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민불교에서의 효 의미 찾기 - <회심곡>을 중심으로 -

        장정태 ( Jang¸ Jeong Tae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021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7 No.-

        <회심곡>은 조선시대 승려 휴정1)이 지은 불교 가사로 232구로 구성되어 있다. 16세기 말경에 지은 것을 1704년(숙종 30) 명간이 엮어 1776년(영조 52) 해인사에서 펴낸 목판본 『권선염불문』에 실려 전한다. 순 한글로 『회심가곡』이라고 하여 나옹화상이 지은 『서왕가』와 함께 기록되어 있다. 내용은 부모에게 효도하고, 탐욕심(貪慾心)을 버리며, 착한 일을 많이 하고, 염불하여 본심(本心)을 바르게 닦아 극락에 가서 태평가(太平歌)를 부르자는 권념송불(勸念頌佛) 232구의 가사이다. <회심곡>은 문전염불을 하는 문승들이나 절 걸림을 위한 걸립승(乞粒僧), 동량승(棟梁僧)들에 의해서 많이 불려졌으며 모연승(募緣僧)이나 모연(募緣)패와 같은 유희(遊戲)집단에 의해 불렸다. <회심곡>은 부르는 주체에 따라 <화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와 같은 구분은 세속화된 일반사회에서 불리는 것과 구분하기 위해 달리 부르기 시작하면서 붙인 이름이다. 현재 박송암(朴松岩)류의 불교 <회심곡>과 경기 민요의 안비취(安翡翠)로 나뉘어 전승되고 있다. 우리가 쉽게 듣고 알고 있는 <회심곡>은 안비취에 의해 보급된 <회심곡>일 가능성이 높다. <회심곡>은 불교가사이면서도 유교, 도교, 무속 외에 민속적 요소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특징을 가지는데 이것은 숭유억불정책을 써서 민간에서는 무속이나 민속적 요소가 만연했던 조선 시대에 순수 불교적 요소가 그대로 파급되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므로 불교 자체를 수용하면서도 당시의 사상적 바탕을 외면하지 못하고 습합을 꾀한 데서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 도입부에 유교의 충효사상을 삽입하였지만 결국 <회심곡>을 향유한 계층은 서민들이다. 주로 죽음의 문제를 생각하면서 불교적인 교리를 통해 인생의 무상을 달래려 했다. 이와 같은 시도는 종교사상과 함께 서민들의 삶을 위로해주는 민중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회심곡>은 다른 사상의 전파를 위한 것이 아니라 오로지 불교사상을 포교하기 위한 음악이었다는 사실이다. In our society, the word "people" was always used in the 1980s. Wonhyo's Buddhist Pavilion was found in the Jeongto Faith with the People. In this paper, the traditional form of faith called folk belief and folk Buddhism is described as "people's Buddhism". However, the research results of existing researchers were expressed in the original form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respect them. was recognized as a way of enlightening the original effect. The name of the Buddhist opposition group was also popular Buddhism. Since then, as the awareness of the era of common people Buddhism sprouted, many monks, including Wonhyo, alternatives and plainclothes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began to be recognized as advocates of common people Buddhism. They must have been well aware of the religious needs and suffering of ordinary people while living with ordinary people. Most of them lived in the village or downtown area, farming without listening to their wives and daughters, describing the humanities of Buddhism in the same language as ordinary people. However, researchers also perceive Buddhism as a way of surviving a group of monks who were excluded from the authoritative order. Monk groups accept folk beliefs as a means of missionary work through expedient means. However, Buddhism is not an advanced academic religion, but one that is understood by ordinary people. It can become a common people Protestant or a common people Catholic when it meets Protestantism. Some are Buddhist figures that may be decried as a belief of ups and downs through the inclusion of some folk elements. The term "ordinary people" in Buddhism refers to ordinary people who do not have official duties and do not have social privileges over aristocrats, etc. Buddhism is literally a form of Buddhism in which priests approach the common people. He is a priest who approaches and listens to them, not a wait. And the common people are Buddhism on their own terms. It can be a belief of ups and downs and blind faith. As long as this form of faith exists, Buddhism and religion of the common people can have vitality. Filial piety is the most basic ethics in our society. So filial piety is also called the root of white blood and virtue. This symbolizes the image of an old man carrying his son on his back when he sees the letter "hyo." In other words, serving filial parents (old and decrepit) is the basis of all service. The idea that filial piety is encouraged in traditional society but Buddhism is not tolerated has been kept as a social unwritten rule. But in modern society, it is nothing but a personal matter. They endure all sacrifices for their children and are stingy about their parents. It does not appear to be a problem at home, but also in social welfare policies. < Hoesimgok > is a Buddhist monk of the Joseon Dynasty, named Hoesimgok (1250-1604) was a Buddhist monk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and King Seonjo. After losing both parents at the age of ten, he came to Seoul with the help of Pastor An Ju and failed to enter Jinsa-si. He was on his way to Jirisan Mountain.Jeong Ji-eun, a study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Hwachung," followed Pastor An Ju of Dongguk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Arts, 1998 p.23 and studied at Banjae, so he went to Jirisan Mountain with some of his classmates to study scriptures and visited Monk (1485-1571).(Kim Seung-dong Pyeonjeo, "Buddhist Temple", "National History", 2011 and p.569), and Joseon Buddhist monk Cheongheo Jeong's annex (Unheo Yongha, "Buddhist Temple", Dongguk Station Gyeongwon, 1985 and p.p.974-975) It is composed of 232 Buddhist lyrics. Built around the end of the 16th century, it is published in the "Gwonseonyeombulmunmunmunmunmun" published by Haeinsa Temple in 1776 (the 52nd year of King Yeongjo's reign) in 1704 (the 30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It is recorded in pure Korean along with "Seowangga" composed by Naong Hwa-sang, called "Hoesimgagok." The lyrics are about 232 verses of Songbul, a song about filial piety to parents, abandoning greed, doing many good things, and cleaning up one's true feelings properly to go to heaven and sing taepyeong. < Hoesimgok > was often sung by Buddhist monks, geolipseungs for Buddhist monks, and Dongryangseungs for Buddhist temples, and was sung by entertainment groups such as Mo yeonseung and Mo yeonpae. < Hwachimgok > is also called < Hwachung >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song. This distinction was given as it began to be called differently from what is called in secularized general society. Currently, it is divided into Park Songamryu's Buddhist "Hoesimgok" and Gyeonggi folklore's taste. It is highly likely that "Goesimgok," which we easily hear and know, is "Goesimgok," which was distributed by Anbi-chwi. < Hoesimgok > is a Buddhist monk and has a mixture of folk elements other than Confucianism, Taoism, and shamanism,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it was not easy for pure Buddhist elements to spread in the private sector. Although Confucianism was inserted into the introduction, the people who enjoyed "Hoesimgok" were ordinary people. Mostly considering the issue of death, he tried to appease the freeness of life through Buddhist doctrines. Such attempts include both religious ideas and popularity that comfort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Bu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Hoesimgok was not just music to spread other ideas, but to preach Buddhist idea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근대민족종교 창교자들의 예언비결 고찰

        장정태 ( Jeong Tae J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1 No.-

        한국비결 신행에는 무속과 같은 접신경험(接神經驗), 관상과 사주와 풍수지리와 같은 전래의 예언행술(豫言行術)에서부터 현대의 심령과학(心靈科學)에 이르는 수없이 많은 종류가 있다. 이처럼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모두 두 가지 점에서 일치점을 보인다. 하나는 인간의 운명이 태초부터 정해진 원칙에 따라 움직인다는 신념이다. 예를 들어 개인의 운명, 왕조의 흥망, 그리고 천체와 자연의 변화 모두가 이 태조적으로부터 있어 온 우주규범(宇宙規範)이라는 미리 만들어진 청사진에 의하여 결정된다. 다른 하나는 인간과 사회와 자연이 변덕스러운 귀신의 의지에 따라 결정된다는 신념이다. 이에 비해 예언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건에 대하여 그 결과가 어떠한 것인지를 미리 나타내는 것을 도참이라 하고, 이것을 이야기하는 것을 예언이라고 한다. 도참이나 예언 모두 장래에 일어날 사건을 미리 지시하는 것으로 미리 출현한 사실을 기술하는 것과 같이 명확하게 표현하는 일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대개는 때와 장소, 사람과의 관계에 대하여 어느 정도 불명료함을 가미하지 않는 것이 없는 듯하다. 예언비결의 기술(표현)방법은 각종 선화적 은어와 우의적인 문장을 다분히 사용하고 있다. 우의적 표현법은 이 분야에 능통한 사람만이 비로소 해석이 가능한 것으로 백제의 멸망을 암시하는 듯한 "백제는 둥근 달이요 신라는 초승달과 같다""그때 산신이 춤을 추어올리며 노래하기를, 지리다도파(智理多都波)라고 하였는데, 도파(都波)"란 신라 제49대 헌강왕이 술과 여색(女色)을 즐기다. 나라가 망한다는 산신과 지신의 암시다. 또 신라 51대 진성여왕 재위시 "나무망국 찰니나제 판니판니소판니 우우삼아간 부이사파가(南無亡國 刹尼那帝 判尼判尼蘇判尼 于于三阿干 鳧伊娑婆訶)"에서 보듯 상당한 공부를 하지 않고는 해석이 불가능한 것이다. 신종교의 창교자들은 깨달음의 눈으로 역사를 관조하고 새 세상을 건설하면서 앞으로 달라지거나 변화되어야 할 것을 예언 비결로 내놓고 있다. 이들 창교자들의 활동 시대가 대략 조선왕조 말엽에서 광복을 전후하기 때문에 연구 중에는 광복에 관한 것이 가장 많고, 다음 여성상위시대의 도래를 말하고 있으며, 더불어 이 나라가 세계의 부모국이요 스승 국이 될 것을 예견하는 세계중심으로써 대한민국을 말하고 있다. 또한 종교적으로는 자신들의 종교의 교세가 크게 홍성 함을 기대하고 있으나 현실적인 교세 부분만 살펴본다면 종명유지 수준에 머물고 있는 등 현재로는 크게 번성했다고 보는 종교단체들도 존재하고 있다. 아울러 막연히 하늘의 도수가 그렇다는 말로 자신들의 주장을 합리화 할뿐 논리적인 근거가 빈약한 경우도 있다. 예언 비결에 반드시 뒤따르는 것은 덕과 정심이다. 새 역사와 새 회상의 조판은 바로 덕과 바른 마음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까닭이다. 더불어 창교자들은 후천을 말하면서도 그것은 선천과의 단절이 아니라 새롭게 이어짐을 밝히며, 유불선의 합일도 시대의 변천에 따라 운도가 다했을 뿐이지 법리에 대한 존중함을 잃지 않고 있어 세계보편종교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Korean occultism includes numerous kinds, including connection to the spirits through shamanism, prophecies through physiognomy, fate-telling, and Fengsui, and modern spiritual science. Although there are diverse kinds, they share two common ideas. First, it is the belief that human destiny follows certain principles. For example, personal fate, rise and fall of an empire, and all changes in the universe and the nature are determined by the Universal Norms that have existed since the beginning of time. Second, it is the belief that men, society, and nature are decided by capricious spirits. Prophecy involves examining and telling the foreseen results of an upcoming event. It is about an event that will occur in the future and cannot be as detailed as the description of a past event. Therefore, it conveys somewhat unclarified information about the time, location, and human relations. Various mythical jargons and allegorical expressions are often used. Allegorical expressions can only be interpreted by those who have profound knowledge in the area. As shown in, "Baekje is a full moon and Shilla is a crescent," which implies Baekje`s fall; "The mountain god began to dance and sing 智理多都波," which means Shilla`s 49th King Hungang will lead to the fall of his empire by enticing himself with wine and women; and "南無亡國 刹尼那帝 判尼判尼蘇判尼 于于三阿干 鳧伊娑婆訶" of Shilla`s 51th Queen Jinseong, none of these expressions can be interpreted without years of studies. Creators of new religions observe the history through enlightened eyes and tell prophecies about what must be changed to build a new world. As their time was betwee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round the Independence of Korea, most studies were about the Independence. Then, they foresaw the advent of women`s power and that Korea would become the parent and teacher of the world. Religiously, they expected their religions to prosper. However, many of these religions barely exist let alone prosper. Their arguments were ambiguously supported by the Heaven`s decisions and lacked logic. What follows prophecies is virtue and righteousness. New history and new religious gatherings are built on virtue and righteous minds. Furthermore, religious creators say that the future is an extension of the present and that the unification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Zen Doctrinism is still possible as their teachings are still respected by one another. Thus, it is still possible for them to become a universal religion.

      • 전기화재의 특성고찰 연구(III) - 전기화재의 원인조사 -

        장정태(Jang, Jeong-Tae)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춘계

        전기화재란 전기를 사용함에 있어 불안전하게 사용하여 전기가 점화원이 되어 발생하는 화재를 총칭하는 것으로 그동안 발생한 전기화재의 주요원인을 살펴보면, 단락(短絡 Short), 과부하(過負荷 Over load), 누전(漏電, Leakage current), 접속불량(接續不良, Bad connection), 정전스파크(spark), 트래킹(Tracking)이 주요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전기화재에 의한 현장조사는 통전을 입증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 관건이 되는 것이지만 화재로 많은 것들이 소실된 현장에서 이를 규명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기화재가 일반화재와 다른 주요 특징을 고찰하고 전기화재를 입증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발생요인에 대하여 관찰요령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삼국유사(三國遺事)』를 통해 본 점복과 예언

        장정태 ( Jeong Tae J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고대인들은 어떠한 특이한 일이 발생하면, 그것은 곧 미래에 발생할 어떠한 일의 전조라 믿고, 사전의 일을 통하여 미래의 일을 추측하거나 판단하였다. 이것이 곧 점복이며, 사전에 나타난 일들이 곧 예언이다. 여기에서의 예언은 인과관계로 치면 인(因) 곧 원인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국 점복이란 인과관계의 인(因)으로부터 과(果) 즉 결과를 미리 알아내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因에 해당하는 예조를 기초로 한 결과의 추측, 즉 점복의 기술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그것은 오랜 경험을 통하여 축척된 지식의 소산이다. 제정일치 사회에서의 점자는 신탁을 통해 백성을 다스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 점(占)만을 전문으로 하는 집단이 생기면서 분화(업)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삼국유사』에 소재된 내용 가운데 점복과 예언을 대상으로 설정하여, 왕의 예언, 일관의 점복, 동물점 예언, 점복가의 분석 등 네 가지로 그 내용을 검토해 보았다. 『삼국유사』에서 일관, 점복 등 예언과 관련 전문적으로 예언을 담당하는 점성가를 중심으로 국가적 상황과 관련된 이들 『삼국유사』에 소재 점복과 예언은 단순히 맞고 틀리고의 문제를 넘어 당시 기성종교가 유입 되기 전 사회 전반에 깔려 있는 믿음의 한 형태이며 민간 신앙이 고등종교인 불교와 만남을 통해 다툼도 있었고, 그 다툼의 수단으로 예언과 치병이 동원되고 있음을 알았다. 『삼국유사』가 나오기 이전의 역사서인 『삼국사기』가 유교적 윤리관, 역사관 중심의 역사기술이라면 『삼국유사』는 인간적인 삶 그대로 정감과 애환을 적나라하게 소개하고 있다. 내용은 14편이 있으며 사적인 점복은 9회에 걸쳐 소개되고 있다. 이 원초적 환기력이 의도하지 않은 의도가 일연이 세운전략이다. 이의도 아닌 의도를 통해 이야기는 더욱 은근하면서 힘 있는 감동으로 우리의 가슴을 울리는 것이다. “삼국유사”에는 기층 민중에서부터 임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점복·예언을 통해 미래에 대해 궁금해 하는 모습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일연은 『삼국유사』를 통해 점과 예언 소개하면서 “점을 쳐보면 마음과 소행이 서로 일치되면 감응하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마음에 이르지 않으니 이름하여 허류라고 한다”.며 점을 치는 복술자, 당사자 모두 동기감응이 있고 한결같은 마음이 있을 때만 그 바라는 바 성취된다고 보고 있다. 앞으로 연구과제는 점복과 예언이 당시 통치자는 물론 사회에 미친 영향을 좀더 세세하게 연구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Ancient people believed them as signs of possible future events and guessed or judged events of the future through the past, when some extraordinary events occurred. This is the very auguring and past events are the very prophecy. Here, prophecy is cause in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Therefore, auguring means skill to know effect, that is, result from cause in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Skill of auguring, that is, guessing result based on signs, is not built in a day. It is a result of knowledge accumulated through long experiences. In the society of theocracy, augur played a role of governing people through oracle. Since then, a group specializing in fortune-telling was formed. Among content in Samgukyusa(三國遺事), auguring and prophecy were focused on and four parts of king`s prophecy, auguring of officer choosing lucky day, prophecy of animal fortune-telling, and analysis of augur were investigated. Vocabularies related to prophecy such as officer choosing lucky day, auguring shown on Samguk yusa(三國遺事) are 19 pieces. There are 14 pieces related to national situation where astrologer in charge of prophecy was involved. Private auguring was introduced 9 times. Auguring and prophecy shown on Samguk yusa was one form of belief widely spread in the society before inflow of then existing religion beyond the question whether auguring and prophecy are correct or not. And there was conflict between popular belief and higher religion of Buddhism and in the midst of conflict, prophecy and remedy were mobilized. If 『Samguksagi三國史記』 written before Samguk yusa described history focused on view of Confucian ethic and history, Samguk yusa introduces human life with warmth, and joys and sorrows as it is. Intention without intention of this basic arousing is a strategy Ilyeon founded. The story through intention without intention moves our heart with more quiet and powerful impression. In Samguk yusa, we can find appearances where people in various classes from general public to king wonder about the future through Auguring and prophecy. Ilyeon said about Auguring and prophecy in Samgukyusa三國遺事, “when mind corresponds to behavior in telling fortune, heaven moves. If not, heaven does not move, so called 虛謬”. Thus, when augur and the other party have all extreme and unchanged mind, wish can come true. Further study would be needed to know influences of Auguring and prophecy on ruler as well as society in detail.

      • KCI등재후보

        전기화재의 발생요인 분석과 경감대책

        장정태(Jeong Tae Jang)(張正泰)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1 Crisisonomy Vol.7 No.2

        우리나라의 최근 10년(2000-2009)동안 발생한 화재를 살펴보면, 연평균 37,704건, 재산피해액 196,897백만원이고, 2009년의 경우, 총 화재발생 47,318건, 재산피해액 251,853백만 원이었다. 전기화재의 경우는 2005년까지 총 화재 발생건수에 대해 30%를 상회하는 1만여 건을 나타내다가 2006년에 29.6%, 2007-2009년은 22%대로 낮아졌으며, 최근 10년간 전기화재의 연평균 재산피해액 60,211백만 원으로 전체 재산피해액의 30%를 상회하였고, 2009년은 전체 화재발생건수의 22.8%인 10,786건, 재산피해액은 24.8%인 62,281백만 원이었으며 계속 전기화재는 화재 발생원인의 1순위를 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미국 17.6%, 영국 4.5%, 일본 10.9%, 대만 17.9%와 비교하면 높은 편이어서 보다 향상된 안전한 생활환경을 위해서는 전기화재의 적극적인 감소 대책을 펴야 함으로 그동안의 전기화재 발생추이 분석, 발생메커니즘, 발생요인 분류의 문제점, 주요 발생요인과 이에 대한 대책을 각각 고찰하였다. The total average number of fires in Korea was 37,704 annually based on the statistics of the past 10 years (2000-2009). The resulting damage equates to ₩196,897 million in average lost assets. In the year 2009 alone, there were 47,318 cases of fires, which equates to ₩251,853 million in lost assets. Over 30% of all fires (over 10,000 cases) were electrical fires until 2005, 29.6% in 2006 and reduced to 22% during 2007-2009. In the past 10 years, the lost asset value caused by electrical fire was ₩60,211 million which is over 30% of the total lost asset value. In the year 2009 alone, electrical fire made up of 22.8% of all fires (10,786 cases), with the lost asset value of ₩62,281 million, which is 24.7% of the total lost asset value. Although electrical fire is in decline in terms of the percentage, they still continue to be the biggest cause of all fires than 17.6% of America, 4.5% of England, 10.9% of Japan, 17.9% of Taiwan. So, we try to decrease the electrical fire. On this purpose and aim to live more comfortable life circumstance, this paper researches on the analysis electrical fire per total fires, the mechanism by electrical fire originate and consider the analysis of cause problems and decrease methods.

      • 『동몽선습』에서의 효 교육

        장정태 ( Jang Jeong-tae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20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 중기 명종 때 유학자 박세무가 저술한 어린아이들의 소양서 『동몽선습』 내용 가운데 효와 관련된 부분을 주로 연구하였다. 『동몽선습』은 기존의 유교경서를 중심으로 우리 실정에 맞도록 편집되었다. 3장의 본문으로 구성된 이 논문의 1장은 동몽선습 내용분석으로 2장 『동몽선습』의 효 배경이 되는 부자유친에서는 어버이에 대한 효를 실천하는 배경 설명으로 가정에서 윤리적 효를 검토하였다. 효는 단순히 어버이를 봉양하는 실천이 음식, 의복에 대한 부분뿐 아니라 어버이의 행동에 대한 조언과 그 후 자식의 도리를 검토하였다. 효가 제대로 교육되지 않은 현대사회에서 효 인식은 고루한 교육, 일방적 실천의 강요 교육으로 효를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유가의 효는 쌍방 교류의 효라고 할 수 있다. 부모는 자식을 올바른 길로 훈육하도록 교육되었으면 자식은 부모를 단순히 의식주를 제공하는 실천뿐 아니라 조언자로서 올바른 말을 전달하는 행동까지를 말하고 있다. 『동몽선습』은 사회의 기초단위인 가정 내 윤리 실천은 물론 우리 역사의 기원을 단군으로부터 시작되어 삼국 이후 고려왕조의 탄생, 멸망, 조선조의 탄생을 함께 기술함으로 국사 교과서적 내용을 싣고 있다. 우리 민족은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 역사를 가졌다는 역사관을 어린아이들에게 심어주고 있다. 이와 같은 역사관은 우리의 역사가 한반도에 머무는 작은 반도의 나라가 아닌 중국의 역사에 견주어 동등하다는 의식을 심어주고 있다. 우리 역사의 복원은 역사만 아닌 고토 수복에 있음을 가르치는 것이다. 이 부분은 추후 연구를 위한 논쟁점으로 남아 있다.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in the mid-Joseon Period, Confucian scholar Park Se-moo mainly studied filial piety-related parts of the book "Dongmong" written by young children. The "Dongmong Prevention" was edited to suit our situation, focusing on the traditional Confucian scriptures of Confucianism. The first chapter of this paper, which consists of three texts, reviewed ethical filial piety at home as a background to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toward parents in the father-son relationship, which is the basis of Dongmong's analysis of the contents of Dongmong's learning. Hyo reviewed not only the part of the practice of raising parents but also the advice on their parents' behavior and the filial duty afterwards. In a modern society where filial piety is not properly educated, filial piety is understood as an even education and compulsory education of unilateral practice. However, the effect of oil prices is the effect of bilateral exchanges. If parents are educated to discipline their children in the right way, they are not only talking about providing their parents with food and shelter, but also about delivering the right words as advisors. Dongmong Prevention began with Dangun, the origin of Korean history, as well as the practice of domestic ethics, the basic unit of society, and describes the birth, destruction, and birth of the Goryeo Dynasty after the Three Kingdoms. The Korean people are instilling young children with a view of history that they have a different history from that of China. Traditional teaching of studying abroad takes precedence over filial piety that only those who are filial to their parents can be loyal to their country. It is a basic attitude to go to public office in a spirit of serving one's parents and brothers in the house. The emphasis on loyalty and filial piety first shows that it is turning into a nationalistic society. Among the three virtues of Confucianism, Oryun is a virtue that should be performed before the filial piety of parents rather than loyalty to the nation (wage). The main emphasis in the Dongmong Prevention is on the practice of Oh Yun. The principle of Oryun, which is the basis of human behavior in oil prices, is centered on "the father-in-law between the rich and the son-in-law, the son-in-law between the husband and wife, the son-in-law, and the son-in-law between the two.“

      • 청소년(靑少年)과 민족정신(民族精神) : 한국(韓國) 불교(佛敎)와 민간신앙(民間信仰)의 습합관계(習合關係) 연구(硏究)

        장정태 ( Jeong Tae Jang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1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17 No.-

        외래종교인 불교가 도교, 유교 등의 사상보다 민속신앙과 습합관계가 두드러진 모습을 보이는 것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고려 이전의 우리 고대 문화와 불교사서, 설화집성집, 불교신앙을 포함하는 역사에 관한 문헌, 잡록적 야서, 야사 등을 포함하고 있는 여타의 전적들보다『삼국유사』에 포함된 여러 민간신앙이 갖는 각별한 의미는 무엇인가? 도교와 유교, 불교는 일찍이 우리에게 전래되어 서로 넘나듦을 인정하면서 민간신앙과 습합의 관계를 유지하며 발전해 왔는데 유불습합, 도불습합, 무불습합으로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불교가 전래된 이후 그것이 하나의 종교사상으로 민간에 자생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토착신앙을 토대로 정착하려는 작업이 필요 했다. 우리 민족 역시 다른 원시 민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연숭배의 신앙을 갖고 있었다. 하늘과 귀신에 제사를 지내고 태양과 산악을 숭배하였으며, 그리고 불가항력의 재앙이 생기면 산천에 제사를 지내고 하늘과 땅에 기사(祈祀)하고 영성(靈星) 및 기타 귀신을 모셨다. 원래 불교는 어느 민족이나 국가에 전해졌다 하더라도 그 민족성과 환경에 잘 적응하여 그 민족, 국가, 풍토, 습속에 맞는 불교를 이룩할 수 있었기에 우리 민족문화의 정신이나 물질적인 모든 면에서 영향을 주었다. 신라의 화랑도의 주류를 형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충효사상 등 국가의 사상과 국민정신의 기틀을 마련하고 우리 민간신앙을 민족 신앙으로 승화, 정착시킨 것이 바로 그러한 예에 속한다. 그중에서 가장 불교 전래 이전 우리 민족이 가지고 있던 재래의 민간신앙을 민족 신앙으로 승화시켜 정착시킨 점이 주목된다. 그리고 불교는 당시의 민간신앙이 지닌 신비적이고 영적인 성격과 함께 주술적 기능까지도 담당하게 되었다. 이렇게 불교가 토착신앙과의 습합을 통해 정착하고자 하는 모습들은 불교가 필연적으로 취해야 할 태도라고 볼 수 있으며. 그 시대의 종교관에 기저한 생각 위에서 가능한 일이었다. Introduced about 1,600 years ago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from China, it formed an important religious thought in Korea. It became an indigenous religion having unique Korean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it endeavors to amalgamate the thoughts of India and China. Second, it focuses on illuminating ``mind of ego``(自心) by summarizing the system of thought. Third, it achieves a religious of national protection in a national crisis. Buddhism, accepted by Goguryeo(高句麗), Baekje(百濟) and Silla(新羅), was not only a new religion to teach a thought of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善因善果)", but also a new charm corresponding to the Shamanism and folk beliefs. Such phenomena are witnessed even today. The naturalization of Buddhism has been syncretized with folk religions to a great deal.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studies, Buddhism in the Samgukyusa(the syncretism of non-orthodox Buddhism and folk beliefs) is a kind of syncretic Buddhism occupying over 90% in Korean Buddhism. This is a real and historical fact. The original form of syncretic Buddhism can be found in the Samgukyusa(三國遺事). Il-Yeon(一然) began to introduce a folk Buddhism as a form of popular religion rather than a refined Buddhism introduced by Buddhism scholars like Wonhyo(元曉) and Euisang(義湘) in late Silla.

      • KCI등재후보

        지진재해를 대비한 효과적인 대응책 연구

        장정태(Jeong Tae Jang)(張正泰),김대원(Dae Weon Kim)(金大源)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1 Crisisonomy Vol.7 No.3

        최근에 발생한 지진재해를 보면, 그 피해가 너무 커 방심했던 자연재해에 대한 경각심을 크게 일깨워주고 있다. 특히 일본의 지진피해는 쓰나미와 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 피해를 더하여 더욱 주의를 요하는 데 우리나라도 절대 안전지대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이 강조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진현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으로 지진의 정의와 이의 발생원인, 지진재해 현상, 우리나라의 지진발생이력 등을 분석하였다. 또, 지진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적절한 대응책을 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장소별 기본행동 요령, 피해감소를 위한 지진관리 시스템의 운용, 내진설계 강화, 지진대응 교육의 생활화를 분석 하였으며, 지진 피해시 신속한 복구를 위한 소방행정의 지진팀 조직과 공동처리반 구축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Looking at recent earthquake disaster, the damage was too big vigilant awareness of natural disasters and it has significantly memorial to remind us. Especially, Recent Earthquakes in Japan. have occurred the tsunami and the radiation damage of nuclear power plants. So, we need to require more attention and appropriate countermeasures, because our country is not an absolute safe zone of earthquake.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earthquake in detail, this paper analyzed the definition, the phenomena, the cause, the analysis of historical data in Korea of earthquakes, and if an earthquake occurs, how about we should do th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with the default behavior according to location, also, presents to reduce earthquake disasters with the earthquake management system, seismic strengthening design, rapid response Team at the Fire Administration, and the multi task team for effective recovery in earthquake disaster fields under the regional chief fire fighter.

      • KCI등재후보

        한국불교 속의 산신신앙 연구 -『삼국유사』에 나타난 산신신앙을 중심으로-

        장정태 ( Jeong Tae Jang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한국불교사연구 Vol.3 No.-

        한국은 불교, 유교, 기독교, 자생적 민족종교를 비롯하여 샤머니즘까지 어우러져 함께 공존하는 사회이다. 세계사에서도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다양한 여러 종교들이 큰 충돌없이 지내는 사회도 드물다. 이렇듯 여러 종교가 자신들의 고유한 영역을 주장하면서 혼합을 이루는 현상을 종교학에서는 종교혼합주의(Syncretism)라고 한다. 종교혼합주의는 본질적으로 상이한 종류 혹은 완전히 정반대의 성격을 가진 여러 믿음을 조화 안에서 공존 시키고 다양한 학파의 사상을 융합하기 위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신학, 종교적 신화의 영역에서 근본이 전혀 다른 몇 개의 전통을 하나로 합하고 유추하여 저변에 깔려 있는 조화를 공고히 하는 시도로 나타난다. 이런 현상들은 우리나라 사찰에 가 보면 쉬 접할 수 있는 것이다. 역사와 전통이 있는 사찰은 물론 도심 빌딩 숲에 있는 작은 포교원에도 종교혼합적 모습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산신각, 칠성각, 명부전, 조왕 등 전각에서 뿐만 아니라 자연숭배, 정령숭배, 주력(呪力)숭배, 신당(神堂)숭배 등 불교교리와는 직접적으로 관련없는 민간신앙의 요소가 자리잡고 있다. 민간신앙의 요소를 불교가 흡수한 한국불교의 모습이랄 수 있다. 우리 전통사회에서는 거주하는 사람에 따라 건물의 이름이 정해졌다. 건물은 위로부터 전(殿)―당(堂)―합(閤)―각(閣)―제(齊)―헌(軒)―루(樓)―정(亭)의 8품계로 나뉘었다. 민긴신앙의 전각인 산신각, 삼성각, 칠성각 등 각(閣)은 4번째 해당된다. 결국 불교가 민간신앙을 포용하면서 그 격을 상당히 낮게 평가한 것으로 알 수 있다. 또한 대다수 전각들은 대웅전이라고 하는 불교의 주불인 석가모니 부처를 모신곳을 지나가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불교와 친숙하게 하는 포교방법을 동원했다. 민간신앙을 하는 사람들의 대다수는 높은 곳에 위치한 것을 신과 가까이 하는 것으로 인식 대웅전 뒤편에 건축한 것에 대해 크게 문제를 삼지 않았다. 부처님보다 더 높게 받들고 있다는 고마움으로 느끼고 있다. 이와 같은 속 깊은 배려심은 한국불교가 민족종교화 될 수 있었다고 본다. 본 연구에 주제가 되는 산신은 국조라 할 수 있는 단군왕검을 불교 안으로 수용하면서 우리 민족성과 환경에 잘 적응함으로써 우리 민족, 국가, 풍토, 습속에 맞는 불교를 이룩했다. Korea is a society where various religions coexist in harmony, including Buddhism, Confucianism, Christianity, autogenic folk religion as well as shamanism. Such a society where various religions get along with each other without a big clash is a rare case, which cannot be seen in world history. Like this, such phenomenon that various religions mingle with each other by insisting their own endemic area is called Religious Syncretism in the science of religion. Religious Syncretism can be said to be an effort to enable various beliefs with fundamentally different kind or completely opposite characteristics to coexist in harmony and blend the thoughts of various schools. Particularly, it appears as an attempt to unite several traditions which have completely different roots in the area of theology, religious myth and infer in order to solidify the harmony which lie at the bottom. These phenomena can be easily encountered when we visit a Korean Buddhist temple. We can easily see religious syncretism in a small propagation center in concrete jungle of the downtown, besides in the Buddhist temples which have history and tradition. There are the elements of folk belief, which are directly irrelevant to Buddhism doctrine, e.g. nature worship, spirit worship, incantation(呪 力) worship, ancestral shrine(神堂) worship, etc., got settled, not only in the facilities, e.g. Sansingak, Taoist shrine, Myeongbujeon, Jowang, etc. It can be said to be the figure of Korean Buddhism, which absorbed the elements of folk belief. In our traditional society, name of the buildings are made along with the people who reside in. A building was divided into 8 grades, Jeon(殿) ― Dang(堂) ― Hap(閤) ― Gak(閣) ― Je(齊) ― Heon(軒) ― Lu(樓) ― Jeong(亭) from the top. The royal palace of folk belief, Gak(閣), e.g. Sansingak, Samseonggak, Taoist shrine, etc. fall under the 4th grade. Eventually, in can be confirmed that the class was rated considerably low, while Buddhism was embracing folk belief. Also, most of the royal palaces mobilized propagation method to get familiar to Buddhism through the means of letting them pass by Deawoongjeon i.e. the shrine of Buddha Shakyamuni, which is the main Buddha of Buddhism. Most of folk believers did not largely made an issue about building their shrine behind Deawoongjeon, and their shrine being located up high, which they perceived to be near to the spirit. They felt thankful for respecting their spirit higher than Buddha. It can be said that such ulterior thoughtfulness could make Korean Buddhism as the National religion. Sansin,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accomplished Buddhism which is suitable for our people, country, climate, and convention by well adapting to the our ethnicity and the environment, accepting King Dangun, which can be said to be national religion, within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