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판사 조직구성원의 갈등관리행동이 갈등 후의 결과 및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Jang Hae-Soon),한주리(Han Ju-Lie),이인희(Lee In-Hee) 한국출판학회 2007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2

        본 연구는 출판사 조직구성원의 갈등관리행동이 갈등 후의 결과만족도와 관계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갈등관리행동은 조직내 대인간 갈등상황에서 참여자가 대인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선택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통합, 타협, 지배, 복종, 회피스타일로 나눌 수 있다. 관계만족도는 상호간에 느끼는 신뢰감, 관계만족, 인정, 호의, 의견개진을 의미한다. 분석결과 갈등관리행동은 갈등 후의 관계만족도나 갈등결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통합, 타협, 복종스타일을 많이 사용하는 출판인들은 적게 사용하는 출판인들보다 신뢰감, 관계만족, 인정, 의견개진, 호의와 같은 관계만족도를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반면에 지배스타일을 많이 사용하는 출판인들은 의견개진에서만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회피스타일을 적게 사용하는 출판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출판인들보다 신뢰감, 인정, 의견개진, 호의에 대한 만족감을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통합전략, 타협전략, 복종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출판인들이 갈등 후의 결과에 대체로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shing industry followers" conflict resolution styles and result & relation satisfaction after the conflicts. Conflict resolution style is for selecting way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manage the interpersonal conflicts effectively. It includes collaborating, compromising, competing, accommodating, and avoiding style. Relational satisfaction means trust, interaction satisfaction, recognition, kindness, and expressions of opinion. Results showed that conflict resolution styles affect the resul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fter the conflicts. In detail, the more collaborating, compromising, accommodating styles were, the more became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such as trust, relation satisfaction, favor and expressions of opinion. Whereas, the more competing style was, the more became the expression of opinion was. The fewer avoiding style was, the more became trust, recognition, expression of opinion and favor were. Lastly, the more collaborating, compromising, accommodating style were, the more became the result satisfaction after the conflicts was.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Hae-Soon Jang),이만제(Man-J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밝혀내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서울, 경상, 전북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39부를 상관관계분석, 다변인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한 결과들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해 보면 첫째,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피치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효능감의 요인 중 자신감이 스피치 불안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내적 귀인성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피치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반면 타인 귀인성향, 우연 귀인성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피치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ttributional disposition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s were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39 college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level group in th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have lower communication apprehension scores than the lower level group. Particularly, it is found that self-confidence in self-efficacy variables has the greatest effect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Second, college students with high internal attributional disposition tend to feel less communication apprehension, while college students with high others attributional disposition and accidental attributional disposition tend to have higher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s of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ttributional disposition on communication apprehension, self-efficacy i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불안감 인식

        장해순(Jang, Hae Soon),이만제(Lee, Man J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1

        본 논문은 대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라 말하기, 듣기, 쓰기 불안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첫째, 확산형의 학습자가 수렴형, 조절형보다 말하기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각적 학습자가 직관적 학습자보다, 숙고하는 학습자가 적극적 학습자보다 집단상황, 회의상황, 대화상황, 스피치상황에서의 불안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유형에 따라 듣기 불안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보를 구체적으로 지각하고 반영적으로 처리하는 확산형의 학습자가 동화형, 수렴형, 조절형보다 듣기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라 쓰기 불안감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형이 다른 유형의 학습자보다 쓰기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확산형과 동화형 학습자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tween learning styles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oral communication anxiety, listening anxiety, and writing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Followings were the results: First, Diverger showed higher level of or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an Converger and Accommodator. Sensing students demonstrated higher level of or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an Intuitive students and Reflective students shown higher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an Active students.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tyle by listening axiety. Diverger showed higher level of listening anxiety than Assimilator, Converger, and Accommodator.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tyle by writing axiety. Diverger showed higher level of writing anxiety than Assimilator, Converger and Accommodato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부정적 평가 두려움과 스피치 불안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장해순 ( Hae Soon Jang ),이만제 ( Man Je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스피치 불안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상도, 전라도 소재의 대학생 241명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을수록 자기격려 수준은 낮고 스피치 불안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격려 수준이 높을수록 스피치 불안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격려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스피치 불안감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격려의 하위요인인 인지, 정서, 행동적 자기격려도 모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스피치 불안감을 부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독립변인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스피치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매개변인인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자기격려 변인을 투입했을 때 그 영향의 정도가 감소하는 간접 효과를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diation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peech anxiety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correlation of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peech anxiety is observed. The significant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ncouragement and speech anxiety is found, while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ncouragement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s found. Second, the result indicates that self-encouragement partly mediates speech anxiety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ird, mediation effects of cognition self-encouragement, emotion self-encouragement and behavior self-encouragement as sub variables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of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peech anxiety are examin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inds very significant mediation variables, self-encouragement to reduce the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speech anxiety in Korea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노출과 공감능력이 스트레스 지각정도 및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 ( Hae Soon Jang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자아노출과 공감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정도 및 대처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첫째, 자아노출의 양이 많으면서 자신을 긍정적, 의도적, 정직하게 노출하는 대학생일수록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노출의 양이 많으면서 자신을 긍정적, 의도적이며 정직하고 깊이 있게 노출하는 대학생일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지향적 전략, 사회적 지지추구 전략 등 적극적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능력 중 관점 취하기, 공감적 관심 능력은 높지만 개인적 고통 능력이 낮은 대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감능력 중 관점취하기 능력이 높은 대학생 일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지향적 대처, 사회적 지지 대처의 적극적 대처전략을 더 많이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개인적 고통 능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소망적 사고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empathy on stress percep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who have more self-disclosure amount and have positiveness, intent, and honesty in self-disclosure variables tend to recognize low stress. 2. The students who have more self-disclosure amount and have positiveness, intent, honesty and depth in self-disclosure variables tend to use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ive coping in stress coping strategy. 3. The students who have high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empathic concern ability and low personal distress ability in empathy variables tend to recognize low stress. 4. The students who have high perspective taking ability in empathy variables tend to recognize low stress tend to use problem-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ive coping. But the students who have high fantasy,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in empathy variables tend to use wishful coping in stress coping strategy.

      • KCI등재

        가족과의 대화방식에 따른 중학생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성향

        장해순 ( Hae Soon Jang ),이만제 ( Man Je Lee ) 한국화법학회 2012 화법연구 Vol.0 No.21

        이 연구는 가족간의 대화방식에 따른 중학생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성향의 차이를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족 대화방식에 따른 감성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원형, 합의형 가족의 중학생들이 보호형, 방임형보다 감정인식, 감정표현, 감정이입, 감정조절, 감정활용 등의 감성지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대화방식에 따른 대인관계성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지배적-우월적 성향은 합의형, 다원형, 보호형 가족의 중학생들이 방임형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적-책임감적 성향, 동정적-수용적 성향, 사교적-우호적 성향, 경쟁적-공격적 성향, 과시적-자기도취적 성향은 다원형과 합의형의 가족이 보호형과 방임형의 가족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반항적-불신적 성향은 가족간의 대화방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according to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students who had pluralistic and consensual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show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such as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pathy,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application than those students who had protective and laissez-fair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according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Second, those students who had pluralistic and protectiv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show higher dominant-ascendant disposition. And those students who had pluralistic consensual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show independent-responsible, sympathetic-acceptable, sociable-friendly, competive-aggressive, and ostentatious-self-absorption disposition according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in the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 KCI등재

        출판콘텐츠 산업 조직구성원의 체면, 자기제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갈등관리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Hae-soon Jang),한주리(Julie Han) 한국출판학회 2012 한국출판학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체면, 자기제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출판콘텐츠산업 조직구성원의 갈등관리스타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자기제시는 타인의식 자기제시, 자기의식 자기제시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갈등관리행동은 조직 내 대인간 갈등상황에서 참여자가 대인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선택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통합, 타협, 지배, 순응, 회피스타일로 나눌 수 있다. 분석결과 체면, 자기제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갈등관리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체면이 높을수록 회피, 순응, 통합스타일을 사용하였고, 자기제시가 높을수록 순응, 통합, 회피스타일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지배스타일도 부분적으로 구사하였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많을수록 회피, 순응스타일을 사용하였다. 또한 체면은 회피스타일을, 자기제시는 통합, 순응스타일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지배스타일을 각각 가장 잘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논문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shing industry followers' chemyon(social face), self presentation, and fear of the negative evaluation on their conflict resolution style. As for the self presentation, it was divided into 'others-oriented self presentation' and 'me-oriented self presentation.' Conflict resolution style is for selecting way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manage the interpersonal conflicts effectively. It includes collaborating, compromising, competing, accommodating, and avoiding style. Results showed that chemyon(social face), self presentation, and fear of the negative evaluation affect conflict resolution style. In detail, the more chemyon was, the more became avoiding, obliging, and integrating styles were. The more self presentation was, the more became obliging, integrating, and avoiding styles were. The mor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the more became avoiding and obliging styles were. Chemyon explained avoiding style well, self presentation affected integrating and obliging style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predicted dominating style. Last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