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地域動向]臺灣의 정권 교체와 정치 위기

        전성흥(CHUN Sung-Heung)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0 신아세아 Vol.7 No.4

        This paper deals with the current regional situation in Taiwan and the achievements and problems arising from the transition from authoritarianism to democracy. Chen Shui-Bian's victory on March 18, 2000 to become Taiwan's president-elect, with 39 percent of the vote, has dramatically changed Taiwan's domestic political topology and ended fifty years of Kuomintang (KMT) rule on the island, placing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DPP, Minjindang) behind the wheel for the first time. It might be "the greatest victory of Taiwan's Democracy movement", as mentioned by Chen, but now Taiwan is facing the risk of political meltdown. First, since Chen's election, Taiwan's economy has fallen into a slump. The stock market has plunged by more than 40%, a slide that represents a vote of "no confidence" in the President's abilities. Chen's approval rating, meanwhile, has fallen to less than 40%, from a high of 80%. His Premier, Tang Fei, resigned after less than half a year in office. Moreover, the delicate relationship with Beijing, which threatened war if Chen was elected, has stalled without any sign of improvement, while fundamentalists in the pro-independence DPP are criticizing him for ambiguous attitudes toward the "one-China" issue. And no one can control Vice President, Annette Lu, who pokes China in the eye at every opportunity. Above all, Chen faces political crisis in the wake of a decision to cancel construction of the country's fourth nuclear power plant which has been a pet KMT project. The KMT, which is the majority party with 115 seats in the 221-seat legislature, made a coalition of opposition parties including the People First Party (Qinmindang) and the New party (Xindang) - both established by breakaway members of the former KMT, and sees the power-plant issue as the last straw in a six month long chapter of the new government's mismanagement. Opposition lawmakers have threatened to recall Chen because they think his government violated the constitution by unilaterally deciding to scrap a partially built nuclear plant. Chen delivered a conciliatory speech on national television in which he apologized to the people and KMT chairman Lien Chan, one of his chief rivals. Recently he has been trying to show a more compromising attitude toward the criticism from the opposition troika, but whether Chen can overcome all the challenges and consolidate Taiwan's democratization, is still uncertai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 저항 운동의 원인과 중앙 정부의 대응

        전성흥 ( Sung Heung Chu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0 東亞 硏究 Vol.- No.58

        최근 소수민족 지역에서 대규모 소요 사태가 빈번하고 있어 중국 사회의 대표적인 불안정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 이는 중국의 향후 정세 변화를 가늠하는 데 매우 긴요한 주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은 중국 내 소수민족들의 저항 및 분리주의 운동의 원인, 그리고 중앙 정부의 대응과 그 정책 효과를 다루고 있다. 특히 티베트와 신쟝을 중심으로 한 일부 소수민족의 저항 및 분리 운동은, 개혁 이후 관용정책의 역효과, 대외개방에 따른 민족의식의 자각, 국제사회의 개입, 상대적 박탈감 등 여러 가지 현실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중국 정부의 통제 전략을 강압, 시혜, 동화, 홍보 등 4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해 소수민족 문제 만으로 중국의 현 체제가 존폐 위기에 처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 전망했다. Recent resistances and separatist movements in Xinjiang and Tibet are one of main threats against the social stability of China. This article examines the causes of resistant activities by ethnic minorities in China and the policy of Chinese government toward them. Various kinds of disturbances are caus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negative effect of tolerance policy toward minorities implemented after reform, self- consciousness of ethnic identity stimulated by their contact with foreign visitors, the influence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intervention, and the feeling of relative deprivation resulted by economic gap between the Han and minorities. And Chinese government has put a major effort into restraining them through oppression, favor(dispensation), assimilation, and propaganda as the main strategy for control.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possibility of outbreak of crisis only by ethnic issues in China is not so high owing to some limitations.

      • KCI우수등재

        중국 정치체제 변화의 회고와 전망

        전성흥(Sung-Heung Chun) 한국정치학회 2002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4

        이 글은 지난 약 20여 년간에 걸쳐 추진되어온 중국의 개혁개방을 평가하는 취지에서 전반적인 정치체제의 변화 양상과 추세를 거시적으로 파악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국가의 정치체제개혁, 시민사회의 저항운동, 그리고 해외의 체제변화 압력 등 3가지 변화의 주요 영역과 요인을 중심으로 개혁 이후 중국의 정치변화를 개관하고 있다. 이는 현재 중국 정치에서 나타나는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 각기 상이한 영역에서 다양한 세력들이 기존 정치체제의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는 사실인바, 거시적 변화에 대한 ‘회고와 전망’을 위해서는 이런 포괄성과 다양성을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거시적 ‘개관’이 초래하는 추상성의 문제를 보완하는 동시에 최근의 현황과 추세를 특징적으로 잘 이해하기 위해 기층선거의 도입, 法輪功 문제, 天安門文件의 폭로 등 각 영역에서의 주요 현안에 대한 사례 분석을 병행하였다. 아울러 결론에서는 단기적 관점에서 중국 정치의 전환기적 변화 여부를 전망한다면, 무엇보다 지도부 내 균열이 주요 변수라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This article primarily intends to review major trends and recent developments in China's political system with an eye on an overall assessment of its reform and open-door policy. Built on three major issue-areas and variables such as state political system ("top-down") reforms, social resistance ("bottom-up") movements, and external pressure on system change, it offers a brief overview of China's political changes in the reform era. It argues that the most distinct aspects of contemporary Chinese politics are reflected in major issue-areas where diverse yet potent forces push for changes in the existing political system. In order to have an adequate evaluation on the retrospect on and prospect of such macro chang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ts comprehensiveness and diversity. To compensate for the potential pitfalls attending such a broad overview a host of recent developments-with the individual events representing each issue-area-including the grassroots election, the Falungong, and Tiananmen papers are discussed as well. At the concluding section it is argued that the issue of leadership unity remains the most critical variable affecting the prospect for change in Chinese politics in the short term.

      • KCI등재

        중국공산당 제19차 당 대회의 쟁점 분석 : 시진핑 권력 강화의 이론과 현실적 제약

        전성흥(CHUN Sung Heung)(全聖興)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1

        이 글은 중국 공산당 19차당대회의 핵심 쟁점인 시진핑의 권력강화 현상에 대한 분석이다. 흔히 이번 당대회를 통해 시진핑이 일인지배체제를 구축하게 되었다고 평가하는데, 본문은 이와 다른 시각으로서 시진핑 권력집중의 한계를 설명하고 있다. 시진핑이 전임 총서기와는 달리 18차 당대회 이후 여러 가지 측면에서 권력을 집중해온 사실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19차 당대회를 계기로 ‘시진핑 사상’이 당헌에 삽입되는 등 더욱 권력이 강화되었음에 대해서도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시진핑 사상이 지도이념화될 수 있는 근거인 ‘신시대’의 논리가 설득력이 부족하고, 시진핑 사상의 체계 자체가 권력 강화를 위한 인위적인 측면이 강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마오쩌둥이나 덩샤오핑과 같은 카리스마적 인물이 발휘하는 ‘권위형 권력’과 달리, 제도적으로 부여된 직책에서 비롯되는 ‘직위형 권력’이기 때문에, 직책과 무관한 절대 권력이 아니라 임기 내에 국한된 상대 권력이라고 평가했다. 그리고 집단지도체제를 견지해야 한다는 당내 공통된 인식을 부정하기 힘들고, 현재 집단지도체제가 작동되지 않는다는 결정적 사례를 찾기도 어렵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집단지도체제와 시진핑 권력집중이라는 이중적 현상이 병존하고 있는 과도기적 특징을 강조했다. 시진핑의 권력집중이 집단지도체제의 부작용인 ‘강력한 리더십 부재’라는 문제 해결을 위한 당내 집단적 필요성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마오 시기 중국정치의 폐단인 ‘과도한 권력집중’과 권력남용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향후 추세에 달려 있다고 전망했다. Despite the general belief that Xi established the “one-man rule system” at the 19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is study presents a different perspective, and explains limits on Xi’s consolidation of power. Xi has been consolidating power since the 18th Congress. That effort was evident in the 19th Party Congress, including inclusion of Xi’s ideology in the Party constitution. Nevertheless, a key concept -- the ‘New Era’ -- lacks a logic strong enough to allow Xi’s thoughts to serve as a leading ideology. The system of Xi’s thought is more of a means to consolidate power. Furthermore, contrary to the ‘authoritarian power’ exercised by charismatic figures such as Mao Zedong and Deng Xiaoping, Xi’s power is ‘positional.’ It is not absolute power that exists regardless of position; positional power is “relative” because it is limited by the term period. The party appears to favor maintenance of the system of collective leadership, and there is no indication that the present collective leadership is not operating. Therefore, the current system is characterized by the existence of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collective leadership and the consolidation of power by Xi coexist. This paper makes no conclusion about whether Xi’s consolidation of power is the result of the party’s collective need to resolve the problem of an ‘absence of a strong leadership’ as a side effect of the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or whether it signifies an ‘excessive power concentration,’ a negative effect of Chinese politics under Mao. If the latter turns out to be true, it can be a premonition of instability in Chinese politic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사회문화 분야 교류

        전성흥(全聖興,CHUN Sung Heung)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0 신아세아 Vol.17 No.2

        이 글은 한중 간 사회문화 교류의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문제점과 원인을 파악하는 한편, 관계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한중 간 교류가 양적 측면에서 비약적인 발전 추세에 있음을 인적 교류와 학술 ․문화 교류 두 분야로 나누어설명했다. 또한 양국 교류에 있어서 나타나는 변화의 특징으로서 기존의 정부 주도의 ‘단일관계’에서 이제는 정부 및 민간 주도의 ‘복수 관계’로 다원화되었음을 분석했다. 그러나 양국간에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일상적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 민간 차원의 교류가 활성화되었으나,상대에 대한 인식은 오히려 과거에 비해 크게 악화되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 원인으로서‘한중 간의 역전 현상’에 따른 비대칭성의 확대, 상호 인식상의 격차와 변화, 양국 젊은 세대들의 민족주의적 정서 등의 요인을 들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대안으로서 민 간 차원의 교류에 대한 ‘관리 기제’가 필요하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보는 자세를견지함으로써 상호 오해를 해소하고 이해를 증진해야 함을 제시했다. 아울러 언론의 계도적기능과 지식인의 교량 역할이 양국 관계의 질적 발전에 긴요함을 강조했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causes and problems in social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and seek guidelines to bolster the relations. First of all, this study explains volume of the bilateral exchange has been on the path of dramatic growth in terms of two categories: human resource, and academic and cultural exchange. This study also identifies characteristic changes in the bilateral exchange, which has shifted from a “single relation” driven by governments to “multiple relations” driven by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While growth of daily exchange made by anonymous public has promoted private exchange, perception toward the other nation has worsened. Prime culprits are the growing asymmetry occurred by “reversed dynamics between Korea and China,” difference and changes in perception toward each other, and nationalist sentiments of the young generations. Policy alternatives to address such issues are 1) to establish a “management scheme” on private exchange, and 2) to nurture attitude of being in other’s shoe in order to prevent misunderstanding and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Furthermore, media and intellectuals should do their part in enlightening and bridging the public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