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부산 유곽의 실태와 일본군과의 관련성

        전성현(Jeon, Sung-Hyun) 부산경남사학회 2018 역사와 경계 Vol.109 No.-

        개항과 동시에 일본의 성매매업이 진출한 부산은 조선의 침략을 위한 군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일본 관리관, 영사관, 그리고 이사청에 의해 줄곧 성매매업의 관리 감독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성매매업은 1902년 단계에서 집창 형태의 일정 지구(佐須土原, 牧島, 草梁)에 설정되었고, 이를 일본은 조선의 식민화와 도시화 과정 속에서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어 기존의 綠町으로의 통합을 전제로 草梁洞, 瀛仙洞(牧島의 洲岬과 東部) 등 4곳이 지정되었다. 부산유곽은 1920년을 전후한 시기까지 성장세에 있다가 이후 경제적 불황, 근대적 유흥·위락시설의 확대, 관리기관인 부산경찰서의 제한정책에 의해 하락세가 가속화되었다. 하지만 전시체제는 군과의 관련성으로 말미암은 공창에 대한 느슨한 통제가 오히려 유곽의 안정세 또는 성장세를 추동했다. 특히 만주사변 이후 일본군의 일시적이고 임시적인 군대 파견과 만주사변 이후의 상시화는 유곽과 일본군과의 긴밀한 관련성을 더욱 강화시켰다. 유곽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한 관리감독은 지방행정기구와 함께 파견 부대의 병참을 맡은 부산병참지부에 의해 주도되었다. 애초 요원의 파견에 의한 임시적인 기구였던 병참기관이 1937년 조선임시병참사령부 부산지부로 설치되고 1938년 상설화되면서 군부대의 부산 숙영과 급영에 관한 업무 가운데 유곽 등 화류병과 관련된 사항을 지방행정기구의 협조를 받아 직접 관리 감독했다. 오히려 기존의 관리감독기관인 도와 부는 협조 협력기관에 지나지 않았다. 이처럼 일본군은 개항이후 줄곧 성매매업과 긴밀한 관계 속에 있었고 전시체제가 되면 더욱 적극적인 관리감독의 주체로 부각되었던 것이다. The Japanese prostitution business, which entered Busan with the opening of the port, was determined to grow and decline in connection with the Japanese army that entered the Korean invasion. The prostitution business was set up in 1902 in a certain district. Japan needs to manage it more systematically in the process of colonization and urbanization of Joseon, and four sites(Nogjeong, Choyangdong, Yeongseonjeong) have been designated on the premise of integration into the existing one(Nogjeong). Busan"s red-light districts was growing until around 1920, and the decline was accelerated by the economic recession, the expansion of modern entertainment and amusement facilities, and the restriction policy of Busan Police Station, the management agency. However, according to the wartime system,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army and the red-light districts was deepened, and busan"s red-light districts became stable or growing. In particular, the temporary dispatch of troops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regular dispatch of troops after the Sino-Japanese War further deep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d-light districts and the Japanese army. The management supervision of the red-light districts was led by the Busan Provisional Organization of the Japanese Army, which was in charge of the dispatching unit together with the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logistical agency, which was originally a temporary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in 1937 as the Busan branch of the Chosun Temporary logisticts Command and was established in 1938. In addition, the Busan branch directly supervised and supervised matters related to the red-light districts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long with the work of the dispatching unit on the stay and meal in Busan. Rather, Gyeongsangnam-do and Busan-bu, which are existing management supervisory agencies, were merely cooperating agencies. As such, the Japanese army has been in close relationship with prostitution since its opening, and when it became the wartime system, it became more active as a subject of management supervision.

      • KCI등재

        일제의 밀양지역 탄압기구 설치와 탄압 양상 - 의열단의 밀양경찰서 투탄의거 직전까지를 중심으로 -

        전성현(Jeon, Sung-Hyun)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21 No.-

        이 글은 의열단의 밀양경찰서 투탄의거의 한 동인으로써 밀양지역에 설치된 탄압기구와 그 탄압 양상에 주목했다. 밀양에는 청일전쟁 이후부터 일본군과 일본헌병대가 수비대와 분견대의 형태로 주둔했다. 특히 1907년부터 1909년까지 수비대와 분견대가 밀양에 주둔하며 조선의 식민지화에 저항하던 의병의 진압에 나서 많은 피해자를 양산했다. 나아가 ‘헌경통일’과 강제병합으로 헌병분견소와 출장소가 여전히 다수 설치되어 이 지역의 치안 유지는 물론 독립운동에 대한 탄압에 나섰다. 그 결정적인 사건이 3.1운동에 대한 대대적인 폭력적 진압(밀양 사건)이었다. ‘밀양 사건’인 밀양 태룡리시장 시위는 당시의 인식에서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전국적으로 대표할 만큼 치열한 저항운동이었고 대대적인 탄압을 받은 사건이었다. 특히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한 일본 군경 측의 보고가 발포를 누락하고 사상자 수도 축소했지만, 미국 선교사와 영국 외교관의 보고에서 각기 다른 네 방면의 정보 제공에 의해 그 실상을 알렸고, 이를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 등 해외독립운동가들은 가장 대표적인 탄압 사례, 학살 사건으로 이해했다. 이와 같이 밀양 태룡리시장 시위의 ‘학살 사건’은 당대인의 기억 속에 3.1운동의 대표적인 탄압 사례로 알려져 있었기에, 그 탄압기구인 밀양헌병분견소(밀양경찰서)는 당연히 의열단의 첫 번째로 처단되어야할 기관이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물론 김원봉을 비롯한 의열단 다수와 투탄의거를 실행한 최수봉이 밀양 사람이기 때문에 의열투쟁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겠지만, 그 이상으로 밀양경찰서가 일제 탄압의 전국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suppression agency installed in the Miryang area, which was one of the causes of the Euiyeoldan"s bombing of the Miryang Police Station, and the aspect of its suppression.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army and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were stationed in Miryang in the form of garrison and detachment units. In particular, the garrison and detachment units were stationed in Miryang from 1907 to 1909 to suppress the Righteous Army who resisted Japanese colonization, producing many victims. Furthermore, due to the "unification of the military and the police" and the forced annexation of Japan, a number of military police depots and branch offices were still set up to maintain public order in the area and suppress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decisive event was the massive violent suppress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Miryang Massacre). The Taeryong-ri market protest where the "Miryang Massacre" took place was a fierce resistance movement that represented the whole country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true or not, and it was an event that was heavily repressed. In particular, the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which violently suppressed the protests, concealed the firing and reduced the number of casualties. On the other hand, American missionaries and British diplomats informed the world of the massacre. At that time, independence activists abroad, includ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understood this as the most representative case of oppression and massacre. As such, the “massacre” of the Taeryong-ri market demonstration was known to the people of the time as a representative case of repress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so the Miryang Police Station, the subject of the massacre, must have been an institution that the Euiyeoldan must punish.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식민권력의 지방지배 ‘전략’과 도청이전을 둘러싼 ‘지역정치’

        전성현 ( Jeon Sung-hyun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6

        이 글은 일제강점기 도청이전이라는 지역 문제를 둘러싼 정치적인 장을 통해 식민권력의 지방지배 ‘전략’과 진주 및 부산지역민의 ‘전술’적 대응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봤다. 첫째, 일제는 통감부 시기부터 식민지배 전략의 일환으로 도청이전을 계획했고, 도청소지재 지역민의 동요와 도청이전지 지역민의 협조를 각각 '전략적 부정'과 '교섭/협상'으로 대등했다. 둘째, 도청이전을 반대하는 진주지역민은 처음부터 협의 대상이 아니었지만 조선인 중심의 시민대회를 통해 민의를 표출하고 일본인 중심의 진정운동을 통해 식민당국의 의사를 확인하는 전술적 대응을 전개했다. 다만 식민권력은 진주의 진정위원을 교섭의 파트너로 보지 않고 언제나 ‘전략적 부정’으로 일관했다. 때문에 조선인은 도청이전이 단순한 지역 문제가 아니라 민족 문제임을 강조하며 민의 표출의 확대와 지배의 정당성을 문제 삼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에 식민권력은 이를 폭력적으로 제압하는 등 식민주의의 면모를 드러냈다. 셋째, 거류민단 때부터 도청이전을 요구하던 일본인 중심의 부산부민은 이전 비용의 협조와 이전 교섭/협상을 통한 전술적 대응을 전개했다. 식민당국은 이를 받아들여 교섭에 나섰고,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그 결과 도청이전은 식민권력과 부산부민의 이해관계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를 통해 보면, 지역정치는 식민지배의 합법적이고 전략적 범주 내에 머물 수밖에 없는 명확한 한계를 지녔다. 그럼에도 항상 그 경계는 희미했고, 지역 문제는 민족 문제와 연결되었으며, 또 다시 폭력적 지배라는 식민지배의 민낯을 드러내기도 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local ruling strategy of colonial power and the tactical response of Jinju and Busan residents through the political field surrounding the local problem of the relocation of provincial government. First, the plans for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began from the time of the Residency- General as part of the colonial strategy. ‘Strategic denial’ and ‘bargaining’ served as the means for managing the agitation of locals in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prompting residents’ cooperation. Second, especially the Korean residents of Jinju, who opposed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were not subject to consultation before the relocation. However, through civic convention, Koreans expressed their will and organized tactical responses, such as through petitioning mechanisms comported with colonial authority desires and appeals that centered on the Japanese people. However, colonial processes maintained “strategic denial,” refusing to accept Japanese-centered petitioners as partners in bargaining processes. Therefore, the (mostly Korean) residents of Jinju maintained that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was not merely a local problem but a national one. They thus developed a movement to expand public expression and deny its legitimacy as a local ruling organ. The colonial authorities violently suppressing their efforts. Third, the Japanese-centered Busan residents demanded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developed tactical responses that used cooperation and bargaining to address location selection and transfer costs. The colonial authorities accepted this new direction and actively negotiated under these new terms. As a result, a combination of colonial power and Busan residents’ interests resulted in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In this regard, local politics limited the legal and strategic category of colonial rule. Nevertheless, the boundaries have always faded, the local problems have been linked to the national problem, and again the colonial rule of violent domination has been revealed.

      • KCI등재

        일제시기 지역철도 연구

        전성현(Jeon Sung-Hyun) 부산경남사학회 2012 역사와 경계 Vol.84 No.-

        부산의 일본인사회가 처음 계획한 전철 노선은 ‘부산시가’ 일주선과 서부 신시가지를 순환하는 시가 횡단선이었다. 그러나 이윤을 목적을 한 조선와사전기주식회사와 제국주의 관점의 조선총독부로 말미암아 부산항에서 동래온천장까지의 직선 노선이 먼저 개통됨으로써 부산의 중심축이 북쪽으로 이동했다. 일본인사회는 시가 일주선과 횡단선을 중심으로 구심력을 회복하기 위한 전철 건설요구에 들어갔고, 노선은 확대 변형된 형태로 완성되었다. 한편, 조선의 개발과 내륙으로의 확장을 목표로 한 부산진선과 동래선의 연결과 전철 전환은 부산진을 경계로 시내선과 시외선으로 구분되어 운영되었다. 이후 지역적 차이는 민족적 차이와 결부되면서 지역 차별과 민족 차별이 뒤섞이는 분절의 공간 분할로 이어졌다. 그렇다고 해도 전철의 건설과 운영은 일방적이지 않았다. 대체로 전철 건설과 운영에 제국, 자본, 지역의 힘이 강하게 작용했다. 건설의 경우, 계획단계는 지역의 힘이 강했지만 실제 건설은 제국 및 자본의 힘이 상호 협력하며 영향력을 미쳤다. 특히 식민지 경영 초기였기에 제국의 힘이 초기 건설 과정에 강한 영향력을 미쳤다. 그러나 중 · 후기가 되면서 다시 지역의 힘이 각종 단체 및 조직을 통해 노선 건설을 관철시키기 시작했고, 결국 계획대로 노선을 완성시켰다. 반면, 전철 운영에는 시종일관 자본의 힘이 압도적이었다. 특히 전차요금과 관련해서는 지역의 힘과 행정기관의 힘도 그다지 위력적이지 못했다. 한편, 민족의 힘은 오히려 식민성과 근대성에 저항하는 측면에서 발휘되었다. 지역과 민족의 이중 차별로 힘들어하던 조선인은 지역사회의 ‘공론장’에 일부 참여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냈지만 ‘대답 없는 메아리’였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Japanese society in Busan made its first plans for electric railways involving a circle line and transversal line(including the western Shingajiji) across "Busan town." However, a straight line between Busan Port and the hot springs resort of Dongnae was first opened due to the Chosun Gas and Electric Corporation with a profit in mind and the Colonial Japanese Authorities with an imperialistic perspective, shifting the central axis of Busan northward. The Japanese society made repeated requests for electric railways in order to recover its centripetal force around a circle and transversal line across the town, contributing to the expanded and changed form of electric railways across the city. The connection between the Busanjin line and the Dongnae line intend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osun and expansion into inland along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railways made a distinction between in-city and out-of-city lines at the Busanjin line. Later area differences led to spatial segmentation in which area and race discriminations were mixed together with race differences added. Howeve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electric railways was not one-sided, being under the huge influence of empire, capital, and area. Areas had powerful impacts on the planning stage of electric railways, whereas the empire and capital influenced on their construction in mutual cooperation. The empire had particularly strong effects on the early construction process as it was in the early days of colonial management. Entering the middle and late period, areas saw through line construction by forming all sorts of groups and organizations and eventually succeeded in completing a line as planned. The operation of electric railways was overwhelmed by the force of capital from beginning to end. The areas and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did not exercise very powerful influence on the fares. The power of Chosun people was exercised when they resisted coloniality and modernity. Suffering from the dual area and race discrimination, Chosun people took partial part in the “public sphere” of the community and voiced their opinions, only to receive “echoes with no answers.” As a result, they could not help engaging in such resistance as overturning an electric car to form connections with electric railways.

      • KCI등재
      • KCI등재

        ‘租界’와 ‘居留地’ 사이

        전성현(Jeon, Sung-Hyun)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2 No.-

        부산의 개항과 개항장에 설치될 일본인 거주지를 둘러싸고 조선과 일본은 입장 차이를 드러냈다. 먼저, 조선과 일본은 개항과 더불어 개항장에 설치된 외국인 거주지를 ‘조계’와 ‘거류지’로 대별하여 사용했다. 일본이 처음부터 끝까지 ‘거류지’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과 달리 조선은 공식적인 명칭으로 줄곧 ‘조계’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조계’를 사용하지 않고 ‘거류지’를 사용한 원산과 마산의 경우, 모두 일본 측의 조약문을 그대로 한역한 것으로 이 또한 조선 측이 사용한 용어가 아니라 일본이 사용한 용어였다. 둘째, ‘조계’와 ‘거류지’의 용어 사용은 단순한 번역의 차이가 아니라 성격의 차이를 내포한 것이었다. 조선이 concession 방식의 ‘조계’ 설정을 주장하고 관철시킨 것은 교섭국 일본의 강제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일본의 settlement 방식의 ‘거류지’가 추구한 자유로운 거주와 통상을 반대하고 이를 제한하고 방어하기 위한 조치였던 것이었다. 셋째, 일본은 왜관과의 연속선상에서 ‘거류지’를 설정하고 이를 근대적인 자유로운 거주통상지로 확대하고자 했다. 반면 조선은 구래의 왜관이 지닌 거주와 통상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측면을 적극적으로 이어받아 조계를 설정하고 일본의 식민주의에 대항하는 조치로 활용했다. 끝으로 이상의 의미를 지닌 ‘부산구조계’의 설치는 조선 측의 ‘定界의 防限’으로써 규정되었고 이후 ‘조계’라는 명칭의 고수와 일본인 거주지의 독점 및 확장에 대응하는 경찰소와 감리서 설치, 그리고 조계의 잡거지로의 전환을 통한 각국조계화 등으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측이 조계의 정리 및 조계 밖으로의 토지침탈과 법제화(조계 밖 10리의 토지영차), 러일전쟁과 이에 따른 조선의 半식민지화, 그리고 1906년 개항장의 행정 일원화에 의한 부산이사청을 설치함에 따라 막을 내렸다. 이때부터 조계라는 명칭은 사라지고 ‘전관거류지’가 공식화되었던 것이다. Joseon and Japan showed differences in their positions around the opening of Busan and the Japanese residence to be installed at the port. First, Joseon and Japan used foreign residents to be installed at the port of opening as ‘Concession’ and ‘Settlement’. In the official Joseon treaty, the name ‘Concession’ has been used consistently. The treaty of foreign residence in Wonsan and Masan, in which the term ‘Settlement’ was used without using the term ‘Concession’, was a Japanese term, not a term used in Joseon. Second, the use of the terms of ‘Concession’ and ‘Settlement’ was not a difference in simple translation, but a difference in personality. It was not by the compulsion of the negotiating country Japan that Joseon insisted and carried out the ‘Concession’ setting of the Concession method. It was a measure to oppose, limit and defend free residence and trade pursued by a Japanese ‘Settlement’ of the settlement method. Third, Japan established a ‘Settlement’ on a continuous line with the Waegwan (倭館) and tried to expand it to a modern, free residential commercial area. On the other hand, Joseon actively succeeded the Waegwan, which could limit residence and trade freedom, and set it as a "Concession". Joseon used the Waegwan as a measure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Finally, the Joseon government established ‘the Busan Port Concession’ to set up and prevent boundaries, and then worked on establishing the Police Station and the Superintendent Office in response to the monopoly and expansion of the Japanese residence, and to be a concession of the nations. Nevertheless, Japan first organized the interior of the concession, and then it invaded the land from outside the concession and legislated it. Furthermore, the concession was closed due to the Russo-Japanese War, the colonialization of Jose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Busan Isacheong (釜山理事廳) in 1906.From this time on, the term ‘Concession’ has disappeared and the `all-round Settlement` was formulated.

      • KCI등재

        한국전쟁기 유엔한국묘지(적군 묘지)의 조성과 의미

        전성현 ( Jeon Sung-hyun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2

        이 글은 한국전쟁기 적군 묘지의 조성 배경과 실체를 제한적인 자료를 토대로 살펴본 것이다. 요약하면, 적군 묘지의 조성은 표면적으로 국제 인도법인 제네바협약에 따른 것이었다. 미군은 제네바협약의 체약국이 아니었지만, 참전과 동시에 곧바로 승인했다. 이 같은 즉각적인 조치는 적진에 있는 미군 전사자의 수습과 송환을 위한 영현관리 때문이었다. 따라서 미군의 영현관리가 어느 정도 체계화되는 1950년 9월 전후한 시기에 비로소 미군 묘지의 일부 구역에 최초로 적군 유해가 매장되기 시작했다. 나아가 낙동강 방어선의 돌파, 인천상륙작전, 그리고 서울 수복이라는 일련의 전투 과정에서 대규모의 적군 포로가 발생해 부산에는 약 14만 명을 수용하는 포로수용소들이 운영되는 가운데 독립적인 제2 적군 묘지가 1950년 12월부터 운영에 들어갔다. 이와 병행해 미군 유해의 자국 송환을 위한 예비적 조치와 유엔군 전사자의 체계적인 영현관리를 위한 유엔묘지가 조성되자, 기존의 미군 묘지는 1951년 4월 중순부터 제1 적군 묘지로 전환되면서 적군 묘지는 제자리를 잡았다. 이들 적군 묘지는 1953년 7월 정전협정과 1954년 8월 조인된 전사자 유해의 인도인수에 의해 1954년 9월 1일부터 10월 말까지 북한으로 유해가 송환되면서 현장은 물론 기억에서도 사라졌다. 북한으로 유해가 송환되기 전까지 부산 적군 묘지에 매장된 수는 제1 적군 묘지 1,691구, 제2 적군 묘지 5,459구, 추모사찰 79구 등 총 8,602구로 전체 인도 유해의 2/3를 차지할 정도였다. 이들 적군 묘지에 매장된 유해는 북한군, 중국군뿐만 아니라 국군도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각 국적의 민간인 억류자 또한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확인을 통해 이장되기도 했지만 외국인도 매장되어 있었다. 이처럼 한국전쟁기 적군 유해 대부분이 매장된 부산의 적군 묘지는 국제인도법에 따른 것이지만 미군의 전사자 유해를 수습하고 본국으로 후송하기 위한 영현관리의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조성되었으며, 매장자는 북한군과 중국인민군만이 아니라 국군, 민간인(억류자), 외국인 등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의미를 지닌 묘지였다. This study examines enemy cemeteries created in Korea during the Korean War. These enemy cemeteries were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Geneva Conventions. However, though the US Army was not a signatory to the Convention, it soon joined after entering the war, which led to a graves registration system for those killed in action and for the repatriation of remains. Therefore, it was not until around September 1950, when graves registration was systematized to some extent, that the enemy remains were first buried in some areas of US Army Cemetery in Busan. Furthermore, the Enemy Cemetery Number 2 was built and started operation in December 1950. At the same time, as UN Military Cemetery was created, the existing US Army Cemetery was converted into the Enemy Cemetery Number 1 in mid-April 1951. While numerous ‘transfer of remains of the dead’ took place after the signing of a repatriation agreement in 1954, the number of burials in the Busan enemy cemeteries was 8,602, including 1,691 in the 1st Enemy Cemetery, 5,459 in the 2nd Enemy Cemetery, and 79 in the Memorial Temple, accounting for 2/3 of the total repatriated remains. The remains buried in these enemy cemeteries include not only North Korean and Chinese People’s Army, but also South Korean soldiers. There were also many civilian internees of different nationalities buried in these cemeteries. Although many were transferred during the verification process, foreigners were also included. These enemy cemeteries in Busan, where most of the enemies’ remains were buried, was not simply a graveyard for the enemy. It was a graveyard with complex significance, for it was not merely one for Korean soldiers but also one that held civilians and foreigners.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자와 조선 - 일제시기 大池忠助의 지역성과 ‘식민자’로서의 위상

        전성현(Jeon, Sung-Hy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9 No.-

        ‘식민자’ 또는 ‘풀뿌리 식민자’로 평가되는 재조일본인 오이케 츄스케는 1856년 쓰시마에서 태어나 20세가 되던 해인 1875년 부산으로 건너와 대일무역에 종사하면서 친형의 도움으로 부산에서 기반을 잡기 시작했다. 그리고 사무역 및 고리대업은 물론이고 일제의 조선 침탈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부합하며 조선의 출입구인 부산과 오이케여관을 통해 일본군부와 관계를 맺고 토지구매, 군수물자조달을 통해 자본을 확장했다. 개인사업과 지리적 이점을 토대로 오이케는 강고한 인적네트워크도 형성함으로써 자신의 기반과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하는 한편 확대해 나갔다. 그가 맺은 인적네트워크는 제국주의 일본의 핵심적인 인사인 관료와 군인은 물론, 일본 본국의 재벌 및 경제인, 그리고 조선 또는 부산 거주 일본인과 조선인 등이었다. 부산에서 쌓은 인적·물적 토대를 기반으로 오이케는 경제활동과 공직활동을 통해 ‘부산의 오이케’에서 ‘조선의 오이케’로 나아갔다. 우선 그는 개인경영의 11개 부문을 토대로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동시에 부산 및 조선의 각종 회사와 조합의 설립과 경영에 뛰어들어 1929년 사망 때까지 부산 및 조선재계의 원로로서 활동하였다. 더불어 지역사회의 ‘공직’이라고 할 수 있는 상업회의소, 부협의회(도평의회), 학교조합 3단체의 중심인물로서 활약하면서 향리인 쓰시마에 입후보하여 당당히 제국의회 의원이 되었다. 이 때문에 오이케는 ‘부산의 오이케’를 넘어 ‘조선의 오이케’로 표상되며 조선의 대표적인 성공한 식민자로 위치 지워졌다. 하지만 식민지에서의 성장과 제국주의 내의 위상은 식민지 조선이라고 하는 공간, 특히 부산이라는 공간이 있어야만 가능했다. 여기서 본국 일본인과 식민지 일본인 간의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나며 그 독특한 위치도 드러난다. Considered as a "colonizer" or "Grassroots colonizer," Oike Chusuke, a Japanese colonial settler, was born in Tsushima in 1856 and moved to Busan in 1875 when he became 20. In Busan, he started to build his foundation by the assistance of his elder brother, engaging in trade with Japan. Like most Japanese people that made growth in Chosun, he conformed to the situations of the times including Japan"s invasion of Chosun as well as smuggling and loan sharking and accumulated capital by forming relations with the Japanese military through Busan with its geographical and spatial advantages and Oike Ryokan, purchasing land, and delivering war supplies. He established a solid human network based on his personal business and Busan with its geographical and spatial advantages, further solidifying and expanding his foundation and position. His human network encompassed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soldiers, who were the core figures of imperial Japan, the financial cliques and businessmen of Japan, and Japanese and Chosun people residing in Chosun or Busan. Based on his human and material foundation, he evolved from "Oike of Busan" to "Oike of Chosun" through economic activities and public duties. He first managed his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his 11 personal establishments and then got involved in the foundation and management of all kinds of companies and associations in Busan and Chosun around the 1900s. He served the financial community of Busan and Chosun as an elder until 1929 when he passed away. He was also an active, central figure in the chamber of commerce(商業會議所), Pu-council(府協議會), and school corporation(學校組合), which were part of "public duties" during the Japanese rule. His activities of "public duties," in fact, expanded to Japan beyond Busan. In 1914, the Japanese colonial settlers lost their autonomous body after the abolition of the Georyumindanje(居留民團制). Once feeling a need for political activities in Japan in order to promote their stability and expand their foundation in colonized Chosun, they started to advance to the Japanese Imperial Diet. Joining the flow, Oike was elected in his hometown Tsushima and finally advanced to the Japanese Imperial Diet, which is why he was represented as "Oike of Chosun" beyond "Oike of Busan" and position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successful colonizers in Chosun. However, his growth in the colonized country and his status within imperial Japan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space of Chosun or more particularly Busan. Here, the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people from Japan and those from a colonized country become obvious along with their unique position. They faced their contradictory position between "colonizers" and "residents of colonized land" in reality through the Japanese rule, which is why the contradictions of imperialism also took place within the inside.

      • KCI등재

        일제하 조선 상업회의소의 철도부설운동(1910~1923)

        전성현 ( Sung Hyun Jeo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8 石堂論叢 Vol.0 No.40

        강제병합 직후 철도부설은 조선의 부원개발과 식민통치기반의 확보 및 지역 경제기반의 확대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다. 그렇기에 관설철도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사설철도는 각 지역 경편철도회사에 의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조선에서의 경제적 이익을 확대하고자 하는 조선 내 일본인상업회의소를 중심으로 하는 일본인 자본가들의 지속적인 설립요구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이다. 지역의 일본인 자본가들을 중심으로 하는 철도부설요구와 이를 받아들인 조선총독부의 관설철도부설과 경편철도조사 및 보조정책은 경부·경의선의 부설이후 늘어나지 않던 철도 선로를 폭발적으로 늘려 1,000마일 시대로 접어들게 하였다. 한편 조선총독부의 재정독립계획으로 잠시 주춤하던 철도부설 등 조선의 산업개발은 1차 대전의 호황에 직면한 일본자본이 차츰 조선에 진출함에 따라 다시 본격화되었다. 더불어 상업회의소는 「조선상업회의소령」을 통해 일본인 중심으로 재편하고, 조선상업회의소연합회를 조직하여 산업개발에 대한 자신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제기하였다. 조선 상업회의소는 특히 평원선의 부설과 지역 경제선인 사설철도의 부설 및 보조금지급을 조선총독부와 일본정부에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상업회의소의 요구와 주장은 평원선 부설 및 사설철도회사의 설립과 면허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곧이어 전후공황이 일본을 덮치자, 조선의 산업개발은 바로 침체에 빠졌다. 더군다나 3.1운동이라는 조선인들의 저항에 직면하면서 조선총독부는 조선의 안정적인 통치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통치행정비에 더 많은 예산을 투여하였다. 조선 상업회의소는 전후 공황과 3.1운동으로 인한 조선 산업개발의 지연·중지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그 대응책으로 조선철도망의 속성을 주장하였다. 한걸음 더 나아가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 수립을 조선총독부에 요구하였다. 그들의 요구는 산업조사위원회의 설치로 이루어졌고, 산업조사위원회의 개최로 조선철도망 속성의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하지만 총독부는 통치안정화를 위한 치안유지와 본국을 위한 산미증식계획에 몰두하였다. 조선 상업회의소가 요구하던 조선 산업개발은 점차 활기를 띄기는커녕 침체일로에 빠졌다. 그들은 조선총독부의 철도부설계획을 기다릴 수 없었고, 직접 철도부설계획을 수립하지 않을 수 없었다. 조선의 산업개발을 둘러싼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조선 상업회의소로 하여금 조선총독부와 조선사설철도협회와의 논의를 거쳐 `4大 要項` 중 첫 번째인 `철도부설 10개년계획`을 수립하도록 추동하였다. 연합회의 `철도부설 10개년계획`은 남북을 연결하는 경부·경의선(복선)과 동해안선이라는 두 종관철도와 동서를 연결하는 평원선과 경릉선이라는 횡단철도를 완성하는 것이었다. 대체적으로 이 계획은 관사철도의 부설과 개량을 주장했던 기존의 요구사항과 큰 차이점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구체적인 국유철도의 선로와 그 필요한 경비를 제시하는 한편, 사설철도의 경우 보급금의 한도를 2배로 증가시켜 제출하고 있는 점, 그리고 장차 부설할 새로운 철도까지 선정하여 구체적인 경비까지 제시한 점에서 진일보한 계획안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 상업회의소의 `철도부설 10개년계획`은 적극적인 `東上運動`에도 불구하고 일본정부의 긴축재정과 관동대지진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자 그들은 이후 `4大 要項` 중 철도부설에 그 역량을 집중시켰다. 그들의 적극적이고 일관된 정치적 활동은 조선총독부와 일본정·재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고 향후 조선철도의 중심계획인 `朝鮮鐵道 12年計劃`이 수립될 수 있도록 기여하였다. Immediately after Chosun`s annexation into Japan, Japanese capitalists began to request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in the colony. Accepting the reques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Chosun laid state-owned railroads and, through researching existing light railways and taking auxiliary policies, constructed the Gyeongbu Railroad Line. This explosively increased the total railroad length of Chosun to 1,000 miles.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Chosun, including railroad construction, had been stagnated for some period because of the financial independence schem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Chosun. But it began to be driven in earnest as Japanese capitalists who benefited from economic booming brought by the 1st Word War rushed to Chosun. Under this circumstance, Chosun Chamber of Commerce was restructured with a majority of its members consisting of Japanese businessmen in accordance with 「the Ordinances of the Chosun Chamber of Commerce」. Then it organized Chosun Association of the Chmabers of Commerce which in turn actively made requests for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colony. The regional chambers of commerce and the association insisted that the Pyeongwon Railroad Line and private railroads, which might contribute to regional economy, should be constructed and that government subsidies should be given to the construction. This greatly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the Pyeongwon Railroad Line and the establishment and licensing of private railroad companies. But then, Japan fell to the state of economic panic. In the aftermath of the situation,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Chosun was delayed again. After facing the resistance of the people of Chosun, especially,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Chosun invested more budgets to set stronger fundamentals for the sustainable ruling of the colony. The association discussed a possible measure against the delay or suspension of Chosun`s industrial development brought by the post-war economic panic of Japan and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nd insisted the rapid construction of railroad networks around Chosun. In addition, it requested the Janapese colonial government to take a policy to fundamental solve problems related to the colonial industrial development.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dustrial Research Committee. The meeting of the committee formed a consensus that railroad networks should be built up throughout Chosun as earliest as possible,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Chosun started a preliminary survey for the network construction. But in fact,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devoted itself more to the stable ruling and public order maintenance of Chosun and implementing its plan for increasing rice production for the mainland Japan. This made more stagnated Chosun`s industrial development, requested by the association, rather than promoting it. The association couldn`t wait for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railroad construction plan any longer, so it made another railroad construction plan of its own. Seeking towards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Chosun, the association consulted with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Chosun and Chosun Association of Private Railroads and finally established `the 10 Years` Plan of Railroad Construction(鐵道敷設 10改年計劃)` as the first of `the 4 main principles(4大要項)` of the colonial industri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plan, two south-north railroads, the Gyeongbu·Gyeongeui(double track) and the East Sea Railroad Lines and two east-south railroads, the Pyeongwon and the Gyeongreung Railroad Lines were scheduled to be constructed. Despite `the Dongsang Movement(東上運動)` was actively driven, `the 10 Years` Plan of Railroad Construction` by the association failed to be properly implemented because of the Japanese government`s budget cuts and Kanto Earthquake Disaster. Since then, however, the association put its focus on a few railroads that was most urgently needed according to `the 4 main principles` as above mentioned. Later, positive, consistent political activities by the association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12 Years` Plan of Railroad Construction(朝鮮鐵道 12年計劃)` and considerably completing railroad networks of Chosun which had been driven by the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