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아송회귀 모형을 활용한 생명보험 설계사들의 이직 요인 분석

        전희주,Chun, Heuiju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6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7 No.5

        본 연구는 생명보험사의 핵심 영업채널의 역할을 하고 있는 보험설계사들에 대한 설문을 바탕으로 보험설계사들의 이직횟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고자 한다. 반응변수 이직횟수는 계수자료 (count data)이기에 일반화선형모형의 하나인 포아송회귀모형을 통해 분석된다. 현 조직에서의 보험설계사 근무경력은 보험설계사의 이직횟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로 본 연구모형에서는 통제변수로 설정되었다. 포아송회귀모형 적합결과, 보험설계사 이직의 횟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현재 속한 회사 (대리점)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연령, 보험설계사로 입사하게 된 동기, 월평균 소득, 월평균 신계약건수, 최종학력 순으로 나타났다. 보험설계사가 현재의 속한 조직이 대형생보사이면 이직의 횟수가 가장 낮고, GA (general agent, 독립대리점) 소속이면 이직의 횟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연령은 적을수록 이직의 횟수는 증가하고 연령이 많을수록 이직의 횟수는 작아짐을 보여주었다. 보험설계사로 입사하게 된 동기는 친구, 친척, 가족 등 지인의 추천과 동료FP, 소장, 지점장 등의 권유이면 이직의 횟수는 작게 나타났고 단순한 경제적 수입의 니즈와 능력과 적성이 부합의 자발적인 경우는 오히려 이직의 횟수는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insurance solicitor's turnovers of life insurance companies based on questionnaire about them. Since the response variable which is the number of insurance solicitor's turnovers is count data, it is analyzed by Poisson regression which is one of generalized regression. When work year in current company, which is direct influential factor on the number of insurance solicitor's turnovers, is controlled, affiliated corporation has been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addition, age, motivation to work as financial planner, monthly income, a number of average new contract per month, and final education have been identified to be important factors. If insurance solicitor's occupant organization is large company, the number of turnovers becomes small, but if the organization is general agent(GA), it becomes larger. When insurance solicitor's age is high, the number of insurance solicitor's turnovers are reduced. If the motivation to become a financial planner is due to acquaintance such as family and relatives, the number of turnovers becomes small.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통계학회 논문집과 응용통계연구 공저자 네트워크 비교

        전희주,Chun, Heuiju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통계학회가 출판하는 2개 학술지 한국통계학논문집과 응용통계연구를 가지고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개별 연구자들의 공저자 네트워트 영향력 분석뿐만 아니라 두 학술지가 가지고 있는 공저자 네트워크 형태와 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는 데 있다. 그 결과, 공저자 네트워크의 형태를 나타내는 밀도, 포괄성, 상호연결성, 군집계수와 추이성은 거의 동일한 값을 보였으며, 응용통계연구가 한국통계학회논문집보다 노드의 수가 많은 이유로 평균연결정도, 평균거리, 직경은 더 높게 나타났다. 결국 한국통계학회논문집과 응용통계연구지 공저자 네트워크의 형태는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두 논문집의 이용자가 유사하거나 동일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두 학술지 공저자 네트워크의 중심성 변수들에 대한 비교는 통계적 유의수준 0.05에서 응용통계연구 공저자 네트워크가 한국통계학회논문집보다 근접중심성과 매개중심성 측면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용통계연구 공저자 네트워크가 한국통계학회논문집 공저자 네트워크보다 근접중심성이 더 높아 공저자들 간에 서로 정보가 더 빠르게 전달되고, 매개중심성 또한 더 높게 나타나 응용통계연구 공저자들이 한국통계학회논문집 공저자들보다 매개성이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not only network influence of individual coauthor but also the types and properties of two coauthor networks of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and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which are published by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As the result of two network structure comparison, density, inclusiveness, reciprocity and clustering coefficient which represent the type of coauthor networks show almost similar values and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has bigger values in average degree, average distance and diameter because it has more nodes than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Finally two journals have very similar type of coauthor network. In the comparison of network centrality of two coauthor networks,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of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are bigger than those of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0.05. The coauthor network of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has faster information delivery and stronger betweenness than that of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 KCI우수등재

        영과잉 음이항회귀 모형을 이용한 보험설계사들의 이직횟수 적합

        전희주,Chun, Heuiju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5

        본 연구는 계수자료 (count data)를 반응변수로 갖는 포아송회귀 모형, 음이항회귀 모형, 영과잉 포아송회귀 모형, 영과잉 음이항회귀 모형의 4 모형의 비교를 통해 보험 설계사들의 이직횟수 적합을 위한 최적모형을 찾고자 한다. 보험설계사 이직횟수의 분산이 평균보다 큰 과대산포가 존재하고 0인 경우의 비중이 높을 경우에 영과잉 음이항회귀 모형을 적합하는 것이 타당함을 보여주고 보험 설계사들의 이직횟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로그우도값, AIC, SBC 등을 고려하여 보험설계사 이직횟수 적합을 최적의 모형은 영과잉 이항모형과 음이항회귀모형의 결합인 영과잉 음이항 모형이 선택되었다. 영과잉 이항모형에 포함된 변수로는 성별, 총 보험설계사 근무연월, 교차모집 설계사 등록, 보유고객 수, 소속회사 유형이었고, 음이항회귀 모형에 포함된 변수로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채널경영만족, 총 보험설계사 근무연월, 현 직장에서 근무연월, 소속회사 유형이었다. 영과잉 음이항회귀 모형의 적합결과, 이직횟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현 직장에서 근무연월, 총 보험설계사 근무연월, 소속회사 유형, 채널경영만족, 직무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best model to fit the number of insurance solicitor's turnovers of life insurance companies using count data regression models such as poisson regression,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or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Out of the four models,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 has been selected based on AIC and SBC criteria, which is due to over-dispersion and high proportion of zero-counts. The significant factors to affect insurance solicitor's turnover found to be a work period in current company, a total work period as financial planner, an affiliated corporation, and channel management satisfaction. We also have found that as the job satisfaction or the channel management satisfaction gets lower as channel management satisfaction, the number of insurance solicitor's turnovers increases. In addition, the total work period as financial planner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insurance solicitor's turnovers, but the work period in current company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it.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한 이동통신 잠재고객 이탈에 대한 연구

        전희주,임병학,Chun, Heuiju,Leem, Byunghak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한 이동통신회사의 해지 고객 중심의 통화 네트워크 데이터를 가지고 고객들 간의 관계 구조를 나타내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일종인 자아 네트워크(Ego-Network) 분석을 통해 핵심 연결자 역할 및 중개 역할을 하는 이탈고객이 다른 고객의 이탈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객 이탈 예측 및 이탈방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지고객들 간 양방향 통화를 갖는 네트워크를 살펴본 결과, 해지고객들 간의 무더기 이탈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탈 그룹에는 그룹 이탈에 영향을 주는 이탈유발자가 존재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탈유발자의 특징은 그룹 내에서 많은 구성원들과 연결되어 있는 핵심 연결자 역할을 하면서, 정보전달의 매개자 역할을 동시에 해내는 고객이었다. 즉 긴밀한 네트워크일수록, 이탈유발자 비중이 높고, 이들 이탈유발자와의 관계에 의한 이탈현상은 이탈유발자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how churn customers (who play a central connector or broker role) affect other customers' churn in their call networks with ego-network analysis using call data of a mobile telecom company in Korea.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Reciprocal Network, we found a relationship of attrition among churn customers. Churn provokers who influence other customers' attrition exist in customer churn networks. The characteristics of churn provokers is that they play a central connector and broker role in their groups. The proportion of churn provokers increases and the churn provoker's influence increases because the network is a reciprocal one.

      • KCI등재

        주택연금 이용자들의 추천의향의 영향 요인 연구

        전희주(Heuiju Chu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3

        2007년도에 도입된 주택연금은 2020년 12월 81,206명으로 주택연금에 대한 인식은 확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 대비 노후소득 준비가 부족한 노인들에게 경제적 안정을 제공하여 그 중요성은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실시한 ‘2019년 주택연금 수요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기존 가입자들의 추천 의향이 어떠한지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주택연금 이용자의 대다수가 본 상품에 대한 추천의향이 높았으며, 추천의향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은 월 생활비의 충분여부, 소득의 형태, 보유자산, 거주지역, 주택연금 가입시 고려 요인, 자녀 수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주요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보유자산의 가치가 적어 노후소득의 충분성 및 안정성이 부족하고 자녀수가 많은 이용자 일수록 주택연금에 대한 추천의향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른 노후소득 대비 안정적이고 충분한 노후소득 확보가 가능한 주택연금의 장점을 인지한 이용자가 이를 지인에게 추천하려는 경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주택연금제도의 활성화 측면에서 노후소득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제도개선과 더불어 이용자 추천의향이 높게 나타난 저소득 고령층을 위한 주택연금 가입설계 및 상담기회 확대 등 세분화 된 마케팅전략 수립도 필요하다. 아울러 인터넷, SNS 등을 활용하여 고객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구전이 급속도로 노출되는 환경임을 감안하여 주택연금 이용자에 대한 세심한 관리 및 만족도를 향상시켜 주택연금 이미지 제고를 위해 꾸준히 노력할 필요가 있다. As the awareness and importance of reverse mortgage gradually increased due to the aging of life expectancy, et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2019 reverse mortgag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Housing Finance Corporation, we investigated how the existing subscribers are willing to recommend using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the majority of reverse mortgage users had a high intention to recommend this product, and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were sufficient monthly living expenses, types of income, assets held, residential areas, considered factors when joining a reverse mortgage, and number of children in ord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ain factors, subscribers who have not sufficiency and stability of old income due to low the value of possessed assets, and have many children tended to have the high intention to recommend for the reverse mortgage. It was shown that subscriber who are aware of the advantages of reverse mortgage that can secure stable and sufficient old income compared to other old income had tendency to recommend it to acquaintances. In terms of revitalization of the reverse mortgage syste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fined marketing strategy, such as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strengthening old-age income, design of a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 for low-income seniors with high intention to recommend reverse mortgage, and expansion of counseling opportunities.

      • 생체연령을 고려한 생존확률 산정에 관한 연구

        전희주 ( Heuiju Chun ),최경진 ( Kyung-jin Choi ) 한국연금학회 2020 연금연구 Vol.10 No.2

        건강검진 데이터 축적으로 개인별 생체연령 측정이 가능해지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활용하려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 코호트DB의 20세이상 남녀 188,895명을 대상으로 건강검진 주요변수를 적용한 로지스틱회귀모형을 이용하여 10년간 생존확률 및 개인별 생체연령을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연령이 젊고 여성 일수록 실제연령보다 생체연령이 더 높게 나타나, 건강상태에 따라 실제연령과 생체연령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대수의 법칙이 아닌 개인별 건강상태를 반영한 차등적 보험료율 및 연금인출액 산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금융기관의 리스크 관리 강화 및 고령자의 장수리스크 헤지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s the accumulation of health medical examination data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the biological age of each individual, the trend to utilize it has been increasing in various fields compared with chronological ag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iological age was estimated by using the individual mortality probability for 10 years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hich applied major health medical diagnosis variables to 188,895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20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hort DB from 2002 to 2013.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the younger the age and the higher the age of women, the higher the age of the living than the actual age, so gap of the actual chronological age and the biological 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health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lculation of differential insurance premiums and pension withdrawals that reflect individual health conditions, diverging from law of large number, is necessary, which can help strengthen the risk management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help hedge the aged's longevity risk.

      • KCI등재

        주택연금 가입자의 노후 대책 충분성에 대한 연구

        전희주(Heuiju Chu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4

        본 연구는 주택금융공사의 “2021년 주택연금 수요실태조사” 중 주택연금 이용자를 대상으로주택연금가입자들의 ‘현재까지 준비한 노후 대책의 충분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고자비례오즈로짓모형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주택연금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노령층의 노후소득의안정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주택연금 가입자들의 노후대책의 충분정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월평균수입의 충분정도였고, 두 번째는 노후생활을 위한 총 보유자산의 충분정도, 다음으로 주택연금에 대한 만족도, 거주지역, 월평균수입 순이었다. 주택연금가입자들의 노후대책의 충분정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본인들이 매월 받는 월평균수입의충분정도와 노후생활을 위한 보유자산의 충분정도로 당연히 경제적 요인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주택연금 가입자들의 인구통계적인 특성들은 지역을 제외하고는 ‘현재까지 준비한 노후 대책의충분정도’에 전혀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주택연금가입자들은 공통적으로 주택연금을 통해매월 월지급금을 받고 있어 월평균수입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가입노령인구의 장수리스크를 대비하기 위한 노후의 경제적 안정적 수단은 매월 지급되는 월수입 또는 연금이 가장적임임이 본 연구의 분석 결과로부터 명확히 도출되었다. This study uses a proportional odds logit model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ufficiency of old-age measures prepared so far' for reverse mortgage users among the Housing Finance Corporation's “2021 Housing Pension Demand Survey”. Utilized. Through this, we tried to find an alternative to stabilizing the old-age income of the elderly, targeting the reverse mortgage subscrib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sufficiency of reverse mortgage subscribers' retirement plans was the sufficiency of average monthly income, secondly the sufficiency of assets for living in their old age, thirdly satisfaction with reverse mortgage. And next, area of residence followed by average monthly incom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verse mortgage subscribers had no significant effect at all on the 'sufficiency of old-age measures prepared so far' except for the region. The reverse mortgage subscribers commonly receive monthly payments through a mortgage, so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monthly income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t was clearly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monthly income or pension paid each month is the most suitable means of economic stability in old age to prepare for the longevity risk of the reverse mortgage subscribers.

      • KCI등재

        신용정보에 따른 입원 및 수술 발생 상대위험도 적용방안 연구: 신용정보원 데이터 이용

        전희주 ( Chun Heuiju ),인태교 ( Leen Taekyo ),황용순 ( Hwang Yongsoon ) 한국보험학회 2023 保險學會誌 Vol.135 No.-

        본 연구는 신용정보원의 신용정보와 보험정보를 이용하여 기존에 개발된 보험상품의 건강상태에 따른 질병발생 상대위험도에 보험가입고객의 신용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보험계약의 유지자를 대상으로 독립적으로 개인별 신용상태(연체, 대출, 신용 등)에 영향을 받는 입원 및 수술 발생 등 2개의 통계적 예측모형을 개발하여 개별 집단의 평균 보험사고 발생률과 전체 집단의 보험사고 발생률의 차이로 정의되는 상대위험도를 계산하였다. 데이터 활용의 제한으로 인하여 기존의 건강상태에 따른 입원/수술 발생과 새롭게 산출하는 신용상태에 따른 입원/수술 발생이 독립이라는 조건하에, 신용정보에 따른 보험사고 발생 상대위험도를 건강상태에 따른 보험사고 발생 상대위험도에 곱함으로써 신용정보를 보험사고 상대위험도에 포함하고자 하였다. 보험사들은 독립적으로 신용상태에 따른 보험사고 발생 상대위험도와 건강상태에 따른 보험사고 발생 상대위험도를 보험상품 가격의 할인 등의 긍정적인 면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add the credit information of insurance customers to the relative risk of disease occurrence according to health status of previously developed insurance products using credit information and insurance information of credit information sources. We developed two statistical prediction models for the occurrence of hospitalization and surgery that are independently affected by individual credit status (delinquency, loan, credit, etc.) targeting the holder of the insurance contract, and calculated the average insurance accident incidence rate of the individual group and the insurance accident rate of the entire group relative risk,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incidence. Due to limitations in data utilization, the relative risk of insurance accidents according to credit information is calculated under the condition that hospitalization/surgery according to existing health conditions and hospitalization/surgery according to newly calculated credit status are independent. By multiplying the relative risk of occurrence, credit information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relative risk of insurance accidents. Insurance companies will be able to independently use the relative risk of an insured event according to credit status and the relative risk of an insured event according to health status as a positive aspect, such as discounting insurance product prices.

      • KCI등재

        생체연령을 고려한 퇴직연금 프로그램 인출방식에 관한 연구

        전희주 ( Heuiju Chun ),최경진 ( Kyung-jin Choi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021 리스크 管理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퇴직연금 인출단계 활성화 차원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 사망률 예측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모형, 연령대 별 대수적 평균사망률, 그리고 모수적 생존분석 모형을 적용하여 생체연령별 기대여명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인출률을 산정하였다. 프로그램인출률 산정결과 남성은 주민등록 상 연령대별 건강상태에 따른 프로그램인출률의 편차가 8.9~21.6%%p, 여성의 경우 6.2~17.5%p로 나타났다. 이처럼 동일연령이지만 건강상태에 따른 기대여명 및 프로그램인출률의 편차가 존재하며, 여성에 비해 기대여명이 짧은 남성의 프로그램인출률 수준 및 그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퇴직연금의 인출단계에서 성별, 개인별 건강상태를 고려한 합리적인 프로그램인출률 산정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생체연령을 이용하여 다양한 보험 및 금융상품의 개발도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diversify the retirement pension withdrawal stages, this study utilize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NHIS-NSC) data to predict individual mortality rate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apply algebraic average mortality rate by age group and parametric survival analysis model to derive life expectancy by biological age, and finally calculate the programmed withdrawal rate. As a result, the variation of the withdrawal rate according to the health status of men by resident registration based age group was 8.9 to 21.6%p, and 6.2 to 17.5%p for women. As such, there were variations in life expectancy and programmed withdrawal rates depending on health conditions even though they were of the same age. Also, the level and deviation of program withdrawal rate for men with shorter life expectancy compared to women were significant. Therefore, the study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a rational financial plan that considers gender and individual health status when calculating the programmed withdrawal rate at the stage of retirement pension withdrawl. In addition, it stresses the necessity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surance and financial products based on biological 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