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어 어순에 대한 고찰

        장호득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4 東洋學 Vol.35 No.-

        중국어에서 수식관계를 나타내는 구조조사, 즉 기능표지는 후치사이다. 그러므로 어순도 ‘수식어+피수식어’의 형식이 된다. ‘的’, ‘地’, ‘得’ 모두 후치사이다. 중국어에서 지배관계를 나타내는 기능표지는 기본적으로 전치사이다. 그러므로 어순도 ‘술어+전치사+목적어’의 구조를 이룬다. 여기에서 중국어는 ‘MH’와 ‘VO’라는 경향성을 띠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현대 중국어 다품사어 ‘自+X’의 형태-통사적 특징

        장호득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3

        This paper aims to identify its morphosyntactic features by extracting, cataloging, classifying, and analyzing all of the multi-parties of speech vocabulary (the ‘zi+X’ structure) listed on “Xiàndài Hànyǔ Cídiǎn”(7th e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zì(自)+X’ structure could be recognized by reanalysis of its internal structure. Its identity is that it is a structure that generates and derives an covert distributed morphological compound. Second, the ‘zì(自)+X’ structure alone cannot specify each of the individual parts of speech in the multi-parties of speech vocabulary. Thus, the structure’s syntactic generation and derivation process requires a comprehensive look at the anaphora and coindexing of ‘zì(自)+X’, the features of noun, verb, adjective and adverb in ‘zì(自)+X’ to identify its identity. Third, in the process of syntactic derivation, adjectives are derived as AdvP without adverbial marker, or adverbs are merged with the adverbs with the adverbial marker ‘de(地)’ to be derived as AdvP. This phenomenon also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vert distributed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zì(自)+X’ structure. In conclusion, the ‘zì(自)+X’ structure of Modern Chinese does not reveal clear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criteria that classify parts of speech. However,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structure showed that it had the characteristics of an covert distributed morhpological synthetic compound word and not only stayed in the morphological dimension, but also connected to the syntactic layer. 본고는 『现代汉语词典』(第七版) 표제어의 2음절 ‘自+X’ 구조 가운데 2개 이상의 품사를 갖는 다품사어를전수조사(全數調査)하여 추출한 후 목록화하고 분류하여 그 형태 – 통사적 특징을 규명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自+X’는 내부 구조의 재분석을 통해 형태 – 통사적 특징을 알 수 있는데, 그 정체성은 내현적 분산형태의 통합합성어로 생성·도출된다. 둘째, 다품사어인 ‘自+X’ 구조는 그 형태만으로는 다품사 중의 개별 품사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그 구조의통사적 생성·도출 과정을 통해 ‘自+X’ 중 ‘自’의 재귀성과 조응성, ‘自+X’의 명사성, 동사성, 형용사성, 부사성등을 함께 종합적으로 살펴야 그 정체성을 규명하여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통사적 도출 과정에서 형용사가 격 표지의 도움 없이 부사어로 도출된다든지, 부사가 부사어격 표지‘地’와 함께 병합하여 다시 부사어로 도출되는 현상은 ‘自+X’ 구조의 내현적 분산형태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 중국어의 다품사어 ‘自+X’ 구조에서 품사를 구분 짓는 명확한 형태적·구조적 기준은 드러나지 않고있다. 그러나 내부 구조의 재분석을 통해 그것이 내현적 분산형태의 통합합성어 특징을 가지면서 형태론 차원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통사적 층차까지 연결되어 형태 – 통사적 면모를 함께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현대중국어 의문문에 쓰인 ‘呢’의 의미자질

        장호득 대한중국학회 2017 중국학 Vol.61 No.-

        This article covers an analysis of semantic features of marker ‘ne’ in interrogative sentences. of Modern Mandarin Chine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ne‘呢’ in interrogative sentences semantic features examples alternative questions (affirmative- negative questions) alternative [-interrogative] [+modality] 你(還是)看書呢,還是看電視呢,還是看電影呢? 到底紅的好還是藍的好呢? 你是跟他走呢,還是跟我走? choice (affirmation- negation) [-interrogative] [+modality] 這個他吃不吃? 她願意不願意呢? 你到底吃呢,還是不吃? wh-questions explanation [-interrogative] [+modality] 誰是你的漢語老師呢?你在吃什麼呢? 她怎麼還沒來呢?你爲什麼不吃呢? 結果會怎麼樣呢? yes-no questions yes-no [-interrogative] [+modality] *他是小張呢?[他是小張呢。他是小張嗎?] *她在看書呢?[他在看書呢。她在看書嗎?] comment questions comment [+interrogative] [+comment] 她呢? 昨天你說的那本書呢? 你說呢?[?你說嗎?] 你覺得呢?[?你覺得嗎?] 본고는 현대중국어의 의문문에 쓰인 ‘呢’의 의미자질을 아래와 같이 구명(究明)하였다. 의문문에 쓰인 ‘呢’ 의미자질예문선택 의문문(正反 의문문 포함) 擇一 [-疑問] [+樣態] 你(還是)看書呢,還是看電視呢,還是看電影呢? 到底紅的好還是藍的好呢? 你是跟他走呢,還是跟我走? 正反 [-疑問] [+樣態] 這個他吃不吃? 她願意不願意呢? 你到底吃呢,還是不吃? 설명 의문문(疑問詞 의문문) 說明 [-疑問] [+樣態] 誰是你的漢語老師呢?你在吃什麼呢? 她怎麼還沒來呢?你爲什麼不吃呢? 結果會怎麼樣呢? 판정 의문문(可否 의문문) 可否 [-疑問] [-樣態] *他是小張呢?[他是小張呢。他是小張嗎?] *她在看書呢?[他在看書呢。她在看書嗎?] 陳述 의문문陳述 [+疑問] [+陳述] 她呢? 昨天你說的那本書呢? 你說呢?[?你說嗎?] 你覺得呢?[?你覺得嗎?] 현대중국어의 의문문을 선택 의문문(정반 의문문 포함함.), 설명 의문문, 판정 의문문, 진술 의문문으로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면서 위 표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

        언어의 생성․도출 및 현대 중국어 통사 처리 과정

        장호득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8

        This paper was intended to present some new perspectives on the generation and derivation of language. To this end, I first reviewed the views of major prior studies that have had an important impact in linguistics, and then I identified what language generates and how it is deri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humans generate and derive the ‘spatiotemporal cosmos of human brains(space-time continuum of human brains)’ in language through primary symbols such as the ‘Auditory Symbols’. Secondly, the derivation of language is carried out by the method of ‘Parallel Processing’ of ‘component(constituent unit)’ and ‘roler(actor, player)’ based on the principle of ‘Binary System’ and ‘Retroduction’. Thirdly,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hinese syntactic structure, ‘世(time)’ and ‘界(space)’ of ‘Spatiotemporal Cosmos of Human Brain’ are implemented as Constituents with respectiv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y are derived by parallel processing with respective Role-player [predicate and subject & object]. As described above, this paper presents a general theory of language generation and derivation as a hypothesis. And then, I tried to reveal how this principle is realized as the core syntactic structure of modern Chinese. After this theorization process is established, detailed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special syntaic structure(e.g. ‘Ba-Structure’, ‘Bei-Structure’, ‘the constructions of inversion’ etc.) of modern Chinese will be left as a follow-up task of this study.

      • KCI등재

        『論語』 p계 부정사의 통사적 층위와 특징 연구

        장호득 한국중국언어학회 2009 중국언어연구 Vol.0 No.29

        本文主要探討『論語』p系否定詞在句法結構上的層次和特點。 『論語』p系否定詞主要有“不”、 “非”、 “弗”和“否”。 就p系否定詞的特點而論, “不”否定[+述詞性]語義特徵, 即否定“述語”和與“述語”具有直接關係的非論元(non-argument), 而“非”、 “弗”和“否”否定“論元(argument)”本身或“論元(argument)”和“論元(argument)”的關係。 就p系否定詞在句法結構上的層次而論, p系否定詞位於具有[+述詞性]語義特徵的成分上面, 不能位於INFL(屈折成分)或COMP(標句語)位置。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현대중국어 시간 개념의 범주화와 통사적 도출 연구

        장호득 한국중문학회 2013 中國文學硏究 Vol.0 No.50

        時間可分爲“對時間”, “相對時間”, “客觀時間”, “主觀時間”, 其中“客觀時間”可適用於我們的語言生活? 此“客觀時間”再分爲“時點”和“時段”兩個下範疇. 現代漢語在生成句法結構時, 我們假設“集合”和“元素”兩個語言範疇. “時點”和“時段”顯現爲“集合”語言範疇時, 其“集合”語言範疇出現在述語前邊而推導出狀語; “時段”不能顯現爲“元素”語言範疇, 只有“時點”才能顯現爲“元素”語言範疇, 此時“元素”語言範疇出現在述語後邊而推導出補語.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