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일조선인, 일본의 지역사회를 살다 – 해방 후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의 정주와 생활을 중심으로

        정계향 한국구술사학회 2017 구술사연구 Vol.8 No.2

        오늘날 재일조선인의 역사는 100년을 넘어서고 있다. 1970년대부터는 고국으로의 귀환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사실을 받아들인 재일조선인 2세를 중심으로, 정주국인 일본에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해 본격적인 고민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고민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의 정 주과정과 생활세계 분석을 통해, 재일조선인이 지역의 일본인 혹은 지역사회와 어떤 관계를 맺어 왔는지 그 변화의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가 ‘재일조선인’이 가지고 있는 디아스포라적 특징, 특수성에 관심을 기울였다면, 여기에서는 지역주민으 로서의 재일조선인의 존재 양상에 주목했다. 해방 후 다카라즈카는 지역재건과정에서 시정촌 합병을 통해 ‘시’를 탄생시켰고, 도시계획의 수립과 실행 속에서 도시화가 진전 되면서 주택도시, 관광도시로 발전했다. 외부로부터 유입된 새로운 인구는 전통적 지역 질서에 변화를 가져왔고, 자치회 역시 그 역할이 점차 축소되었다. 다카라즈카 재일조 선인은 식민지기에 진행된 각종 지역공사에 종사하며 이주를 시작했다. 해방 후에도 상당수가 일본에 계속 정주하면서, 조련지부와 민단지부 등 재일조선인 조직을 만들고 민족학교를 설립했다. 다카라즈카에서 일하고, 학교를 다니고, 자치회에 가입하는 등 다카라즈카의 주민으로서의 일상을 보냈다. 한편으로 생활 속에서 민족차별을 경험하 고, 재일조선인 조직 및 민족학교를 통해 민족공동체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등 민족 집단으로서의 일상도 존재하고 있었다. 최근 다카라즈카 지역사회의 배타성이 점차 약 화되고, 재일조선인 조직 역시 기능이 축소되면서 다카라즈카에서는 조선인과 일본인 사이에 새로운 관계가 만들어지고 있다. 또 일부 재일조선인은 다카라즈카 지역발전에 기여해온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새롭게 발굴하며 ‘자기서사’를 만들어가고 있다. The histor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has been over one hundred year. Once these residents had to accept the reality that repatriation to their homeland was extremely difficult since 1970, they began to seriously consider how to sustain themselves in Japan. And such a suffering has continued on to this da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ettlement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their lifestyle. It intends to find out how these South Koreans have coped with their reality and maintained relationship with their local community in Japan through their former life in Korea. Whereas prior researches were interested in the uniqueness of the Korean resident in Japa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resence aspect of ‘Zainichi(在日)’ as local natives in Japan society. After World War II, ‘Takaratuka(宝塚)’ has developed into a ‘city’ through the Housing Master Plans as part of the local reconstruction process. Through planning and execution, the city has developed as a dormitory suburb and a tourist attraction. The newly introduced inhabitants from the neighbor land who were disjointed from ‘cou(講)’ organization of local rural village had their roles altered in the local community. A self-governing body neighborhood of workers in the local construction site w and has been consistently passed on the next generation. They made their own ‘the Korean Residents Association in Japan(民團)’ and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總聯),’ and founded their own national school which they have managed decently since Korea liberation. As local citizens, the ‘Zainichi second generation’ reveals their way of thinking. As they remember the home country of their parents, they don't have as much affection and sense of belonging to ‘Takaratuka.’ But in recent days, there are newly developing connections and communications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in ‘Takaratuka,’ because of weakened exclusiveness, and reduced role of ‘Zainichi’ as an organization, and less interest in their home country.

      • KCI등재

        수몰이주민의 ‘이주’ 경험과 그 대응 : 대곡댐 수몰지구를 중심으로

        정계향 한국구술사학회 2013 구술사연구 Vol.4 No.1

        산업화가 본격화되면서 한국의 많은 마을들이 개발이라는 미명하에 사라졌고, 사람들 은 원래 살던 고향을 떠나 새로운 곳으로 이주했다. 사라진 마을 위에는 공장이 세워지 고, 아파트가 들어서고, 공항과 댐이 건설되었다. 물리적으로 사라진 공간은 시간이 지나 면서 점차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도 희미해졌고, 결국 역사에서도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 다. 이런 현상은 비단 1960년대, 70년대에 국한되지 않는다. 최근에도 많은 마을들이 여 러 이유로 사라지고 있다. 이 연구는 대곡댐 건설과 함께 수몰지구로 지정된 두동면의 양 수정, 상삼정, 하삼정, 방리, 구석골의 수몰지구 이주민들의 이주 경험과 그들의 대응에 관한 것이다. 해당 지역 주민들의 구술인터뷰를 바탕으로 이주가 각 개인에게 어떠한 경 험이었고, 기존의 공동체가 어떻게 지속되고 변화하는지를 분석했다. 특히 구술사 연구방 법을 활용함으로써 개발의 논리 속에 소외되고 희생된 사람들이 자기 이야기를 할 수 있 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 전형적인 농촌 공동체를 유지하면서 살아가던 대곡댐 수몰지구 주민들에게 이주는 대단히 고통스러운 것이었다. 주민들은 농지의 상실에 따른 생활기반의 파괴와 공동체의 붕괴에 따른 사회적·심리적 불안감을 경험해야 했다. 이러한 이주 상황에 대해 지역 주민들은 이웃들이 공동으로 이주 장소를 선택하거나, 다른 이웃의 뒤를 따라 이주하는 등 기존의 공동 체를 일정부분 유지하는 형식으로 대응했다. 이주 후에도 이주 전의 계모임이나 향우회 활동을 지속했고, 그 과정에서 망향정이나 대곡 박물관 등은 새로운 물리적 구심점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고향은 물속에 잠겼지만, 이웃들과 함께 했던 기억을 가지고 있고, 이주 과정에서 소규모 공동체를 유지함으로써 이주민들은 고향을 잃은 상실감을 견딜 수 있었다. 이것은 이주라는 상황에 대응해 주민 들이 취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방어기제였다. 대곡댐 수몰지구 이주민들의 이주경험과 그 대응을 통해, 한국사회가 극심한 산업화의 와중에서도 공동체를 계속 유지할 수 있었던 계기가 무엇인지 그 일면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Industrialization has launched, many villages in South Korea has gone into the logic of the development. In front of the national task logic, many people left their original hometown and emigrated to new places. Above the disappeared town, factories were opened, buildings stood, airport and Dam were constructed. Physically disappeared space over time, fade from people’s memories gradually and was also completely disappeared into history in the end. This phenomenon is not confined to the 1960’s, 70’s. Recently, many towns have been gone for a number of reasons. This study relates to the migrant experience and their response about circumstance of the migrant from submerged districts,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Daekok Dam, designated as submerged districts such as Yangsujung, Sangsamjung, Hasamjung, Bangri, Kusuckgol at Dudong-Myun. In particular, based on the oral interviews of local residents comment on any experiences which actually affects the each personals and how community has maintained was analyzed in this paper. In the meantime, with the logic of development the marginalized and victimized people can do to make their own story. While the villagers retaining a typical rural community has had a very painful process. Due to the loss of agricultural land destruction of life-bases and the collapse of the community followed by their social and psychological anxiety. The local resident responded by migrating along the neighbours to choose the migrating place or migrating later to the neighbours’s. Smaller scale than ever before shrunk but has been maintained in the smaller form of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community, The meeting has lasted such as the activities of Hyang-Woo-Hui(鄕友會) and Kye(契)-Meeting. In the process, Mang-Hyang-Jung or the Dae-kok Museum took the role of a new physical and focal point. Though their hometown got to under the water, Settlers were able to coax the fragrance for the home through the memories along with neighbours and maintenance of the small community. Although the community is much smaller than before the migration and more collapsed with differentiated forms, but it is in response to the collapse of a community as a minimum protection functioned. Through this features we will be able to explain some phenomenon that in the midst of excruciating industrialization Korea society lasted without the dissolution of communities.

      • KCI등재

        ‘강요된 휴면기’에 대한 재평가 - 일제 말기 조봉암의 인천 활동을 중심으로 -

        정계향 효원사학회 2022 역사와 세계 Vol.- No.61

        From the release of Sinuiju Prison in 1939, until liberation, Cho Bong-am lived in Incheon. This period is noteworthy in that it mediates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in the colonies and life as a real politician after liberation. For this period, there has been a critical assessment that it is a "Enforced Doldrums" and a period of lethargic burial in daily life. However, Cho Bong-am settled in Incheon, relying on his reputation built up by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a network of acquaintances living in Incheon. He ran the company under the supervision and pressure of the colonial authorities, and had a relationship of cooperation and tension with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While living in Incheon, he moved away from the communist movement, but he was worried about the problems of public life and experienced a human network that crossed nationalities and ideologies. Based on this experience, after liberation, he participated in political and social organizations in Incheon to respond to local issues and promote public movements. In this respect, Cho Bong-am's life in Incheon rule can be evaluated as a new political search period. 1939년 신의주형무소 출소 이후 해방이 될 무렵까지 조봉암이 인천에서 보냈던 시기는,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가의 활동과 해방 이후 현실정치가의 생활을 매개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기간에 대해서는 그동안 ‘강요된 휴면기’, 일상 속에 무기력하게 매몰된 시기라는 비판적 평가가 있었다. 그러나 조봉암은 독립운동으로 쌓은 자신의 명망성과 지인들의 네트워크에 기반해서 인천 지역 사회에 무사히 정착할 수 있었고, 식민 당국의 감시와 압박 속에서 타협과 갈등의 긴장 관계를 유지했다. 인천에서 생활하는 동안 조봉암은 공산주의 운동으로부터 유리되었지만, 생활인으로서 대중의 삶의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민족과 이념을 넘나드는 인적 네트워크를 경험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조봉암은 해방 이후 인천의 정치·사회 조직에 참여했고, 지역 현안에 대응하면서 대중 운동을 모색했다. 이는 진보당의 결성과정에도 일정 부분 반영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조봉암의 일제 말기 인천 활동은 강요된 휴면기가 아닌, 새로운 정치를 모색했던 시기라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1960년대 혁신계의 동향과 김성숙의 정치활동 - 1964년 혁명일기 분석을 중심으로

        정계향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4 한국학논총 Vol.61 No.-

        There were many studies of innovators during the Second Republic. This mainl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lines, conflicts, and causes of failure to enter the floor of the innovative par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July 29 general elections held after the April Revolution. This study focused on trends and differentiation of innovation systems in the mid-1960s. The main historical materials used were newspaper articles and memoirs of innovative people at that time, and diary of Kim Seong-sook in 1964. After the innovative party movement failed in 1961, the leaders were imprisoned amid the oppression of the Park Chung-hee regime. Those in society were also banned from all activities until 1963 under the Political Activity Purification Act. When these measures were completed in 1964, innovators began to prepare to establish a new party. However, the creation of a new party was in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factional conflicts, disagreements over the timing of the new party, and emotional confrontation among members. As a result, people within the innovation community joined the conservative opposition party to seek a new political breakthrough, and Kim Seong-sook is a representative figure. Through joining the New Democratic Party, Kim Seong-sook set the struggle against the government as a new goal of innovative politics rather than realizing the ideology of social democracy and tried to realize it.

      • KCI등재

        조선인 축살사건(蹴殺事件)과 식민지 지역 사회의 대응

        정계향 부경역사연구소 2022 지역과 역사 Vol.- No.50

        In 1927, a Japanese kicked and killed a Korean in Eonyang(彦陽). The formation of the structure of Japanese perpetrators and Korean victims caused great repercussions. In particular, the Japanese police, Japanese doctors, and Japanese newspapers seemed to have taken an attitude of defending the perpetrators, and seemed to have occurred due to colonial national discrimination. However, local problems such as underdeveloped medical care and lack of local media worked simultaneously. Eonyang was alienated from the development process because there were few Japanese migration and it was defined as Ulsan's 'outside area'. This incident visualized the issue of ethnic discrimination and regional discrimination, which were working in combination at different levels. With this opportunity, Koreans in Eonyang tried to secure the right to survive by creating issues and actively responding. 1927년 언양에서 발생한 조선인 축살사건은, 일본인 가해자와 조선인 피해자라는 구도 속에서 지역 사회의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일본인 경찰, 일본인 의사, 일본어 신문이 가해자인 일본인을 옹호하는 듯한 태도를 취하면서, 식민지 민족 차별로 인해 발생한 사건처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사건 확대의 배경에는 낙후된 의료 상황과 지역 언론의 부재 등 지역 문제가 동시에 작동했다. 언양은 일본인의 이주가 적었고, 울산의 ‘외곽지역’으로 규정되었기 때문에 개발과정에서 상대적 소외를 경험했다. 조선인 축살사건은 서로 다른 층위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던 민족차별과 지역차별 문제를 가시화했다. 이후 언양의 조선인들은 지역 사회의 현안을 도출하고, 문제적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스스로 생존권을 확보하고자 했다.

      • KCI등재

        일제시기 공간 질서의 재편과 지역주민의 대응 : 울산군을 중심으로

        정계향 부산경남사학회 2024 역사와 경계 Vol.128 No.-

        After reorganizing the local system since 1906, Japanese imperialism tried to dismantle the traditional local system of Joseon through two reorganizations in 1914 and 1917, and establish a colonial governance system to the end of the province. The area that was the space where Japanese policy was realized experienced several changes. The same was true of Ulsan. However, the changes experienced by Ulsan-eup and Byeongyeong, which existed as important regions by dividing Ulsan's administrative and military functions since the Joseon Dynasty, were very different. Ulsan-eup has established itself as 'Ulsan Headquarters' amid the Japanese migration and revision of the municipal administration. On the other hand, Byeongyeong took the path of reverse urbanization with the disappearance of its traditional role. At the Ulsan headquarters, the Japanese took control of commerce and improved social movements. Byeongyeong responded to the sense of alienation caused by the backwardness of local communities through a regional development movement and a resistance movement to colonial rule. In this way, the Japanese colonial rule reorganized the regional spatial order, but local residents newly established the regional status through various responses, creating a spatial order in the opposing sense.

      • KCI등재후보

        경계인(境界人)의 뿌리 찾기 : 다카라즈카(宝塚) 재일조선인 2세의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정계향 한국구술사학회 2016 구술사연구 Vol.7 No.1

        재일조선인에 대한 연구는 최근 소재도 다양해지고 있고, 연구의 외연도 점차 확장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정체성 연구는 민족공동체를 강조하던 것에서, 재일조선인의 정체성을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구술생애사가 정 체성 연구의 의미 있는 연구방법론으로 부각되고 있다. 재일조선인 자체가 사회적 소 수자로서 공식적 역사서술 외부에 존재하고 있고, 정체성은 공간이나 개인적 경험 등 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다카라즈카 지역의 재일조선인 2세들 의 정체성을 분석한 것이다. 1세들이 만들어놓은 공동체 울타리 안에서 성장한 2세들 은 일본학교에 진학하고 생활전선에 뛰어들면서 일본사회의 여러 민족적 차별을 경험 하고 이방인 대우를 받으면서 재일조선인으로서의 자신의 존재를 자각하기 시작했다. 1세를 통해 고국으로부터의 이산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도 일본에 정착해서 살아 야했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뿌리를 찾으려고 노력했다. 역사 교육을 통해 민족의식을 키웠으며 공동체 및 전통문화를 유지하려고 했다. 이 과정에서 재일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은 더욱 강화되었다.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재일조 선인 2세들은 어느 한곳에 소속되지 못한 경계인의 삶을 살면서 점차 고국과 일본이 라는 국가로부터 독립된 존재로서의 ‘재일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갔다. The studies on Korean residents in Japan recently have been diversified in terms of subject matters, expanding their scope of research. Researches on these people’s identity that used to emphasize national community are now attempting new interpretations. On top of that, the oral life history approach is emerging as a useful study methodology for identity research.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Korean residents in Japan are often marginalized in official historical narratives and that identity could differ by space or personal experiences. Corresponding to such a recent trend, this article analyzes the identity of the second-generation Korean residents in Takarazuka, Japan. The second-generation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were born and raised within a separate community developed by the first-generation—encountered ethnic discrimination when they began to attend Japanese schools. They were treated as foreigners and came to realize their identity as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y indirectly experienced separation from their home country through the first-generation but had to settle down in Japan. In doing so, they endeavored to find their roots. By means of history education, they have raised their national consciousness and tried to preserve their community and traditional culture. Their identity as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strengthened along the process. Due to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ir identity formation, the second-generation Korean residents in Japan led their life as border riders who could not belong to any nation, resulting in a d istinc t identity that is s eparated f rom both their home c ountry and Japan.

      • KCI등재

        민족학교의 운영과 재일조선인 공동체의 분할 — 효고현[兵庫県] 다카라즈카[宝塚]를 중심으로 —

        정계향 수선사학회 2019 史林 Vol.0 No.69

        After liberation from Japan's colony, in the region at Takarazuka the branch of Mindan[民團] has established Korean elementary school and a Chosun school founded by the Choren[朝連]'s branch [later Chongryon(總聯)'s branch] coexisted at the time. The two ethnic schools symbolize the confrontation of the Korean society in Japan. The basis of the confrontation was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ideological competition of the system of the two Koreas. However, it was more important to have different historical experiences and to form a separate network in the process of running their own ethnic schools. These unique historical experiences accumulated through these each Takarazuka Korean residents organization and their schools could not be shared each other between two different kind of members from the Mindan and the Chongryon branch. Members of Mindan and Chongryon branches, Korean communities in Japan had formed independent living communities, confronted and competed, and made the history of Korean resident in Takarazuka in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