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판이론을 통해서 본 하이데거(Heidegger) 철학에 대한 비판 : ‘현존재(Dasein)’ 개념을 중심으로

        전석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7 철학·사상·문화 Vol.0 No.5

        Der Begriff von Dasein Heideggers läßt zwei Interpretationen zu, eine der neuen Fragestellung an das Sein in der modernen Welt und eine der Deutung der Kritik an Modern. Aus diesem Grunde soll sein Versuch nicht nur ontologisch, sondern auch anthropologisch bewerten. In der frühen Phase der Kritischen Theorie, besonders aus den Ansätzen von Horkheimer wird es deutlich, daß ‘das kritische Subjekt’ im Kontrast zu ‘Dasein’ Heideggers steht. Dabei sei natürlich nicht nur an eine anthropogische Metaphisik, sondern auch an den Mangel an das historische Subjektbewußtsein zu denken. Horkheimer behauptet darum das Wesen des Daseins als ein fitives Subjekt, weil das die Aufgabe der gegenwärtigen Zeitkritik gar nicht leisten könne. In den mittelern und spätern Kritischen Theorie glaubt man feststellen zu können, daß das auf das Subjekt basierte kritische Bewußtsein geschwächt wird. Trotzdem führt die Dechiffrierung des beiden Vergleiches nur zu einer sehr äußerlichen Analogie, wenn man keine Auflösung des Subjekts, wie im Dasein, in der Kritischen Theorie sieht. Aud diesem Grunde trifft der auf dem Subjekproblem zentrierete Strukturwandel der Kritischen Theorie für die Subjektabwesenheit nicht in vollem Umfang zu. In den mittelern und spätern Kritischen Theorie bedeutet ‘das Subjekt ohne Subjekt’ nur ein Wandelsprozeß von ‘der Selbstbehautung’ zu ‘der Selbstkritik des Subjektes’, in dem die Aufgabe der Zeitkritik, bzw. der Kritik an Modern noch erfüllt werden kann.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von ‘Dasein’ Heideggers kommt die Kritische Theorie hier zu der Feststellung; Auf eine lautlose Weise, aber radikal habe Heidegger kritisiert an Moderne. Aber heimlich habe er ‘die Selbstkritik des Daseins’ in spezielle Identitätsphilosophie aufgelöst. 하이데거의 ‘현존재’ 개념은 현대의 새로운 존재물음으로서 『존재와 시간』의 중심개념을 이루지만, 또 다른 중요한 의미는 ‘현대비판’이라는 과제를 담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그의 시도는 ‘존재자의 존재에 대한 의미’를 존재론적으로 규명했다고 평가되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 보자면 ‘현존재로서의 인간의미’를 탐구한 인간학적 차원에서 음미될 수 있다고 보여 진다. 이런 문맥에서 초기 비판이론, 특히 호르크하이머의 하이데거 비판은 ‘현존재’에 ‘비판적 주체’를 대비시키면서 명시적차별화에 그 초점이 모아진다. 즉 하이데거의 ‘현존재’는 ‘인간주의적 형이상학’의 한 아류인 ‘허구적 주체’이며, 더 나아가 ‘역사적 주체의식의 결핍’의 다름이 아니라는 것이다. 중․후기 비판이론은 초기에 비해 확실히 ‘비판적 주체’의 실체성은 ‘주체 없는 주체’로 약화되었지만, 하이데거의 ‘현존재’ 개념에 대비시켜 볼 때 그것은 주체의 해체를 뜻하는 것이 결코 아니라고 평가된다. 물론 잔존되어 다시 도래한 관념론적 이상주의의 극복이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지만, 비판이론에서의 변이를 ‘이성주체의 자기주장’으로부터 ‘이성주체의 자기비판’이라는 과정의 측면에서 본다면 여전히 그 주체는 주체해체에 기인한 ‘현존재’의 무력성과는 명백히 대별된다. 그러한 의미선상에서 하이데거의 후기철학은 ‘테크놀로지를 형이상학적 지배의 한 표현’이라고 보았다는 점에서 주체가 기술문명을 통해 총체적 지배대상이 되었다고 보는 후기 비판이론 관점과의 잠정적 유사성을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하이데거의 기술문명의 비판은 ‘현존재’와 같은 모호한 주체에 기초한 채로 외연적 자연과 인간에 대한 관심에 여전히 수동적으로 머물러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한 전제로 비판이론에서 바라 본 하이데거의 ‘현존재’ 개념에 기초한 현대비판의 의미는 내재적으로 은폐된 동일성에 대한 자기비판의 부재 때문에 그러한 과제를 담지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자세변화에 따른 PWV 변화량의 평가

        전석환,정인철,정상오,윤형로,Jun, Suk-Hwan,Jeong, In-Cheol,Jung, Sang-O,Yoon, Hyung-Ro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9 의공학회지 Vol.30 No.2

        The ideal method which measures a blood vessel of senility and degree of arteriosclerosis is to measure compliance of arterial and condition of blood circulation at the periphery. In these days vascular stiffness have been assessed by analyzing PTT (pulse transit time) from ECG and PPG. PTT is that between toe and finger each subject estimated through ECG and PPG signals. Two parameters, which are related to PWV, were tested with the time delay between the finger and toe. PWV is a variation of quantity which is associated with vascular stiffness. These researches which use PTT and PWV don't consider the blood vessel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In this current research, we have used with the blood vessel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That is an assessment of vascular stiffness using the variation of quantity in PWV with the changes of position in the subject. PWV variation increased as functions of the subject's age. The increase of the PWV variation parameters with age is attributed to the direct decrease of the blood vessel compliance with different position. The quantity of variation estimated by experimental results is that old age's (75.78${\pm}$7.75) case is 113.68% and young age's (26.47${\pm}$2.04) case is 85.69%. We proved and presented about estimation of vascular stiffness of possibility by this result.

      • KCI등재
      • 새로운 ‘인문학적 담론’ 구상의 가능성과 그 한계 - ‘인문학적 상상력’에 대한 개념해명을 중심으로 -

        전석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8 철학·사상·문화 Vol.0 No.6

        'Die Krise der Humanwissenschaft'? Von vornherein möchte ich feststellen, daβ diese Krise in der Entwicklungsgeschichte der Humanwissenschaft immer dabei gewesen ist. Aus diesem Grunde sollte man das Versthen zum Phänomen der 'Krise der Humanwissenschaft' von einem Gesichtspunkt der dynamischen Begriffenerläuterungen aus gehen. Dabei wähle ich selbst den Weg der Kontrastierung: mit der Rehabilitierung der humanwissenschaftlichen Imagination. Diese Untersuchung vollzieht sich in den künstlichen Romantismus und auf den Ebenen des Deutschen Idealismus, insbesonder der Philosophie von Schelling. Daraus folgt, definierte T. Coleridge eine neue Imagination, freilich in einem anderen Zusammenhang als 'die 'philosophische Einbildungskraft'. Wichtig ist aber, zunächst hier die Tatsache, daβ in der späten Zeit der Technologie sie auf eine Illusion beruhen wird. Was Habermas in bezug auf 'die Erschöpfung utopischer Energien' formuliert, glit sodann auch für die Aufzehrung der Imagination von heute. Unter diesem Gesichtspunkt lassen sich die Überlegungen zur Pathologie der Moderne aufgreifen und fortführen: bzw. die Überlegungen nach dem 'philosophischen Monismus' und 'empirischen Konservativismus'. Habermas versucht das utopische Denken in der späten Industriegesellschaft zu retten, wo 'die Überzeugungskraft der arbeitsgesellschaftlichen Utopie' geschwunden ist. Er kommt hier zu der Feststellung, daβ man eine neue kommunikative Rationalität braucht. Vielmehr geht es um eine Frage, bzw. was für eine Kommunikation ist, die - gründlich gegenseitige Kenntnis vor ausgesetzt - sich tatsächlich auf Perspektivenwechsel einläβt? An diese Frage beantwortet Wellmer mit Habermas. Er glaubt feststellen zu können, daβ 'die industrielle Produktion an kommunikativ geklärte Zwecksetzungen zurückgebunden würde' und daβ 'Kunst und ästhetische Phantasie sich in die kommunikative Klärung gemeinsamer Zwecke verstricken lieβen'. Wellmer zieht daraus den Schluβ, daβ es das 'Medium einer aufgeklärten demokratischen Praxis' zu haben braucht. Allerdings bleibt unklar, wie dieses Programm methodisch zu realisieren ist. Der weiteren Begriffenerläuterung seiner abstrakten Behauptung werden wir noch eine besonderer Betrachtung über 'das Medium' widmen, um den neuen humanwissenschaflichen Diskurs auszubilden. ‘인문학의 위기’는 인문학의 성격에 들어 있는 항존적인 현상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제로 인문학적 위기를 정태적 개념이 아닌 역동적인 개념을 통해 그 해명을 시도한다. 그런데 ‘새로운 인문학적 담론 구상’의 핵심은 새로운 담론의 창출이 아니라, 전승된 담론 안에 있었던 상상력의 재흥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는 데에 놓여진다. 이러한 논의의 전개과정은 무엇보다 먼저 인문학과 예술과의 연관관계를 주목하면서, 특히 문예적 낭만주의와 이상주의 철학과의 연계를 살펴본다, 그리고 그러한 ‘철학적 상상력’이 현대에 진입하면서 리얼리즘으로 은폐된 환상을 강제화 하는 가상으로 되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일단 인문학적 상상력을 배태할 수 있는 유토피아적 사유의 소멸로 진단된다. 그러나 소멸된 유토피아적 사유는 단지 노동개념에 의해 바라본 유토피아에 대한 단편적 평가이다. 유토피아저 사유에 대한 단념은 일원론적 사유의 양식을 보편화한다. 그리고 실제에 있어서는 ‘경험적 보수주의’의 정서를 배태시키면서 결국 ‘직업적 근시안’의 모습을 지닌 ‘체제유지적 참여역할’에 충실한 인간관을 재생산시킨다. 그러한 부정성에의 극복은 하버마스 등을 위시한 비판이론에서 제시한 ‘의사소통적 합리성’에서 그 가능성을 볼 수 있으며, 또한 벨머가 제시한 ‘예술과 산업의 재접근’의 개념에서 그 구체적 전략을 시사받을 수 있다. 그러나 그가 제시한 예술과 산업이 ‘계몽된 민주적 실천이라는 매체’ 즉, ‘제3의 매개’는 매우 추상적으로 남아져 있고, 그러한 해제작업은 새로운 인문학적 담론의 구상에 담겨져야 할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 아시아의 연대 구축을 위한 ‘한국학’의 과제 : Orientalism과 Occidentalism을 넘어서

        전석환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논집 Vol.22 No.-

        This paper examines the norm implementation that the scholarly communities associated with Korean studies have to conceive. Consideration of the sort places its gist in the thesis that in order to establish Asian solidarity, Korean studies should come to light as an ‘autonomous scholarly community’. In that respect, the simple forms of Orientalism and Occidentalism are taken to be theoretical impediments to setting up the Asian solidarity. This paper, while exploring the fundamental problem linked to those two perspectives, focuses on laying out the clue as to how we can overcome the difficulties. This undertaking i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two ways. One is to perform the criss-crossing, mutual task in which some common valu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s added to their existing moral standards. The other is to let one take a non-faceted or multi-faceted viewpoint about their different cultures. That endeavor is intended to overcome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So it is our duty to perform the micro research task at the scholarly level. And on the basis of the community solidarity thus considered, we can successfully fulfil the task. To recap briefly, in order for us to understand the West in a proper and objective manner, we first need a right form of Asian solidarity; and it will constitute an important criterion for obtaining the normative attitude associated with Korean studies. 본 논문은 한국학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집단이 내면적으로 지녀야 할 규범에 대한 검토 작업이다. 그러한 논의 지평은 한국학이 아시아의 연대의식 구축을 위해서 독자적이고 자립적인 ‘자치적 학문공동체’의 모습으로 등장되어야 한다는 것에 설정된다. 이러한 논의 안에서 오리엔탈리즘이나 옥시덴탈리즘의 시각은‘아시아적 연대의식’구축의 저해 요소로 전제된다. 본 논문은 두 시각에 내재한 근본적 문제가 무엇인가를 검토하면서, 그 극복에 대한 단초를 시론적 형태로 제시하는 것에 그 초점을 맞춘다. 그러한 시도는 본 논문 안에서 두 가지의 방법에 의해 제시된다. 첫째는 동서의 기존 가치에 상호 간의 가치 덕목을 보충하는 교차적 상보작업이다. 둘째는 상호 전통문화에 대한 비(非)대응적, 혹은 다(多)대응적인 눈높이를 지니게 하는 일이다. 이러한 작업은 동·서양의 동등한 상호이해를 전제로 옥시덴탈리즘과 오리엔탈리즘에 들어있는 권력관계를 지양하는 것에 들어있다. 이러한 시도는 학문 차원의 미시적 연구가 수행할 의무이자, 그러한 의무 이행은 공동체적 연대에서만 가능하다. 서양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위해서 먼저 아시아에서의 올바른 연대가 필요하며, 이러한 작업은 한국학 탐구의 규범적 태도를 설정하는 기준으로까지 부상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정 과정 안에서 본 문학의 역할과 그 의미

        전석환 아시아교정포럼 2016 교정담론 Vol.10 No.2

        문학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정의는 각각의 문학의 정의에 따라 상이하다. 그런데 교정 과정 안에서 문학이 어떻게 적용되는가의 문제에 준해서 본다면 실천의 문제가 관건일 것이다. 즉 문학의 기능과 역할은 교정의 현장에서 인간을 얼마만큼이나 변화시킬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진행된다. 첫째, 문학의 여러 기능에 비추어 교정 교육과의 일반적인 관계를 논의한다. 그리고 그러한 논의를 통해 문학을 통한 교정 역할의 미래적 전망을 예비적으로 제시해 보기로 한다. 둘째, 문학을 통한 교정의 궁극적 목적이 ‘자기구원’이라고 상정하고, 그 개념을 ‘유토피아’를 향한 지양, 즉 ‘튜모스(thymos)의 회복’이라는 틀을 통해 해명하고 그 재구성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재소자들을 위한 문학 활용의 결과가 ‘자기구원’에 도달한다는 사실을 전제하고 그 실례를 제시하고,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논의의 대상으로 교도소 생활 중 문학의 실천을 통해 자기구원에 이른 프랑스 작가 장 주네와 한국 작가 이철용을 중요한 모델로 차용하였다. The definition about the function and role of literature is variant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of literature. However, a matter of practice will be crucial related to the matter, how the literature is applied within the process of corrections. That is, the function and role of literature depend on the fact that how much it can change humanbeings within the field of corrections. Based on such a premise, this study will be proceed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will be discussed the general relation of literature and corrections' education based on the various functions of literature. And it will be will suggested its future perspectives through the trial of new relation. Secondly, postulating that the ultimate goal of correction through the literature is 'self-salvation', that concept will be clarified and reconstructured through the frame of 'Aufheben towards Utopia', that is, 'the recovery of thymos.' Finally, it will be presented and examined the case of the 'self salvation'. In this study, up for such discussion will be French writer Jean Genêt, and Korean writer Lee, Cheol-yong who were achieved self-salvation through the practice of literature during their imprisonment.

      • KCI등재

        생태철학 : ‘주ㆍ객체 이원론’의 종언? ― 생태철학의 탈이성주의 경향에 대한 비판적 논의

        전석환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3 No.-

        현대의 심각한 환경과 생태문제는 생태철학을 새로운 철학적 문법학으로 부상시켰다. 그러한 철학의 의의는 인간의 자연지배에 대한 위기의식을 고취하는 것으로 집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 철학의 핵심은 인간과 자연, 정신과 물질, 마음과 몸 등의 주체와 객체의 이원론적 구조를 극복하는 시도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환경과 생태의 실제적 현실에 얼마나 구체적 실천으로 나타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러한 시도들은 목적론적 종교, 신비주의, 그리고 사변적 철학 등의 탈이성주의의 모습을 지닌 형이상학적 일원론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시도가 과연 주·객체의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세계관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 일까? 그렇다면 ‘방법적 합리주의’는 후기 형이상학적, 혹은 탈이성주의를 표방하는 현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이 아닐까? 물론 지금까지의 ‘이성의 책무’가 그 중심에 자리 잡아야 한다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성개념 그 자체는 전통적 개념을 넘어선 폭넓은 ‘합리성’의 개념으로 확장되어야만 한다. 즉 그것은 이성개념이 지닌 ‘사고’, ‘언어’, ‘인식’, ‘행위’ 안에 종속될 수 있는 ‘총괄개념이어야 만 한다. 하버마스에 의해 제시되는 의사소통적 합리성은 형이상학 없는 주·객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세계관의 단초를 보인다.물론 그러한 논의가 비판적 개방성을 담지할 수는 있지만, 이상적 담론상황을 구체적 생활의 형태로 부각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한계가 지적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과 생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즉 주·객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생태철학은 ‘의사소통적 합리성’에서처럼 탈이성주의를 표방해야 하지만 ‘방법적 합리주의’의 한계 안에서 그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점은 확실하다.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in modern society raise ecological philosophy to a new philosophical grammar. And the core of this philosophy is seemed to try the dual constru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such as man and nature, sprit and matter, mind and body, etc. But the realistic possibility of this kind of trial into the concrete practice from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erspectives can be questioned. It is because such trials aim at metaphysical monism figuring as Delogocentrism such as teleological religion, mysticism, and speculative philosophy, etc. However, can such a trial have contained an alternative world view overcoming a subjective-objective dualism? If so, it is asked that 'methodological rationalism' is still available to the modernity claiming to stand for the post metaphysical, or the delogocentrism. In fact it is fair that until now 'the task of reason' has been centered in our life, the concept of reason itself must expand wider concept of 'rationality' beyond the traditional one. That is, it should be a 'comprehensive concept' which are subordinated to the concept of reason endowed with 'speculation,' 'language,' 'cognition,' 'action.'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suggested by Harbermas shows a clue of the world view which can overcome the subjective-objective dualism. Although such a discourse is able to hold a critical openness, it can be pointed out the limitation that bringing ideal discourse into actual life would be the lack of strength. In spite of this, although ecological philosophy which can solve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that is, can overcome the subjective-objective dualism should claim to stand for delogocentrism as like in 'communicative rationality,' it is sure that the solution should be found within the limitation of 'methodological rat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