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에너지 복지정책 지지와 지지변화의 영향요인 분석: 에너지바우처 지원정책에서 정보유형의 효과를 중심으로

        전세혁 ( Jeon Sehyeok ),황주성 ( Hwang Joo Sung ),김서용 ( Kim Seoyong ) 한국행정학회 2023 韓國行政學報 Vol.57 No.1

        본 연구는 에너지 복지정책에 대한 지지와 지지에 대한 태도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에너지바우처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정보유형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복지정책 확대에 대한 일반적 거부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정부는 다양한 설득기제를 동원하며, 그 중에서 정보제공은 가장 핵심적인 수단이다. 본 연구에서 에너지바우처 제도와 관련해 제공되는 세 가지 정보유형(지원금액, 수혜대상, 감성정보)에 따라 정책에 대한 지지에서 태도변화 정도를 측정하고 결정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달되는 정보유형에 따라 태도변화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공되는 정보유형에서 감정자극정보> 수혜대상정보> 지원금액정보 순으로 태도변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일반적인 복지정책에 대한 지지와 자극정보가 주어진 이후 정책지지의 결정구조에 차이가 존재한다. 수신자 요인에서는 평등주의(+), 이기적 가치(-), 이타적 가치(+), 이익요소에서는 에너지 안보불안(+), 송신자 요인에서는 정부역할 선호(+)가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정부역할과 이타적 가치가 복지정책 지지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정보제공 전후를 볼 때 후기물질주의(+), 에너지 빈곤(+)과 에너지 정부신뢰(+)는 정보제공 전에서만, 변화개방성(+)은 정보제공 후에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복지정책지지의 변화량을 설명할 때는 정부역할 선호(+)가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지원금액 제공시에는 평등주의(+), 이타적 가치(+), 수혜대상정보 제공시에는 에너지안보불안(+), 에너지빈곤(+), 감정정보 제공시에는 에너지안보불안(+)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in support for and attitude toward energy welfare policies. To this end, the focus is on the role of information types related to energy voucher policies. The government mobilizes various persuasion mechanisms to address the general reluctance to expand welfare policies. Among them, information provision is the most important means.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information (support amount, beneficiaries, and emotional information) provided in relation to the energy voucher system are set. In addition, the degree of change in support and attitude for energy voucher policy was measured and the decision structure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attitude change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ransmitted.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terminant structure of support for general welfare policies between before and after stimulus information provided. Third, before and after information provision, post-materialism(+), energy poverty(+), and trust in government(+) are significant. And change openness(+) affects after information provision. Fourth, when explaining the amount of change in welfare policy support, the preference for government roles has a common effect on the support for energy voucher policy.

      • KCI등재후보

        재난구호물품 품목 개선에 관한 연구

        박천희,전세혁,김미리 경인행정학회 2017 한국정책연구 Vol.17 No.2

        우리나라의 지리·환경적 요인 특성상 자연 재난이 매년 발생하며, 사회적 재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재난에 대한 정부의 위기관리 능력에 국민들은 불신을 보이고 있으며, 보다 나은 수준의 정부의 역할과 대처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반복적인 재난 상황에서도 우리나라 정부의 위기관리 능력은 해외 선진사례를 통해 그 한계를 보인다. 첫째, 재난은 그 종류와 규모가 다양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구호물품도 조정되어야 하나, 이에 대한 정부의 노력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재난의 특징에 따른 구호물품의 제공 기준이 부재가 한계로 드러난다. 정부는 재난 유형별 특징을 고려하여 구호물품을 준비·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해외선진국의 재난구호물품 체계 및 품목에 대해 분석하고, 우리나라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재난을 중심으로, 각 상황 하에서 필요한 구호물품 기준을 구성하는 등 우리나라 구호체계에 의미 있는 개선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과학기술인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분석 - 박사학위 고급인력 분석을 통한 과학기술인력정책 미래전략의 탐색 -

        김미리,전세혁,김서용 한국정책학회 2023 韓國政策學會報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orkers with doctoral degrees. As the impor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ersonnel i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increased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policies to foster and train high-level science and technology personnel. Recently, it has been highlighted as a social problem due to the outflow of high-level science and technology workers from research institutes to universities and from Korea to oversea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doctoral-level advanced personnel working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For this purpose, factors affecting turnover were categorized into (1) wage and benefit factors, (2) conflict factors, (3) job factors, and (4) competence factors based on existing theorie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results of the full model,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20s and 30s) and overtime hours ha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hile job type (full-time) and the number of years since obtaining a doctorate had a negative effect. Among wages and benefits, only the career development system ha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mong conflict factors, sexism, unfairness, and generational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among job factors, job stress and job autonomy had a positive effect; and job fit had a negative effect. In terms of competency factors, research performance and work competence had a positive effec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directions for future S&T manpower policy are: first, securing the independence and resources of S&T manpower policy; second, establishing an innovative R&D culture and system; third, realizing a future-oriented policy focusing on S&T manpower management; fourth, active support for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to impro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limate; and fifth, operating a transparent personnel system at the institutional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박사학위를 가진 과학기술인력을 대상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과학기술발전에서 과학기술인력이 중요해짐에 따라 정부는 고급과학기술인력을 육성 및 양성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최근 사회적으로 고급과학기술인력들이 연구소에서 대학으로의 이직, 국내에서 해외로 유출되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소에 근무하는 박사급 고급인력의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 이론을 토대로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1) 임금 및 복리후생요소, (2) 갈등요소, (3) 직무요소, (4) 역량요소로 구분하였다. 전체모형의 회귀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요인은 연령(20-30대), 초과근무시간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일자리 유형(정규직), 박사학위 취득 후 경과 연수가 부(-)의 영향을 미쳤다. 임금 및 복리후생요소로는 경력개발제도만이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갈등요소로는 성차별, 불공정성, 세대갈등이 정(+)의 영향, 직무요소로서 직무스트레스, 직무자율성은 정(+)의 영향을, 직무적합성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역량요소로는 연구성과와 업무역량이 정(+)의 영향을 미쳤다. 분석결과를 통한 향후 과학기술인력정책의 방향은 첫째, 과학기술인력정책의 독립성 및 자원확보, 둘째, 자율성에 기반한 혁신적인 연구개발체계 확립, 셋째, 과학기술인력 관리에 초점을 맞춘 특화된 정책 실현, 넷째, 조직문화나 조직분위기 개선, 다섯째, 기관 차원에서의 투명한 인사제도 운영이다.

      • KCI등재

        조직혁신행동 영향요인 비교분석 : 조직문화 유형의 직접, 간접효과를 중심으로

        최윤희,전세혁,김서용 한국행정연구원 2024 韓國行政硏究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혁신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혁신행동에 대한 연구들이 단편적인 변수에 초점을 두어 다양한 변수들 간 비교분석이 부족하였다는 점, 조직관리의 핵심인 조직문화유형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조직혁신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영향요인을 동기요인, 역량요인, 공정성 요인, 업무특성요인, 조직지원요인, 조직문화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직접효과와 네 가지 조직문화유형(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의 조절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공무원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N=4,133)를 분석한 결과, 첫째 조직혁신행동을 유도하는데 있어 동기요인인 공공봉사동기와 성취동기, 역량요인인 업무수행역량과 전문성이 조직혁신행동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조직문화에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는 혁신행동에 正(+) 의 영향을, 위계지향문화는 負(-)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공공봉사동기 > 성취동기 > 전문성 > 업무수행역량 > 위계지향문화 > 역할모호성 > 업무자율성 > 절차공정성=혁신지향문화=관계지향문화순으로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네 개의 문화유형은 조절기능을 수행하는데, 낮은 혁신지향문화와 관계지향문화는 전문성, 높은 혁신지향 문화와 관계지향문화는 업무부하의 혁신행동 증가를 촉진한다. 낮은 과업지향문화는 성취동기, 높은 과업지향문화는 전문성, 업무부하의 혁신행동 증가를 촉진한다. 높은 위계지향문화가 분배공정성의 혁신행동 증가를 촉진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existing studies on innovation behavior have focused on few variables and lacked comparative analysis among various variables, and have not systematically analyzed the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which is the core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Based on the extensive literature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we classified the influencing factors into motivation, competence, fairness, leadership, work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ulture factors, and compared their direct effect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four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innovation- oriented cultur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task-oriented culture, and hierarchy- oriented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data collected from public employees (N=4,133), we found that, first, motivational factors such a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mpetency factors such as work performance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Seco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 has a negative effect. Third, the four culture types perform a moderating function, low innovation-oriented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promotes the impact of professionalism on innovation behavior. High innovation-orientated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increased innovation behavior in workload. A low task-oriented culture moderates the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while a high task-oriented culture does the impact of professionalism on innovation behavior. High hierarchy orientation moderates the impact of distributive justice on innovation behavior.

      • KCI등재

        재해구호물품의 최적수요량 연구

        박천희(Park Cheon hee),홍은영(Hong Eun young),전세혁(Jeon Se hyuk),김미리(Kim Mi ri),김서용(Kim Seo yong)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5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best technique for demand prediction about disaster relief goods. For the forecasting, we used the moving average method, average change method, weighted moving average,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and the trend projec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moving average method be the best one for forecasting the demand of disaster relief goods. By using the same technique, we predicted the quantity of disaster relief goods at the municipal level. We confirmed that the required amount is less than the actual amount. Since this study is the first test to predict the proper quantity of disaster relief, we expect that it will provide an implicatio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relief goods by local governments. 본 연구는 재해구호물품의 적정 수요예측에 관한 최적의 기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예측 기법은 이동평균법, 평균변화법, 가중이동법, 지수평활법, 추세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재해구호물품의 수요 예측은 이동평균법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당 기법을 활용하여 전국 자치단체의 적정 재해구호물품 수량을 예측한 결과 실제 보관량에 비해 적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재해구호물품의 적정수량을 예측하기 위한 첫 시도로써 효율적인 구호물품 관리방안에 대한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