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대 여성의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에 따른 체력, 혈중 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의 비교 분석

        전용성 ( Yong Seong Jeon ),김예영 ( Yae Young Kim ),이만균 ( Man Gyoon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2

        마른 비만(normal weight obesity)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정상으로서 외형상 체격이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근육량이 적고 체지방률이 높은 상태이다. 마른 비만은 운동 부족과 과도한 식이 제한에 기인하여 주로 20대 여성에게서 나타나며, 일반 비만 못지않게 여성의 건강을 위협하는 원인으로 부각되어 최근 외국에서는 마른 비만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지만,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마른 비만의 건강상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BMI와 체지방률에 따라 신체구성,체력, 혈중 지질,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대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BMI와 체지방률에 따라 정상 집단(n=25), 마른비만 집단(n=22), 그리고 일반비만 집단(n=13)의 세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각 집단 간에 신체구성, 체력, 혈중 지질,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체구성과 관련된 모든 변인에서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모든 변인에서 일반비만 집단, 마른비만 집단, 그리고 정상 집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는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다른 체력관련 변인에서는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혈중 지질과 관련된 모든 변인에서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TC,LDL-C, TC/HDL-C 비율, 그리고 LDL-C/HDL-C 비율의 경우 마른비만 집단의 수치가 정상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모든 변인에서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복 인슐린과 HOMA-IR에서 일반비만 집단, 마른비만 집단, 그리고 정상 집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20대 여성의 경우 일반 비만인은 물론 마른 비만인도 정상인에 비하여 혈중 지질과 인슐린 저항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마른 비만은 외형적으로 날씬해 보이기때문에 비만으로 판정되기 어렵고 건강상의 위험성이 없다고 인식되기 쉽지만, 이 연구를 통하여 고지혈증과 당뇨병의 위험이 정상 신체구성을 가진 자에 비하여 높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제시된 바, 이들에게 적합한 운동과 영양 섭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physical fitness, blood lipids, and insulin resistance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and percent body fat (%BF) in 20s females. Sixty women, aged 20-29 yr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s subjects. There were three groups, i.e., normal group (BMI < 24 kg·m-2 and %BF < 25%; n = 25), normal weight obese group (BMI < 24 kg·m-2 and 28% < %BF < 40%; n = 22), and obese group (BMI > 26 kg·m-2 and 30% < %BF < 40%; n = 13).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profiles, and surrogate indices of insulin resistance were measured and compared among three group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regarding body composition among three groups. All values were lowest in normal group and highest in obese group.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it-and-reach among three groups,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ther variables regarding physical fitness among three group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regarding blood lipids among three groups. In particular, total cholesterol (T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TC/HDL-C ratio, and LDL-C/HDL-C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ormal weight obese group than normal group.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regarding insulin resistance among three groups. Fasting plasma glucose and HOMA-IR were lowest in normal group and highest in obese group. It was concluded that there would be abnormal blood lipid profiles and insulin resistance in even normal weight obese individuals as well as general obese individuals in 20s females.

      • KCI등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이 노린재검정알벌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백채훈,강석민,전용,이건휘,최만영,오영진,박정규,황창연,Paik, Chae-Hoon,Kang, Seok-Min,Jeon, Yong-Kyun,Lee, Geon-Hwi,Choi, Man-Young,Oh, Young-Jin,Park, Chung-Gyoo,Hwang, Chang-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1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이 노린재검정알벌에 대하여 kairomone 으로서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노린재검정알벌의 기생률은 페로몬 트랩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의 위치가 0에서 15 m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였고, 노린재검정알벌의 유인거리는 약 15 m였다. 콩 포장조건에서 노린재검정알벌의 밀도는 8월 하순과 9월 상순에 최대 발생시기를 보였고, 페로몬 트랩 설치수를 $165\;m^2$ 당 1개에서 3개로 증가함에 따라 기생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약제처리구에서 기생률이 비교적 매우 낮았다. 노린재검정알벌의 포장밀도에 대한 성비조사에서 암컷이 더 많이 유인되었다. The kairomonal activity of the aggregation pheromones of Riptortus clavatus for the egg parasitoid, Gryon japonicum, were investigated in soybean field. The parasitism rate of G. japonicum gradually decreased when the distances between pheromone traps and egg sites were increased from 0 to 15 m. The active distance of pheromone source for parasitoid attraction was estimated to be ca. 15 m. Under field conditions, the parasitoid wasp population peaked during the late August and early September, and the parasitism rate increased when the number of pheromone traps was increased from one to three per $165\;m^2$. However, insecticide-treated plots, the level of parasitism recorded is relatively low. Sex ratios in field populations of G. japonicum were female-biased.

      • KCI등재

        분절형 복부 중공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 거더의 설계 및 실물크기 휨 실험 분석

        한만엽(Han Man Yop),최석환(Choi Sokhwan),전용식(Jeon Yong-Sik)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31 No.3A

        I형 PSC 거더에 새로운 설계 개념을 도입하여 낮은 형고의 장경간 거더를 설계하고, 실험을 통해서 적용성을 점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거더는 복부에 개구부를 도입한 분절형 중공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HWPC거더, Holed Web Prestressed Concrete girders)이다. 이 거더의 설계에는 세 가지 설계 개념이 종합적으로 적용되었다. 먼저 장경간의 거더를 공장에서 프리캐스트로 타설하여 양생을 마친 후에 현장으로 운반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현장에서 거더를 제작하는 경우보다 콘크리트의 품질 관리가 용이하게 하여 고강도 및 고성능 콘크리트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거더를 분절화하여 제작하여 국내의 도로 여건에서도 장경간 거더를 공장에서 현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이로써 현정에서의 작업 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두 번째로 거더의 복부에 원형의 개구부를 도입하여, 단부 정착장치의 반을 이 개구부 내에 이동하여 분산 배치하여, 분절 거더의 조립에 사용하였다. 개구부에 정착부를 분산 배치하면 단부에 설치되는 정착장치가 줄어들게 되므로 단부에 작용하는 응력이 줄어들게 된다. 아울러 자연스레 단부에 도입되는 휨모멘트는 줄어들고, 중앙부에 큰 휨모멘트가 도입되므로 외력으로 인한 휨모멘트 분포에 더 가까운 형상의 부모멘트를 거더에 도입할 수 있다. 거더에 개구부를 도입하면 거더 지중도 줄어든다. 그리고, 세째로 단부에 설치되는 정착구의 수가 줄기 때문에 단부에서는 다이아프램을 제거하고도 정착이 가능하다. 이렇게 거더의 전 단면에 걸쳐서 같은 폭의 복부폭을 사용하면 거더 제작을 자동화 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HWPC거더의 설계 기법을 검증하고, 다단계 긴장의 효과 및 실제교량에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실물 실험을 수행하였다. 길이 50 m, 높이 2 m인 거더 실험체를 분절형과 일체형으로 각각 l개씩 제작하여 휨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절형 거더와 일체형 거더는 처짐 및 균열생성 형성에서 근본적으로 유사하였다. 휨 강도, 처짐, 활하중 처짐제한 규정 등이 특정 설계기준을 만족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A new form of Ⅰ-type PSC bridge girder, which has hole in the web, is proposed in this paper. Three different concepts were combined and implemented in the design. First of all, a girder was precast at a manufacturing plant as divided pieces and assembled at the construction site using post-tensioning metho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at the site will be reduced dramatically. In this way, the quality of concrete can be assured at the manufacturing factory and concrete curing can be well controlled, and the spliced girder segments can be moved to the construction site without a transportation problem. Secondly, a numerous number of holes was made in the web of the girder. This reduces the self-weight of the girder. But more important thing related to the holes is that about half of the total anchorages can be moved from the girder ends into individual holes. The magnitude of negative moment developed at girder ends will be reduced. Also, since the longitudinal compressive stresses are reduced at ends, thick end diaphragm is not necessary. Thirdly, Prestressing force was introduced into the member through multiple stages. This concept of multi-stage prestressing method overcomes the prestressing force limit restrained by the allowable stresses at each loading stage, and maximizes the magnitude of applicable prestressing force. It makes the girder longer and shallower. Two 50 meter long full scale girders were fabricated and tested. One of them was non-spliced, or monolithic girder, made as one piece from the beginning, and the other one was assembled using post-tensioning method from five pieces of segments. It was found from the result that monolithic and spliced girder show similar load-deflection relationships and crack pattems. Girders satisfied specific girder design specification in flexural strength, deflection, and live load deflection control limit. Both spliced and monolithic holed web post-tensioned girders can be used to achieve span lengths of more than 50m with the girder height of 2 m.

      • KCI등재

        전남북지역 휴경논의 식생 및 곤충상

        백채훈,이건휘,강종국,전용,최만영,서홍렬,Paik, Chae-Hoon,Lee, Geon-Hwi,Kang, Jong-Gook,Jeon, Yong-Kyun,Choi, Man-Young,Seo, Hong-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3

        2004년에서 2005년까지 전 남북지역 휴경 논에 발생하는 식물, 해충 및 천적의 발생종류 및 발생정도를 조사하였다. 휴경 논에 발생하는 식물 종은 32과 124종, 해충은 30과 58종, 천적은 9과 11종 이었다. 식물 종은 벼과(Poaceae)와 국화과(Asteraceae)가 각각 28, 18종으로 발생량이 많았으며, 해충은 쌕새기, 애긴노린재, 시골가시허리노린재, 가시점둥글노린재, 끝동매미충, 애멸구 및 각다귀 1종의 발생량이 많았다. 휴경 논에 발생하는 해충 중 끝동매미충과 애멸구는 $5{\sim}6$월에 발생이 가장 적었고, 애멸구는 $8{\sim}9$월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천적곤충으로는 실잠자리류, 무당벌레, 꼬마남생이무당벌레, 꽃등에의 발생이 많았다.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plant flora, the occurrence of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in the fallow paddy fields of Jeonnam and Jeonbuk provinces from 2004 to 2005. They were identified as 124 plant species in 32 families, 58 insect pest species in 30 families and 11 natural enemy species in 9 families. Plant species belonging to Poaceae and Asteraceae were founded as 28 and 18 species, respectively, and dominated significantly among plants growing in the fallow paddy fields. In insect pests, Conocephalus chinensis, Nysius plebejus, Cletus punctiger, Eysarcoris aeneus, Nephotettix cincticeps, Laodelphax striatellus and Tipula sp. occurred significantly in the fallow paddy fields. Among them, occurrences of N. cincticeps and L. striatellus were low from May to June, and that of L. striatellus was high in August and September. In insect natural enemies, Coenagrion sp., Harmonia axyridis, Propylea japonica and Eristalis tenax occurred significantly in the fallow paddy field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