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소통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만족, 학습 효과, 학교 생활 적응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장하용(Jang Ha Yong),박지희(Park Ji Hee)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음악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인지하는 교사의 소통 유형을 알아본 다음, 어떤 소통 유형이 학생들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그에 따라 학습 효과와 학교생활 적응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예술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체 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소통 유형과 학습 효과 개념은 음악 교육이라는 특수한 성격이 반영될 때 일반 교육 현장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교사 소통 유형의 경우, 경청태도와 의사전달 태도에 따라 4개가 아닌 ‘긍정적 소통(수용적 경청 및 촉구적 의사 전달)’과 ‘부정적 소통(비수용적 경청 및 명령적 의사 전달)’의 2개 유형으로 대별되고 있었다. 학습 효과도 예상과는 달리 인지, 정서, 행동의 3개 차원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았으며, 특히 정서적 차원의 학습 효과는 행동적 차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교사의 소통 유형에 대한 인식에 따라 학생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학습 효과, 확교생활 적응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교사가 수용적인 경청과 촉구적인 의사전달을 한다고 인지하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교사와의 소통에 있어 더 만족하고 있었으며, 이런 결과는 강의의 성격과 상관없이 존재하고 있었다. 학습 효과의 경우,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에서 교사가 경청하는 자세와 더불어 덜 명령적으로 의사를 전달할 때 전반적인 학습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교사와의 소통에 만족할수록 학습 효과가 높으며, 특히 인지, 행동적인 측면보다는 정서적인 측면의 학습 효과가 두드러지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반면 학교생활 적응도에서는 강의의 성격에 따라서 엇갈리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음악 교육에서 교사의 소통 유형과 학습효과를 일반 교육 현장과는 다르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communication styles, communication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 and school adoption.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se variables was carried out on 216 music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music school teacher’s communication styles and learning outcomes were different to the ones of general education schools. Teacher’s communication style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positive and negative communication, contrasting to the four types founded in the previous studies about the general education schools. In the same manner, learning outcome was differentiated into two levels, cognitive and affective/behavioral ones. Students reported higher degree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 and school adoption when the teachers’ communication style was positive types, e. g. receptive listening and encouraging opinion expression,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lectures. Considering the reality of Korean schools’ authorita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se results impli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open-minded and positive communication style.

      • KCI등재

        조직원의 성격유형에 따른 갈등관리방식의 차이가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하용(Ha-Yong Jang),김연주(Youn-Jo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2 No.2

        이 논문은 조직원의 성격유형에 따른 갈등관리방식의 차이와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조직원들의 다양한 개인적 속성(성별, 경력, 직위, 조직규모 등)이 이런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고 진전된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원의 성격유형 중에서 사고표명도만이 갈등관리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 차원보다는 의견 표명의 차원, 곧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명하는지의 여부가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변인이었다. 조직원의 개인적 속성 중에서는 직위와 성별 차이가 갈등관리방식의 선호에 영양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원의 개인적 속성보다는 갈등관리방식 차이였다. 조직커뮤니케이션을 업무와 관계의 차원으로 나누었을 때, 관계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는 문제해결, 타협의 갈등관리방식이, 업무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는 이들 외에 비난과 강요 방식이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 중에서 가장 큰 관계가 있는 것은 문제해결의 갈등관리방식이었다. 갈등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조직원일수록 관계와 업무의 구분과 상관없이 조직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이런 연구결과는 조직원의 성격유형을 파악하는 것뿐 아니라, 이에 따른 갈등관리 스타일과 업무 성격의 일치 여부가 조직성과 관리에서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분석 자료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which had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OC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members’ personality types and conflict resolution styles. A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social style profile and OCS scale was carried out with the various organizational memb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ways to resolve the conflict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The members who tended to assert their opinions with confidence had a high level of OCS.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OCS revealed that among the conflict resolution styles, the problem solving style and compromise style were associated with the OCS-social relationship. In contrast, the blaming style and imposing style were related with the degree of OCS-task. The members’ individualistic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status and sex were important factors in explaining the differences of conflict resolution styles and the OC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tching of conflict resolution styles with the members’ task characteristics is a crucial factor in the production of effective organizational outcom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reported along with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뉴스의 속성과 매체 성격에 따른 언론사의 현실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장하용(Jang Ha-Yong) 한국언론학회 2011 한국언론학보 Vol.55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istence of perceptual gaps between news media and audiences by analyzing the data of ‘10 most important domestic news of the year’. The year 2009 data including 19 news media and 3 audience reports were selected for the actual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10 most important news’ were centered into the ‘deviating events’. The judgements of news values of news media were also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ir traits differences. The metropolitan news companie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e developing issue news rather than spot events news, contrasting to the regional news companies. The degree of shared perceptions of reality was high among the news companies, but the one between news media and audiences was relatively low. This result showed an existence of perceptual gap between news media and audiences. Although the data themselves used in this study can be assumed with no direct relationships with the news media’s tra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ointed out that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and evaluate the journalistic roles of the Korean news media based on the selection of ‘10 most important news of the year’. This study con

      • KCI등재

        수용자의 인지정교화 가능성 수준이 프레이밍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하용(Ha-Yong Jang),제방훈(Bang-Hoon J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용자의 인지정교화 가능성과 뉴스 프레임 효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프레임과 메시지 특성이 적용된 기사를 수용자에게 노출시키는 실험을 통해서 뉴스 프레임 효과가 수용자의 인지정교화 수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수용자의 이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을수록 뉴스 프레임에 대한 동조화 정도가 높은 반면, 수용자가 비평적으로 사고하는 성향이 강할수록 뉴스 프레임에 대한 동조화는 적거나 역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수용자 요인 중에서 비평적 사고를 즐기는 성향은 높은 수준의 인지정교화를 결정짓는 요인이긴 하지만, 반드시 프레이밍 효과로까지 이어지는 요인은 아니었다. 관여도가 낮은 이슈일수록 수용자들은 주변경로로 정보를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메시지 특성 변인으로 논증과 단서의 양이 많을수록 프레임에 대한 동조화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증과 단서의 양이 적을수록 수용자들은 주변경로를 통해 정보를 처리하는 경우가 많았다. 관여도의 경우, 고관여 이슈에서는 단서보다 논증의 양에 따라서 프레이밍 효과가 결정되는 반면, 저관여 이슈에서는 단서의 양에 따라서 프레이밍의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Nevertheless reported the same events, news audience have diverse sense of sights and opinions about the events because of the different news frames. This notion was repeatedly evi nnced by several framing studies. This pa wa tried to analyse an interacting relationship between viewer’s level of elaboration likelihood and the effects of the news frames. This pa wa sfrrted with a discussion about the framing effects, then compared them with Elaboration Likelihood Ms notraming effely. And this study conducted an ex waiment selecting indivi ual dispngitions (involvement and cognitive complexity) and message characteristics(number of cues and arguments) as intermediating variables on the message framing effects.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more involvement about the issues the viewers had, the more their thoughts coincided with the issue’s frame. On the other hand, when the viewers had low involvement about the issues and cognitive complexity, the framing effects were not found because they processed the messages through the peripheral route. Although the viewers’ cognitive complexity was a factor in choosing the central route, but it wa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framing effect. Both the number of cues and argument diversity in the messages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framing effects.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매체 간 경쟁의 심화에 따른 안내적 저널리즘의 약화

        장하용(Ha-Yong J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6 No.4

        경쟁의 심화와 그에 따른 전통적 언론매체의 경영악화가 상업적 저널리즘을 초래한다는 주장은 계속되지만, 그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최근의 미디어환경 변화가 언론의 역할, 곧 안내적 저널리즘 기능의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앙종합일간지의 1면 기사와 지상파방송의 주요 뉴스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근에 올수록 언론사 간 현실 인식의 공유는 분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언론사들이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는 정도가 높아지고, 기사 주제의 다양성도 증가하고 있었다. 보도에서 특정 주제나 사건의 ‘독식과 배제’는 완화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언론사의 경영상태는 보도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경영상태가 악화된 언론사일수록 타매체와 동일한 기사와 주제를 싣는 정도가 높으며, 결과적으로 독자적인 목소리를 통한 차별화와 다양성이 줄어들었다. 경영상태가 악화된 매체일수록 연성주제 기사를 게재하는 정도가 높았다. 경영상황이 악화된 언론사들은 이슈보도에 중점을 두지만, 독자적으로 사회적 의제를 제기한 ‘독립적 이슈기사’의 양은 전체의 6.9%에 불과했다. 결국 중앙종합일간지와 지상파방송은 한국에서 여전히 여론형성의 강력한 기제로 작용하고 있지만, 경영상태의 악화, 특히 신문사들의 경영악화는 안내적 저널리즘 기능의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주류 언론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있다. Although many researchers propose that market-driven journalism is incurred by the worsening of financial situation as a result of intensifying competition in mass media industry, few studies investigated this claim with actual news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headline news of eight major newspapers and two terrestrial TV companies to find the weakening of ‘orientating-journalism’ function of Korean news medi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uplication rate of news items among ten news companies were decreasing, and the range of news subjects were broadened into diverse topics during last ten years.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tendency of monopolization of a certain events or issues was weakening in news reporting. The financial situation of news companies is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the change of news reporting. The companies with more worse financial situation have higher duplication rate of news topics along as the more amount of soft news items, leading to the gradual deterioration of their own voices in reporting. The rate of ‘independent issue report’ was also less than seven precent, thus their reporting is evaluated as having many limitations. In sum, the major newspapers and network broadcasting companies are still exerting strong influences in agenda-setting, but they(mostly newspapers) are suffering from the financial problems, resulting the deterioration of performing orientation journalism function. This study concluded with remarks about the role of major news media in current changing situation.

      • KCI등재후보

        공영방송 PD와 시청자간의 방송 공익성에 대한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장하용(Jang, Ha Yong),조명희(Cho, Myung-Hee)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9 No.2

        이 연구 는 제작 PD들이 방송 공익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방송 공익성에 대한 PD의 인식이 시청자들과 얼마나 다르며, 이런 인식적 괴리에 어떤 요인이 개입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KBS의 제작 PD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해서 방송 공익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추출한 다음,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에 대한 제작 PD과 시청자들의 평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규범적 공익성에 대한 PD와 시청자의 인식은 상당히 유사한 편이었다. PD와 시청자 모두 방송 공익성을 구성하는 요소로 ‘정치적 독립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고 있었다. 그러나 방송 공익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작 현장에서 필요한 요인들을 의미하는 ‘실천적 방송 공익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PD와 시청자 간에 유사성과 괴리가 함께 존재하는 모습을 보 이고 있었다. PD의 담당 장르와 경력은 방송 공익성에 대한 인식과 시청자와의 괴리 모두에게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요인이었다. 경력이 짧은 드라마, 예능 PD와 오랜 경력의 시사교양 PD는 방송 공익성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며, 시청자와의 인식적 괴리에서도 동일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방송 공익성에 대한 PD들의 인식이 서로 다르며, 동시에 시청자들과도 상당한 인식적 괴리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방송사는 공익성의 개념과 구현 방법에 대한 내부적인 조정과 합의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외부적으로는 수용자가 생각하는 공영방송의 가치를 파악해서 제작진과 수용자 간의 인식 차이를 좁히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Korean public broadcasting company(cf.KBS) producers’ perception of public interest.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i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normative public interest’ and ‘on-site public interest’. This study also looks into the existence of gaps on the perception of public interest between producers and viewers, and the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thiese perceptual gaps. An indepth interview is conducted to find the constructing components of ‘on-site public interest’,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 is carried out with the KBS producers and viewers. The results shows that the perceptions of ‘normative public interest’ among producers and viewers are quite similar, bu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erception of ‘onsite public interest’ are found. They both recognize that the important elements of public interest is political independence and autonomy in the production process, but they differ in the aspect of program contents, i. e. the producers pay more attention to the protection of minorities but the viewers emphasize more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benefits. The producer’s career length and genre in charge are bot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erception of public interest. The producers who had short careers and in charge of drama and entertainment programs are different with other producers in the perception of ‘on-site public interes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exist perceptual gaps among the producers and between viewers and the producers as well. These results imply the possible conflicts on the definition and its realization of public interest. The Korean public broadcasting company therefore needs to conciliate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among its producers, and makes various efforts to narrow the perceptual gaps between producers and viewers.

      • KCI등재

        방송 프로그램 제작 PD의 "방송 공익성" 인식에 관한 연구: 지상파 방송 3사를 중심으로

        장하용 ( Ha Yong Jang ),조명희 ( Myung Hee Joe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1 언론과학연구 Vol.11 No.3

        방송환경이 다매체 다채널 시대로 변화하면서 방송의 공익성 개념도 변하고 있다. 그러나 방송 공익성에 관한 기존의 논의에는 프로그램 제작자의 입장에서 공익성을 탐색하는 연구들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지상파 방송 3사의 제작 PD들이 방송의 공익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KBS, MBC, SBS 등 방송 3사의 제작 PD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했으며, 제작 PD로서 방송의 공익성을 무엇으로 생각하고 어떻게 구현하고자 노력하는지, 걸림돌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PD들은 소수자 보호가 공익성의 기본이며, 오락 PD들을 중심으로 공익 프로그램의 범위가 확장되었고, 프로그램 소재로 보편적 가치보다는 사적 가치를 중요시하고 있다. 또한 PD들은 공익성 구현 방법의 일환으로 장르의 융합 및 구성의 연성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시청률과 공익성을 대립이 아닌 조화의 관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공익성의 실현을 위해 제작과 편성의 자율성 보장, 편성 철학과 방송사의 정체성 확립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방송환경의 변화에 적합한 방송 공익성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As the broadcasting industries are shifting to the multi-media and channels situation, the definition of ``public interest`` in broadcasting is also chang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from 19 producers of various genres in KBS, MBC, SBS,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unique(if any) perceptions of ``public interest`` of producers in Korean network broadcasting companies, and their efforts to embody them in the program production. The result showed, the producers pointed out the protection of minorities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public interest. They also indicated that the boundaries of program genres are becoming to be blurred, in result the ``public interest`` in broadcasting can be now achieved in all programs genres(especially entertainment). The producers thought that audience rating can be standing together with the public interest, if the programs are able to provide the valuable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to audiences. This study proposed that broadcasting companies need to extend the scope of producers` self-regulation both in the production and the programing in order to realize the public interest which fits in with the current changing situation in broadcasting industry. It is emphasized that the social consensus about the proper concept of public interest is important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