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례가식四禮家式』 연구

        전성건 ( Sung Kun Jeon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9

        본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사례가식四禮家式』을 분석하고 그 저술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례가식』을 논문의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산의 체제 개혁에 대한 구상에 중핵을 차지하는 ``방례邦禮``를 다룬 『경세유표經世遺表』에 대한 연구에 비해 사대부의 일상생활을 다룬 ``가례家禮`` 연구는 상당히 제한적으로 다루어졌기 때문이다. 둘째 『사례가식』에 관한 연구는 『성호예식星湖禮式』과 『가례작통家禮酌通』 등을 포함한 성호학파의 가례 관련 저술들과 더불어 성호학파의 ``사상사적 역할``과 ``예학사적 지위``를 ``학파적 맥락``에서 살펴보는 데에 필수적인 저서이기 때문이다. 셋째 이러한 학파적 맥락에서의 연구는 영남학파와 기호학파 등에서 제시하는 예학이론과의 비교를 통해 조선예학의 ``보편적`` 혹은 ``개별적`` 성격과 특징을 구명하는 데에 일조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례가식』의 성격과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사례가식』은 1808년에 저술한 『제례고정祭禮考定』 2권과 1810년에 완성한 『가례작의』「관례작의冠禮酌儀」·「혼례작의婚禮酌儀」 2권을 합하여 사례四禮 冠婚喪祭에 대한 예식禮式을 정비하여 일상생활에서 실천하기 위해 만들어진 실용적인 예서禮書였다. 다시 말하면 다산의 또 다른 저술인 『상례사전』은 50권 17책의 방대한 저술인데 이는 고례古禮의 원형을 고려한 작품이었고 따라서 그것을 참고하여 사용하기에는 너무 불편하였다 따라서 이를 절요본으로 만들어 ``행례의 간편화``를 위한 저술이 필요하 였는데 그것이 바로 『상의절요喪儀節要』이다. 그리고 이를 포함한 사례四禮 관련 실용 예서가 바로 『사례가식』에 해당되는 것이다. 다산이 저술한 『사례가식』은 전근대사회의 일상생활을 책임졌던 사례四禮를 다룬 저술로 당시 조선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적용·시행되었던 『주자가례朱子家禮』를 대체하려는 의도에서 저술된 것이었다. 여기에는 고례를 복원하고자 했던 의도가 있는 것도 틀림없는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고례이기 때문에 따라야 한다는 단순논리를 주장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조선의 변화된 현실에 맞게 의례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고례의 규정을 새롭게 살려 내고 이를 속례와 결합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on the SaRyeGaShik which is written by Tasan. He was a very critical thinker and politician in the late Chosen Dynasty, and he is called a compiler of Practical Thought實學思想 in the modern Korea. I think his intellectual interest was in the reform of the social structure of Chosen Dynasty in his life. SaRyeGaShik was a part of his reform which was a big plan unsucceeded regrettably through his life. It deals with SaRye四禮 such Gwan冠·Hon昏·Sang喪·Je祭 as rituals in confucianism. ChutzuChiali朱子家禮 had currency in that times. But, the things with that did not perfectly prove right in the Chosen`s livelihood. Therefore, he thought his job critically reconstructed ChutzuChiali into SaRyeGaShik which was apposite to the case. The ways he could achieve it, firstly examined the prototype of Korye古禮 called SangLyeSaChon喪禮四箋, secondly compared it with ChutzuChiali, and lastly reconstructed SaRye using Sokrye俗禮. In this ways, he completed SaRyeGaShik. It contains his critical mind which is not only to correct a mistake of SeongHoYeShik星湖禮式 which focused on excessive Frugality節儉, but also to correct a mistake of ChutzuChiali which could not be successfully carried out in his reality. In the final analysis, he wrote SaRyeGaShik as a part of his reform of the social structure of Chosen Dynasty in his life. For this work, he wrote SangLyeSaChon as a prototype of SaRye in advance, and then completed SaRyeGaShik as a practical writing on the basis of SangLyeSaChon.

      • KCI등재

        대산 이상정의 『중용』 해석과 성리설의 이해

        전성건 ( Jeon Sung-kun ) 한국공자학회 2022 공자학 Vol.47 No.-

        본 논문은 대산 이상정의 『중용』에 대한 해석과 그 방법론을 통해 그의 성리설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대산의 공부와 강학은 주로 사서(四書)와 성리서(性理書)를 위주로 진행되었다. 그런데 그의 학문과 사상에 대한 철학분야의 연구는 성리설을 주제로 한 것이 대부분이고 사서학(四書學)을 포함한 경학분야의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대산은 영남 퇴계학파에서 한 획을 그었다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율곡학파라는 외부의 적에 대한 학술적 응전 및 학봉과 서애 학맥의 분화라는 내부의 분열을 봉합하였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혼륜설과 분개설의 관점을 균형 있게 조화시키고 있는 그의 성리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사실에서 그의 사서학에 대한 연구는 유의미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용』을 중심으로 대산의 경학해석방법 및 그의 성리설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그의 사서학에 대한 연구가 선행된다면, 그의 성리학에 대한 이해도 조금 더 깊이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aesan’s Neo-confucianism theor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its methodology. Daesan’s studies and lectures were mainly focused on four books and Neo-confucianism books. Therefore, most of his studies in the field of philosophy on his studies and ideas are based on the theme of Neo-Confucianism, and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in the field of Chinese Classics, including Confucianism. Daesan can be said to have made a mark in Toegye School, which can be found in that it sealed the internal division of Hakbong and Seoae school, the academic response to the external enemy called Yulgok school. And it can be confirmed in his theory of rationality, which balances the views of comprehensive and separation explanation. In the above facts, his research on four books can be said to be a significant work. In this paper, we will focus on examining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Daesan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Neo-confucianism theory, focusing on the Doctrine of the Mean If his research on four books is preceded, his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can be made a little deeper.

      • KCI등재

        [특집, 조선시대 지식,지식인 생산체계 : 17~18세기 평산 신씨를 중심으로] : 신흠의 상수역학과 역사철학 - 邵易과 春秋를 중심으로 -

        전성건 ( Sung Kun Je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5 No.-

        본 논문은 조선의 지식사회로서의 모습을 다각도로 살펴보려는 .조선시대 지식,지식인 재생산 체계에 관한 연구-17~18세기를 중심으로.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여기에서는 평산 신문의 일원 가운데 핵심 인물인 상촌 신흠의 상수역학과역사철학을 邵易과 春秋에 대한 그의 시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신흠이 소역과 춘추를 대하는 관점은 심학정신을 기반으로 하는데, 그것은 中正한 마음을 학문 의 토대정신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천지만물의 보편적 이치인 一理를 파악하기 위해 요구된 것이다. 이를 대략적이나마 구체화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촌 신흠의 수학과정을 통해서 드러나는 그의 학문정신을 심학정신으로 규정하고, 그가 易學과 史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복희의 先 天圖를 역학의 원형으로 간주하는 신흠은 천지만물에 내재해있는 一理를 파악하 기 위해서는 中正한 마음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신흠은 복희로 대표 되는 上古시대, 문왕으로 대표되는 中古시대, 그리고 공자로 대표되는 下古시대라 는 역사단계를 토대로 자신만의 독특한 역사철학을 전개한다. 다음으로, 소옹 역학에서 一理가 도출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현실세계 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묘사되는지, 신흠 자신이 임금에게 상주한 .陳言箚.를 구 체적으로 분석하여 검토해 보았다. 또한 .彙言.과 .求正錄. 등에 보이는 그의 상 수역학과 역사철학의 관점을 통해 그가 당대의 문제의식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 지 君子와 小人의 분별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신흠에 의해서 마련된 학문전통인 상수역학과 역사철학을 기반으 로 한 易學과 曆法이 어떻게 후대로 전수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신흠의 아들인 樂 全堂 申翊聖은 신흠의 학풍을 계승하여 만년에 상수학 연구에 침잠하는 한편, .皇 極經世書東史補編.을 저술하여 상수학적 관점에서 단군에서부터 고려 공양왕 시 기까지의 역사를 정리해 인조에게 바치기도 한다. 신익성의 아들인 春沼 申最 또 한 .皇極經世書.의 圖說 관련 글과 .洪範皇極內篇.의 數義를 통해 상수학 중심의 가학을 잇는다. 또 華隱 申炅은 曆理에 정통해서 효종시기 역법의 교체과정에서 자문을 받기도 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당대에 신흠 가문은 삼대에 걸쳐 상수 역학에 정통했던 것으로 인식되었다. This paper is on the universal principle and situatinal principle in the case of Shin-Heum. He put emphasis on the impartial heart-mind to the principles. Subjects of this study is Shaoyong’s I-Ching Learning, Chun-Chiu, and so on. Shaoyong’s I-Ching Learning is on the basic matter of universal principle and Chun-Chiu is on the basic matter of situatinal principle. We can examine that his learning spirit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mind-learning through his learning experience. He have learned the I-Ching, Chun-Chiu and so on since he was a little child. He applied mind-learning to the two books. The mind-learning is located between I-Ching and Chun-Chiu which are standard in the real world which is a lot of things to iron out. Shin-Heum was absorbed in finding out the universal principle in the cosmological nature and finally discovered the universal principle and the Meaning of Number. Universal principle is a kind of natural law going through one and again the universal principle is divided into situational principles which are recognized as the numbers. We can understand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real world through comprehending to discover the meanings of numbers. In short, Shin-Heum’s viewpoint of world and history was formed by the cosmological law which is discovered not only in the nature, but also in the ancient chinese books of I-Ching and Chun-Chiu. Therefore the books is the exemplary standard for a person who is getting down to earth persistingly.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삼례서연구의 다양성과 고증학의 영향 -정약용, 심대윤, 이진상을 중심으로-

        전성건 ( Sung Kun Jeon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2

        본 논문은 조선후기 삼례서연구의 다양성과 고증학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으며, 연구 대상으로는 정약용과 심대윤 그리고 이진상을 선택하였다. 조선예학에서 삼례서가 갖는 위상은 대체로 『의례』를 본경으로 하고,『예기』와 『주례』가 본경을 보완해주는 예서로 인식되었다. 이는 이른바 의리예학으로 알려진 주희예학을 조선예학이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왕조의 의례문화는 가례문화로 이해될 수 있다. 왜냐하면 조선왕조 사대부의 일상생활은 孝悌慈를 유교이념으로 하고 있고, 그것의 실현방식이 관혼상제라는 四禮의 家禮를 통해 실천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는『가례』와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는다. 주희의 저작이라고 알려진 『가례』는 未成書이자 未定說이기에 조선예학에서는 이를 해석과 고증 그리고 행례의 세 측면에서 보완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보완은 삼례서에 대한 입장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조선후기에는 『독례통고』나 『오례통고』 등 청대 고증학의 저서의 수용으로 인해 禮式에 등장하는 다양한 개념과 기물 등에 대한 훈고와 고증이 가능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의 학자들에게 고증학은 그 실천성에 있어 의문이 제기된다. 즉청대 고증학은 훈고와 고증의 장점은 있으나, 行禮의 관점에서 볼 때, 그 실천성은 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선후기 예학의 주류는 역시 주희예학의 맥락 안에있는 의리예학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의리예학의 맥락을 잘 보여주는 인물로 한주 이진상을 거론하였다. 한주는 당대 家禮書의 총집류로 평가받는 퇴계학파의 상변통고 와 율곡학파의 『가례증해』의 議論을 推說에 의해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러므로 한주는 리학적 담론에 사용되던 의리의 방법을 예학적 담론에 적용한 대표적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백운 심대윤과 다산 정약용은 가례를 비롯한 주희예학을 비판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새로운 가례서를 작성하는 한편, 한주 및 조선예학자 일반과 달리 삼례서의 본경의 문제에 대한 다른 결론에 다다른다. 백운은 예기를 본경으로 삼아 禮經을 재구성하는 데에 이르고, 다산은 주례를 본경으로 삼아 체재개혁을 위한 禮式의 규범을 확보하려고 한다. 이처럼 조선후기는 삼례서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관점이 등장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on the diversity of the study on the three ritual books which are Record of Rituals[禮記], Zhouli[周禮] and Yili[儀禮] and documental archaeology which is an academic trend brought out in Qing dynasty influence in late Joseon dynasty. The subjects of study are Jeong Yakyoung, Sim Dae-yun are Lee Jin-sang. The respectively roles of three ritual books are as follows in Joseon dynasty. Yili is as a Fundamental scripture, Record of Rituals which be a kind of the book on the self cultivation or the core book among the three ritual theory books is as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Yili, and Zhouli is as a complementary books on Yili. Furthermore, three ritual books are related with interpretation of Zhuxi’s jiali[家禮] which is a unfinished and un determined book. Documental archaeology which is representative to ritual theory like Dulitongkao[讀禮通考] and wulitongkao[五禮通考] and so on in Qing dynasty had influenced ritual theory in Joseon dynasty. By the way, Joseon confucian scholars admitted an influence of documental archaeology but called into question on the practicability of documental archaeology. In this connection, a representative scholar is Lee Jin-sang. He accommodated documental archaeology and succeeded Zhuxi`` ritual theory which is so-called yli[義理] ritual theory. On the other hand, Jeong Yak-young and Sim Dae-yun criticized Zhuxi`` ritual theory respectively and accepted documental archaeology actively. Sim Dae-yun aggressively passed judgment on Zhuxi`` ritual theory and thought of Record of Rituals as fundamental scripture, while Jeong Yakyoung regarded Zhouli as fundamental scripture and negatively appraised on Zhuxi`` ritual theory.

      • KCI등재

        한주 이진상의 예설의 특징

        전성건(Jeon, Sung-kun)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6 No.-

        본 논문은 한주 이진상의 저술인 『사례집요』의 대략을 살펴보고, 그의 예설 가운데 그의 예론을 대표한다고 판단되는 사종설과 심의설의 성격을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사례집요』는 그의 예학정신을 여실히 보여주는 저술로, 그의 생애 가운데 대략 25년간의 예학에 대한 연구 성과를 담지하고 있다.『사례집요』의 가장 큰 특징은 추설의 논리를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추설은 일종의 추론방식으로 그가 심성론에서 다루고 있는 看法과 推法이 예설에서도 적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다음 한주의 예설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정치적 사례는 사종설에 대한 그의 해석이다. 사종설은 17세기 예송논쟁의 발단이 된 예설로 장자의 명칭과 종통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해석이다.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장자에 대한 정의와 달리, 한주는 장자는 정실에게서 태어난 것과 종통을 계승한 경우 등을 모두 포괄해야 함을 역설한다. 이는 퇴계학파의 정치적 입장과 예학적 입장을 여실하게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주의 예설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예학적 사례는 심의설에 대한 그의 해석이다. 첫째, 한주의 심의설은 한주 당대에 시행된 의제개혁에 대한 반론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소매가 좁은 두루마기를 입으라는 의제개혁에 반대하여 유학자의 정통 의복으로 심의를 입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둘째, 『주자가례』를 비롯한 당대의 심의제도에 대한 비판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주자가례』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심의는 4폭의 상의와 12폭의 하상을 연결하여 만든 것인데 반해, 한주가 제시하는 심의는 모두 12폭으로 만들되 상의와 하상을 따로 만들었다가 다시 붙이는 것이 아니라, 해당 인물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만들되 상의와 하상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paper will examine Hanju Lee Jinsang’s Saryejipyo and investigate his two ritual theories; these two theories are “the theory of the four kinds of exceptions,” and “the theory of simui” both of which were current at the same time. Saryejipyo represents approximately twenty-five years of thought on ritual theory.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ethodologies in Saryejipyo is the inference used in his heart-mind theory. This paper will examine Hanju Lee Jinsang’s ritual theories on the basis of two issues: the political and the ritual. First, his theory of the four kinds of exceptions is related to the controversy over Confucian funeral rites. From this political standpoint, it is unique. The funeral ritual controversy revolves around the relations between the stringer and the name of the eldest son. Hanju considers the name of the eldest son as both legitimate son and heir. Simui, the most important Confucian clothing system, is unique from a ritual standpoint. His theory of simui has two strong points of view which oppose the state-led clothing reform and the contemporary routine clothing customs. The state-led clothing reforms ordered the wearing of a traditional overcoat with narrow sleeves; the contemporary custom comprised separating the shirt from the bottom. Hanju emphasizes wearing simui, the pieces of which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 다산(茶山)과 문산(文山)의 강토(講討): 행사(行事)와 본원(本源)의 두 길

        전성건(Jeon, Sung-k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1 다산과현대 Vol.14 No.-

        이 글은 다산 정약용과 문산 이재의의 학문적 토론의 과정을 살펴보고, 그들이 지향하는 지점이 각각 어디를 향하고 있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작성한 것이다. 다산박물관에서 제공한 자료[『다죽문답』·『잡록』·『다산시첩』]를 대상으로 정리하였지만, 관련 자료가 빠져있어, 《여유당전서》와 『문산집』 등을 추가하여 살펴보았다. 문산 이재의는 무신가문에서 성장하였지만 학문적 자질이 있어 학자의 길로 들어선 인물이고, 조선후기 집권세력인 노론의 호론과 낙론 계열의 스승 모두에게 수업하였지만, 다산 정약용은 성호학파 계열로 천주학과 관련하여 18년 이상을 유배지에서 생활했던 근기남인이었다. 그들의 성장과 수학이 달랐던 만큼, 그들의 철학과 사상도 다를 수밖에 없었다. 다행인 것은 그나마 당시의 교유가 이전 시대만큼 당색으로 상대를 폄하하는 시대가 아니었다는 점이다. 이 글에서는 다산과 문산의 학문적 지향점을 각각 행사와 본원으로 정리하였다. 그들의 학문적 토론은 본성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문산은 주자학자로서 마음속에 내재하는 인의 예지를 본성으로 이해하였고, 이것은 본원을 함양하여 덕성을 기르는 주자학의 공부법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이에 비해 다산은 주자학을 비판하면서 인의예지는 행사를 통해 성취되는 것으로 마음속에 내재하는 이치가 아니라, 행사 이후에 지칭되는 명칭이라고 하였다. 그들의 토론 현장은 매우 격렬하였는데, 문산은 다산을 향해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병, 이른바 태양증에 걸린 것은 아니냐며 다산의 호승심 가득한 마음가짐을 비판하였으며, 다산 또한 문산에게 당파의식을 가지고 아랫사람을 나무라는 식으로 토론을 전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언급을 표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그들의 토론은 매우 격렬하였지만, 그들이 죽을 때까지 안부를 묻기도 하고, 서로의 가족에 대한 안부를 묻기도 하는 등 친밀한 관계를 유지한 것도 사실이다. 전근대 유학자들이 갖고 있는 선비정신의 이면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다면, 바로 이러한 부분에서 찾아질 수 있을 듯하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examine the academic discussion process between Tasan Jeong Yak-yong and Moonsan Lee Jae-ui and to confirm where they were aiming. The materials provided by the Dasan Museum[Dajukmundap, Japrok, and DasanSichup] were organized, but related materials were missing, so we added Yeodangjeonseo and Munsanjip to examine them. Moonsan grew up in the military family, but he entered the path of a scholar due to his academic qualities, and taught both teachers of Noron, a ruling pow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Dasan was a man who lived in exile for more than 18 years. As their growth and study were different, their philosophy and ideas were inevitably different. Fortunately, the relationship at that time was not an era where people disparaged their opponents with political party as much as they did in the previous era. In this article, the academic orientations of Tasan and Moonsan are summarized as events and headquarters, respectively.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their academic discussions diverge from their understanding of nature. Moonsan, as a runner-up scholar, understood the art of humanity inherent in his mind as his nature, and this corresponds to the study method of runner-up who fostered virtue by cultivating his original purpose. On the other hand, Tasan criticized neo-confucianism and said that the prediction of humanity is achieved through events, not a reason inherent in the mind, but a name referred to after the event. Their discussion site was very intense, and Moonsan criticized Tasan"s fierce mindset, saying that he had a disease that could not control his anger toward Tasan, so-called solar syndrome, and Tasan also expressed his comment that he was blaming his subordinates with a sense of partisanship. As such, their discussions were very intense, but it is also true that they maintained a relationship that said hello and talked about the world until they died. If there is a place where you can see the backside of the scholar spirit of pre-modern Confucian scholars, we should find it in this area.

      • KCI등재

        특집: 성호학파의 가족관과 가족생활 : 성호의 가문의식과 일상생활

        전성건 ( Sung Kun Jeon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6

        성호 이익의 가문은 옥동 이서와 성호 이익을 정점으로 문장 위주의 가문에서 의리 위주의 가문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옥동 이서는 詩文으로 명망을 얻었지만 이를 일신하여 퇴계의 敬 사상을 이어받아 성호 가문이 퇴계의 도학을 받아들이는 계기를 만들었고, 성호 이익은 이를 더욱 발전시켜 퇴계 이황의 학문을 전범으로 받아들이는 한편, 시대적 상황에 맞게 퇴계의 학문적 성과를 발전시켜 성호학파를 구성하는 데에까지 나아간다. 그러나 성호 가문은 섬계 이잠에 의해 작성된 무술년의 상소문과 그에 따른 그의 장살사건으로 몰락하게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성호 가문의 중차대한 위기상황이 도래한 것이다. 이에 성호는 출사를 포기하고 학문에 침잠하여 후일을 도모하게 된다. 이를 정치적 위기상황에 대한 학문적 탈출구 마련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당연히 학문적 탈출구는 퇴계의 학문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성호는 어느 정도 가문의 禍難이 정리되고 난 뒤에는, 퇴계의 적전을 잇고 있는 영남 남인과의 교류를 통해 학문적이고 정치적인 활동을 재개하는 한편, 몰락한 가문의 家計를 유지하는 데에 힘을 쏟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보이는 성호의 특징적인 사항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성호의 士庶人 의식과 절검의 실학정신이다. 전자는 그의 造命의 시각에서 살펴볼 수가 있으며, 후자는 그의 구체적 현실에서 살펴볼 수가 있다. 유학에서 빈부귀천은 천명에 기인한 것으로 인간이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져 왔지만, 성호는 조명의 논리를 통하여 인간의 노력을 통해 時勢에 대한 운명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는 그가 제시한 士農一致의 시각에 반영되어 있다. 선비는 출사하여 현실에 참여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시세에 의해 그렇게 되지 못했을 경우에는 농사를 짓는 등 현실을 직시하여 또 다른 영역에서 삶을 도모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조명의 논리는 그의 구체적 현실에서 절검의 실학정신으로 나타난다. 그가 집안의 일화를 바탕으로 조직한 삼두회가 그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콩죽, 콩나물, 콩메주 등을 담가 집안의 모임을 갖고 해마다 일정하게 삼두회를 개최하여 집안의 유훈으로 삼으려고 했던 노력이 바로 그것이다. 성호는 이 외에도 博奕雜戱를 멀리하도록 하였고 술·담배를 금지하는 등 절검의 실학정신을 가문의 유훈으로 삼으려고 하였다. This paper is on the family consciousness and his daily life with Seongho`s family as its Center as a part of the project called A Family Values and Family Life at the Practical Learning Research Conference on September 8th, 2013. Seongho family was and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amilies in Joseon Dynasty and Korea. Seongho family has a few peculiarities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holds fast to traditional poem and handwriting methods which is related to the social intercourse. Second, it concentrates on the odes and rituals of neo-confucianism after this. It shows having self-rescue measures of the politically collapsing family by holding its bound in the late-Joseon dynasty. Seongho`s self-rescue measures of the politically collapsing family has two directions, which are the succession to the Toegye`s scholarship and the political exchange of the Young-Nam southerners. Also, he suggests family instructions so-called frugality whose typical instance is the very Samduhoe which is his family gathering for the self-rescue measures of the livelihood collapsing family. His philosophical premise on the basis of his family`s frugality results from his belief in improving his fortune. We want to call his belief the practical learning spirit of frugality.

      • 4차 산업혁명시대의 문화콘텐츠의 가치 : 유교를 중심으로

        전성건 ( Jeon Sung Kun ) 콘텐츠문화학회 2020 콘텐츠문화연구 Vol.2 No.-

        우리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라고 명명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과학기술이 진보하여 인간의 지능을 대체하려는 데에까지 진행될 것이라고 한다. 인간의 평안과 행복을 위해 발전시킨 과학기술이 인간을 대체할지도 모른다는 공포가 시작된 것이다. 인문학은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자연을 대상화시키지 않는다는 조건 아래에서 인간의 가치를 찾아 보존할 필요가 있게 된 것이다. 사람의 무늬는 그렇게 지금 여기에서 요구된다. 모든 생명체는 시간과 공간의 자장을 벗어나서는 생명을 유지할 수가 없다. 시간과 공간을 떠나서는 생명(生命)은 탈각되고 형체만 남게 된다. 인간(人間)은 말 그대로 사이적[間] 존재[人]이다.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사람과 만물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바로 인간이다. 그러므로 독립적이기 보다는 의존적인 존재이다. 함께 더불어 살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런데 과학기술은 그러한 삶의 전제를 흔들어놓았고,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농후하다. 제1차 산업혁명에서 지금에 이르기까지 과학기술의 발전은 육체적 측면에서는 삶을 편안하게 만든 것이 사실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러한 발전에 따라 정신문화의 역할이 이제는 물질문명의 역할로 대체될 수도 있게 되었다. 문화콘텐츠산업 또한 그러한 자장 아래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인간의 복지와 안녕을 극대화하려는 것이다. 어쩌면 지금까지 인문학은 그러한 과학기술의 발전에 저항해왔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화살은 날았다. 사람의 무늬를 주체적으로 찾아야 하는 과녁에 도달하기를 바랄 뿐이다. 자신의 무늬를 찾았다면, 이제 이를 확대하여 가정의 무늬를, 사회의 무늬를, 세상의 무늬를 찾아야 할 때가 된 것이다. 유교가치가 필요한 것도 이러한 범위 안에서 발견되고 실현되어야 한다. 인의예지(仁義禮智)와 효제충신(孝弟忠信)을 표제어로 하는 유교가치는 인류의 보편가치가 되기를 희망한다. 그렇다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유교정신의 의미가 무엇인지 확인해야 하고, 그것이 표상화되어 있는 유교전통문화도 이해해야 한다. We live in an era we call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said that technology will go so far as to replace human intelligence. The fear that technology developed for the sake of human peace and happiness may replace human beings. That is why humanities is more important. Under the condition that nature is not targeted, it is necessary to find and preserve human values. The human pattern is so required here. All living things cannot sustain life beyond the magnetic field of time and space. Apart from time and space, the lifeblood is decimated, leaving only the body. Human beings are literally pseudo-humans. It is man that exists between man and all things, between heaven and earth. Therefore, it is more dependent than independent. This is why we have to live together. But science and technology has shaken the premise of life,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ill continue to be. It may be true that th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the first industrial revolution to the present have made it comfortable on the physical side. And with such developments, the role of spiritual culture may now be replaced by the role of material civilizatio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was also formed under such magnetic fields. It aims to maximize human welfare and well-being by utilizing cultural resources. Perhaps so far, humanities have resisted such advances in technology. But the arrow flew. One can only hope to reach the target where one must find one's own pattern. If you have found your own pattern, it is time to expand it to find the pattern of your family, the pattern of your society, and the pattern of your world. What needs Confucian values should also be found and realized within this scope. The Confucian values under the title of "confucian loving, justice, rituals, and wisdom" hope to become universal values of mankind. If so, we should check what the meaning of the Confucian spirit in it is, and understand the Confucian tradition culture in which it is represented.

      • 다산 예학의 학문적 위상 -『상례사전』을 중심으로-

        전성건(Jeon, Sung-k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9 다산과현대 Vol.12 No.-

        본 논문은 다산 예학의 학문적 위상을 『상례사전』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상례사전』은 다산의 경학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위상을 지닌다. 다산은 예치시스템의 확보를 위해 가장 먼저 고례를 확보해야 했고, 그것의 산물이 바로 『상례사전』이다. 물론 『상례사전』이 사례(士禮)를 다룬 것이기는 하지만, 그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토대로 공(公)·경(卿)·대부(大夫)는 물론, 왕조의 의례(儀禮)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산의 경학연구는 경세학저술의 토대가 되며, 그렇게 작성된 일표이서(一表二書)는 다산이 구상한 예치시스템의 결실이라는 점에서 의미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상례사전』이 자리하고 있고, 『상례사전』은 다산의 경학저술과 경세학 저술의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다산의 경학연구는 주희의 사서삼경중심의 학문체계를 육경사서중심으로 재편한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그것과는 결을 달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학문체계의 변화는 사사집주와 삼경집전을 중심으로 한 경학연구의 흐름을 십삼경주소를 중심으로 재해석하고 재편하는 데에서 나타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금 과도하게 해석하자면, 성리학 중심의 학문체계를 고증학중심의 그것으로 재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것은 수양론(修養論) 중심의 세계관을 행사론(行事論) 중심의 그것으로 바꾼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요컨대, 다산의 『상례사전』은 경학연구의 시작점인 동시에 『경세유표』를 비롯한 일표이서의 경세학저술의 학문적 토대가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산이 구상한 예치시스템의 기반이 바로 『상례사전』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례를 비롯하여 향례와 방례를 아우르는 다산의 예치시스템을 위해 고제(古制)의 확보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고제를 확보하고 난 뒤에 현행제도인 금제(今制)를 참작하여 새로운 제도인 신제(新制)를 구성할 수 있게 된 것이다. This paper intended to look at the status of Dasan’s rituals focused on the funeral rites four recording paper. This book has a very important status in hi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Dasan had to be the first to secure rite-governed system, and its products were the funeral rites four recording paper. Of course, although this book deals with cases, it does not end up as a mere example, but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preparing rituals for the dynasty as well as family rituals, village rituals, nation rituals and so on. Dasan’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s the basis of the books on statecraft learning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ruit of the rite-governed system envisioned by Dasan. And, as mentioned earlier, the funeral rites four recording paper is a very meaningful work in that it forms the basis of confucian classics and statecraft learning. The study on confucian classics by Dasan is inconsistent with that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at it reorganizes Zhu-xi’s academic system centered on the history of four books and three classics. And this change in the academic system was reflected in the reinterpretat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current of the light-school study centered on four books and three classics. In other words, this is a shift from four books and three classics to six classics and four books. In short, Dasan’s the funeral rites four recording paper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study and also the basis of the academic literature of the rite-governed system, including the funeral rites four recording paper. Dasan’s planned rite-governed system is based on the precedent. Securing the ancient system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the rite-governed system, which encompasses rituals, ceremonies, and methods, including examples. After securing tthe ancient system, the government took into account the current system, allowing the formation of a new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