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구축 태도, 부모교육 참여도 인식 및 자녀와의 대화 시간이 교사와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

        정계숙(Chung, Kai-Sook),노진형(Noh, Jin H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구축 태도와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 변인으로서 부모교육 참여도 인식과 자녀와의 대화시간이 어머니-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510명이 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MANOVA,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부모-교사 협력은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나, 각 하위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어머니-교사 협력의 하위 변인인 성인관계에서 차이가 나타났 다. 둘째, 어머니의 유아교육 공동체구축에 대한 태도, 자녀와의 대화시간, 부모교육 참여도 인식과 어머니-교사 협력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어머니-교사 협력의 하위 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유아교육공동체 구축 태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공동체 구축 태도 및 자녀와의 대화시간은 협력 총점과 하위 변인인 정보공유, 정보추구 및 성인관계 모두에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으나 부모 교육 참여도 인식은 협력 총점에만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교사 간 협력 증진 방안 모색을 위한 부모교육 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Current study aims to identify how maternal attitude toward establish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and conversation time with their young children affected on mother-teacher cooper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510 mothers of young children. The data were analysed in terms of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Cumulativ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overall score of mother-teacher coopera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mothers’ age but each individual sub-factors of the cooperation were not affected by the mother’s age. “Relationship of grown-ups,” one of sub-factors of mother-teacher coopera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mother’s educational level. Secondly, maternal attitude toward establishing early childhood community, conversation time with their young children,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have show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mother-teacher cooperation. Thirdly, maternal attitude toward establish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was the strongest factor to affect on sub-factors of mother- teacher cooperation. Both maternal attitude toward establish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and conversation time with their young children have demonstrated significant power in explaining total score and sub-factors of cooperation (e.g.  sharing information, seeking for information and relationship of grown-ups). On a while, mother’s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has shown significant power of explanation only in total score of mother-teacher cooperation. The research findings have implied the strategies of parent education which can promote mother-teacher cooperation.

      • KCI등재

        영유아 어머니의 자발적 소모임 참여 실태와 참여변인별 부모-교사 협력 차이

        정계숙(Chung, Kai-Sook),박지영(Park, Ji-Y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발적 소모임 참여 실태를 알아보고 참여변인에 따른 부모-교사 협력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어머니의 자발적 소모임 참여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 부모-교사 협력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에 거주하는 자발적 소모임 참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17명을 대상으로 소모임 참여 관련 질문과 부모-교사 협력 척도로 구성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모임 참여 실태와 부모-교사 협력 수준을 알아본 결과, 소모임 참여 어머니는 리더 및 운영진, 회원 및 구성원으로, 자기개발을 위해 참여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참여기간은 1년 미만과 1년 이상이 비슷한 비율을 보였으며, 모임주기는 주 1회 이상이, 모임시간은 회당 1시간~3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모임의 크기는 10명 미만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소모임 참여에 대한 만족도와 참여지지, 부모-교사 협력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참여 변인에 따른 부모-교사 협력 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임에서 리더 및 운영자의 역할을 하고, 모임에 대한 참여 지지가 높다고 인식하는 어머니가 그렇지 않은 어머니보다 부모-교사 협력 정도를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발적 소모임 참여의 기회는 공동체적 경험의 하나로 타인과의 만남을 통해 소통과 교류의 즐거움과 만족감을 증가시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의 협력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ifferences in partnership between a caregiver and mother in accordance with participation variables and participation in mothers with young children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small group in order to get foundational data for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a small groups and elevate partnership between a caregiver and mother. To attain this goal, this author administered a survey to 217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 Gyeong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small group participation, group characteristics, and partnership between a caregiver and mother, mothers participating in a small group are the leaders, operators, and also members, and most of them are participating in it to develop themselves. About their participation period, less than a year and more than a year indicate a similar ratio, and about the cycle of the groups, more than once a week is found the most frequently. The duration of the group gathering is mostly one to three hours, and about the group size, small groups including five to 10 members are found the most. Satisfaction with small group participation, support for participation, and partnership between a caregiver and mother are found to be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differences in partnership between a caregiver and mother in accordance with the variables, partnership between a caregiver and mother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to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roles in the group, the participation period, the duration of the group gathering, and also upper and lower groups in support for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in parent education and rol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교육공동체 인식이 교사와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

        정계숙(Chung, Kai-Sook),노진형(Noh, Jin H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교육공동체 인식이 교사와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5년 11월 P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4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거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MANOVA,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교사 협력의 하위요인들은 어머니와 자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학력, 월소득 및 재원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모 참 역량, 유아교육공동체 인식과 어머니-교사 협력 하위 요인 및 총점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학력, 월소득 및 기관 유형을 통제 하고 부모 참 역량과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이 어머니-교사 협력 하위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양육 역량은 정보 공유, 정보 추구, 성인관계 및 협력 총점에 유의한 설명변인이었으며, 사회적 역량은 성인관계 및 협력 총점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요인이었다. 그러나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은 어떤 교사와의 협력 요인에도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와 교사 간 협력 수준을 높이기 위한 부모교육의 방법 및 앞으로의 연구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and awareness of educational community on parent-teacher partnership amo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subjects consisted of 249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 to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MANOVA, Pearson-correlation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cluded that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sharing, information seeking and adult relation, sub factors of parent-teacher partnership according to maternal education, monthly income in household and the type of early childhood institutes. 2) The maternal sub factors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and awareness of educational community variab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teacher partnership. 3) The parenting competence factor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was variable influencing to the information sharing, information seeking and the adult relation sub factors and total of parent-teacher partnership positively. The social competence factor had significant impacts on adult relation and total of parent-teacher partnership. It didn’t find the influences of the maternal awareness of educational community variable including partnership awareness and shared core values factors on parent-teacher partnership when maternal education, monthly income in household and the type of early childhood institutes were controlled by. The paper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parent program and future researches for enhancing parent-teacher partnership.

      • KCI등재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의 관계

        정계숙(Chung, Kai-Sook),손환희(Son, Hwan-Hee),김지연(Kim, Ji-Ye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4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공동체 구현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시점에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교사-부모 협력과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총 607명을 대상으로 교사-부모 협력 척도와 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척도,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Baron과 Kenny(1986)의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부모 협력은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에 대한 영향 요인이며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교사-부모 협력과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증진을 위해 교사-부모 간 협력 강화와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향상이 중요함을 알게 해주었으며, 구성원 간의 따뜻하고 긍정적인 관계가 강조되는 교육공동체 구축을 지원하는 교사교육 및 유아교육기관 컨설팅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wareness of competence for building educational community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The subject were 607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rated the scales measuring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parent coopera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competence for building educational commun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s analysis of Baron and Kenny (1986) and Sobel test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parent cooperation was a influencing variable to competence for building education community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This study provid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kindergarten consulting programs to support the building of educational communities that emphasize the warm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노래극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정계숙(Chung Kai Sook),이정희(Lee Jung Hee),이은하(Lee Eun Ha),노진형(Roh Jin H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2

        동화를 활용한 노래극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았다. 대학 부속 어린이상담실에 또래관계 문제로 의뢰된 유아 3명의 발달적 요구와 1~4회기까지 관찰된 행동 및 어머니와의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유아별로 각 3개의 중재목표행동을 선정하였다. 동화듣기 및 토의하기 노래극 만들기와 노래극하기, 작업, 음률, 게임, 신체 활동 등의 동화를 활용한 노래극 중심의 통합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총 16주 동안 매회 1시간 20분씩 총 16회기에 걸쳐 중재교사 2인이 운영하였다. 연구 결과, 동화를 활용한 노래극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각 유아들의 상호작용 시도하기 및 반응하기, 문제 상황에서 자기 주장하기, 집단 활동에 참여하기 등의 중재목표행동은 대체로 바람직하게 변화되었다. 개인차와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social competence program based on singing fairy tale on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with social developmental difficulties. The subjects were three 5-6 year old children (2 boys and girl) referred to a university affiliated child counseling center. The target behaviors of children were to initiate and react to interactions with peers, assert themselves to peers 10 problem situations, and participate in group activities. The program activities focused on singing fairy tale and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to fairy tales, singing fairy tales, occupations, rhythmic movements, physical activities, and games etc.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0 minutes once a week over 16 weeks by 2 intervention teachers. The target behaviors were observed at every session by an event sampling and an anecdotal observation method. Children's emotional comprehension and regulation, and peer relations were rated pre- and post-program by their early childhood teachers. It concluded the program enhanced almost all behaviors of social competence.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교육공동체 인식과 교사

        정계숙(Chung, Kai-Sook),차지량(Cha, Jee-Ryang),이지연(Lee, Ji-youn),문지애(Mun, Ji-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육공동체 구현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시점에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유아교육공동체 인식과 교사-부모 간 협력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총 197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육공동체 인식 척도, 교사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 및 교사-부모 협력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상관분석 및 Baron과 Kenny(1986)의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유아교육공동체 인식,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및 교사-부모 협력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유아교육공동체 인식과 교사-부모 협력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부모 협력 증진을 위해 교사의 심리적 역량 향상과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이 중요함을 알게 해주었으며 교사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wareness of educational community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This research reflects the current statu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ctor because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community has been raised as a crucial matte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mong 198 nursery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using several rating scales: teacher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parent-teacher cooperation.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correla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multiple regressions (Baron & Kenny, 1986). Results demonstrated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variables. The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Findings also show a significant implication regarding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al courses. The promotion of cooperation with parents can be facilitated by teachers’ psychological compet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 KCI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기관의 조직문화, 교육공동체성 및 기관만족도가 구성원과의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계숙(Kai Sook Ch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기관 구성원과의 관계 만족도에 기관의 조직문화, 교육공동체성 및 기관 만족도가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3~5세반 교사 292명이었으며, 이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는 조직문화의 하위문화를 모두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기관의 각 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는 먼저 조직문화 요인들과 .13~.63, 교육공동체성 요인과는 .38~.69, 그리고 기관 만족도와는 .29~.55 범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 총점에 대한 조직문화, 교육공동체성 및 기관만족도의 설명력은 62%이며, 각 기관 구성원과의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독립변인들의 영향은 모두 달랐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사의 관계 만족도 증진을 위해 교사-부모와의 진정한 파트너십, 원장의 리더십 및 구성원 간에 기관 운영의 핵심가치 공유 증진 등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관계 만족도 증진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구성원 간의 관계가 강조되는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 구축에 일조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organization culture, educational communality and satisfactions of the institution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s" relational satisfactions with members like directors, young children, parents, and peer teachers. The subjects consisted of 292 teachers in charge of 3 to 5 year olds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endency to perceive perceived the characteristics of sub-organizational cultures like innovative, collective, hierarchical, and relational culture on their institutions above averag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relational satisfactions with members(r =.13~.63), between educational communality of the institution and relational satisfactions with members(r =.38~.69), and between satisfaction of the institution and relational satisfactions with members(r =.29~.55). Third, a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total explanation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character of educational community, and satisfaction of institutes on relational satisfactions with members was 62% and each independent variable exhibited different effects on the relational satisfaction with memb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authentic partner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leadership of directors, and sharing core values on operating the institu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in developing heart-warm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the emphasizes the relationship among its members by improving teachers" relational satisfac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우리성’ 인식 구조와 영향 요인 : 따뜻한 공동체 문화 형성의 기초

        정계숙(Kai-Sook, Chung),손환희(Hwan-Hee, Son),박희경(Hee-Kyung, Park)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이 ‘우리’로 한정된 집단에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특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구조적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과 고등학생43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청소년 우리성 인식과 학교생활 관련 정서 경험을 측정하기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t-test, 탐색적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plus7.1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우리성 인식 요인으로 따뜻한 돌봄 경험, 특별한 하나됨 인식 그리고공현존이 도출되었으며, 세 요인의 전체 우리성 인식에 대한 설명력은 63.2%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출된 청소년의 우리성 인식을 상·하 집단으로 분류하여 이에 따른 학교생활 관련 정서 경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우리성 인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학교 만족도, 교사와친구에게 정을 느끼는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오늘날 청소년에게 요구되는 윤리적인 정과 우리성 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건강한 관계문화와 학교 중심의 공동체 문화의 형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influential variab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Weness. Subjects were 432 middle school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m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Weness and school experiences.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luster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SPSS 23,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Mplus 7.1. First, warm caring experience, awareness in-the-same-group and co-presence were derived as the factors of youths’ perception of Wenes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 group and low group of Weness in the School life related emotional experiences of youths. Based on this finding, implication was given for building and realizing educational community.

      • KCI등재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Filial Therapy 과정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경험:

        정계숙(Chung, Kai-Sook),이은하(Lee, Eun-H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모자관계에 어려움을 가진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Filial Therapy 과정에서, 어머니들이 이야기나누기 시간에 공유한 경험이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전 과정 동안 어머니가 매회기 이야기나누기 시간에 치료사나 다른 어머니와 함께 나누었던 이야기 내용을 그 자리에서 모두 기록하고 회기 종료 후 바로 보완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의미는 크게 ‘자기 문제 풀어놓기: 가족과 생각 차이로 양육이 힘들어요’ , ‘자신의 놀이상호작용 행동 바라보기: 내가 아이와 제대로 못 놀았어요’, ‘변화를 향해 함 께 나아가기: 하나의 공동체가 되어 서로 돕고 배워요’로 범주화 되었다. 따라서 FT 과정 이야기나누기 시간은 어머니들에게 자기문제의 개방, 잘못된 놀이상호작용 행동의 깨달음과 나아가 서로에게 배우고 돕는 학습공동체 경험의 의미를 가지게 함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들에게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경험이 주는 의미를 바탕으로 이러한 의미를 가져오게 된 FT의 특징이 부모의 인식과 태도 변화를 도모하는 부모교육과 공동체 기반의 양육문제 해결 방안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by focusing on conversational experiences mothers experienced in the story discussion activities of Filial Therapy for mothers who had relational difficulties with their young children, aimed to understand what meanings the experiences had on mothers in the perspective of symbolic interactionism. All the conversations mothers had with the therapist or other mothers during the program were transcrib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was largely categorized into “talking about their struggles: I have a hard time because my child-rearing attitude is different than those of my family members,” “realizing wrong play interactive behaviors: I cannot believe I did that to my child,” and “being involved in a community: learning from and helping one another.” Thus, we were able to see that the story discussion activities of the FT program helped mothers with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speak about their problems, realize wrong play interactive behaviors, and experience a community where they could learn from and help one another. The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were discussed on basis of the meanings of symbolic interactive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