and the signal intens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flow velocity(p<0.05). In flow(-.547) and Mid flow(-.643)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flow velocitys(p<0.05).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in flow velocity was a major factor causing signal voiding in TOF-MRA.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when studying sequences and parameters to reduce signal voiding in models with a high flow velocity.

      • Hadoop을 이용한 대용량 데이터 변환

        이강은 ( Kang Eun Lee ),정민진 ( Min Jin Jeong ),정다빈 ( Dabin Jeong ),김성석 ( Sungsuk Kim ),양순옥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Hadoop은 대용량 데이터의 분산 처리 응용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이다. 이는 마스터 노드와 데이터 노드간에 Map-Reduce 과정을 거쳐 분산 처리를 지원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을 위해 생성한 3D 모델을 프린터가 인식할 수 있는 G-code로 변환하는 작업을 Hadoop에서 수행하였다. 3D 모델은 대개 2차원 개체(페이셋)를 이용하여 표면을 표현하는데, 이 개체를 높이(Z 축)에 따라 슬라이싱한 후각 레이어별로 G-code를 생성하여야 한다. 우선 5대의 컴퓨터에 Hadoop 클러스터를 설치한 후, 대상 3D 모델에 다양한 속성값을 변경하면서 변환작업을 진행하여 Hadoop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