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학으로서 불교예술학의 지형과 방법

        장재진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In any artistic practice, if a work of art is associated with Buddhism and connected to the Buddhist spirit, it should be considered as Buddhist art. We define Buddhist art as an ‘artistic expression of Buddhist ideas’. To define ‘Buddhist arts studies’ as a field within arts studies, there first must be a general understanding and definition of ‘arts studies’ and only then can the definition of ‘Buddhist arts studies’ be established. If we apply the general definition of arts studies, that is ‘seeking the essence of art’ to the definition of Buddhist arts studies, we can then define Buddhist arts studies as a field that aims to ‘seek the true essence of Buddhist art’. This thesis can be considered as a preliminary study of the academic concept of ‘Buddhist arts studies’, which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With this in mind, I define 'Buddhist arts studies' as 'the convergence of Buddhist and artistic elements used to communicate various elements of Buddhism within the direction of the arts. When such a quality is expressed in art, we can then call it ‘Buddhist art’. If this kind of academic study is carried out and systemized, the field of ‘Buddhist arts studies’ can be established. Unfortunately, most of the research in the area of Buddhist art has been generally retrospective rather than future-oriented or realistic. Today, emerging technologies and media do not offer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or realize traditional culture. The growing popularity of technological and media concepts such as cyber space, cultural content, cartoons, movies, big data, ubiquitous computing, internet, applications and smart phones, provides another reason to develop an academic concept of ‘Buddhist arts studies’. If we focus on the indeterminate 190 한국불교학 77 figuration in the early period of Buddhism as the fundamental spirit of Buddhism, these arguments might be meaningless. However if we accept figuration or indeterminacy of figuration with the logic of ‘coincidentia oppositorum (coincidence of opposites)’ or ‘BulyeonGiyeon (Not being so, and yet being so)’, it will be meaningful within the context of cultural trends that reflect each period. 불교와 관련된 예술을 통틀어 불교예술이라고 한다. 그리고 모든 예술 활동에 있어서 불교와 상관이 있는 창작물이 불교적인 사상과 연관되어 형성되면 이는 불교예술이 되는 셈이다. 불교예술을 정의할 때 ‘불교적인 것을 예술로 표현한 것’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다시 여기에 ‘불교적인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예술학으로서의 불교예술학’을 규정하려면 우선 ‘예술학’에 대한전제가 있어야 할 것이고, 다음으로 ‘불교예술학’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할것이다. 예술학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인 ‘예술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을 불교예술학이라는 정의의 정립에 적용한다면 ‘불교예술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이될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다시 불교예술의 본질이 무엇인가라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이러한 불교예술에 대한 학문적인 체계는 불교예술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정의를 위한 새로운 연구의 과제가 될 것이다. 어쨌든 ‘불교예술학’에 대한 개념규정은 앞으로 만들어내어야 할 연구과제일 것이다. 아직까지 ‘불교예술학’이라는 학문적인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상황이라서 본고는시론적인 성격이라고 하겠다. 이에 ‘불교예술학’에 대해 조심스럽게 규정을 해보자면 ‘불교와 예술의 요소가 연관되어 불교본연의 존재성과 예술의 지향점이 결합하게 되고 이를 예술의 형식으로 표현’하게 되면 불교예술이 되리라 본다. 이러한 불교예술에대한 학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체계화되면 ‘불교예술학’이 정립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함에 있어서 우선 전통적으로 한국불교에서 불교예술에 해당하는 항목이 어떠한 지형을 형성했는가에 대해 고찰하고, 다음으로 이러한전통이 현대사회에 그리고 미래를 향해 어떻게 나아감이 바람직한 것인지에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다시 말하면 불교예술학에 대한 지형고찰이 아니라 불교예술분야의 연구에 대한 지형고찰이 되는 셈이다. 불교예술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의 전개이기보다는 불교예술은 그리고 불교예술분야의 연구학은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성에 더 중점을 두고 전개될 것이다. 과거 한 시절의 불교예술이 화려함과 장엄함의 극치를 보여주었던 시기가있었던가 하면, 겨우 전승하기에 급급했던 적이 있었다. 현재의 불교예술도예술학으로서 불교예술학의 지형과 방법 / 장재진 157 마찬가지로 기존의 답습이나 전승 이외에 별다른 창의적인 것이 없는 것으로보인다. 사이버 공간, 문화콘텐츠, 만화, 영화, 빅데이터, 유비쿼터스, 사물인터넷, 앱, 스마트폰 등 기존의 전통문화에서 체험하고 구현하지 못했던 새로운 매체와 기술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현재에 ‘불교예술학’이라고 하는 학문적 개념을 어떻게 형성해야 하는가가 또 하나의 과제가 된다고 하겠다.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는 현대사회의 일반적인 삶에 있어서의 생활방식이나 가치관의 변화에 많은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예술 분야에 있어서 ‘유비쿼터스’나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시대에 대응한 새로운 창작물들은 매우 부족하다. 물론 불교의 근본정신을 초기불교시대의 형상화 부정에 초점을 맞추어 본다면 이러한 주장들이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형상화나 형상화의 부정을 ‘반대일치’나 ‘불연기연’ 의 논리로 수용한다 ...

      • KCI등재

        호압사의 가람과 콘텐츠를 위한 제언

        장재진 한국불교학회 2017 韓國佛敎學 Vol.83 No.-

        The shape of the mountain resembles that of a tiger, and named after the tiger’s power. The theory of bibo feng shui is introduced in the background of the founding,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and its palaces. The Hoap temple, which is said to have been founded by the Master Muhak in 1391, is usually explained by the background of the founding of the temple together with historical records, narratives, legends and feng shui theory. The symbolic meaning inherent in the building, from religious buildings to private homes, represents the universe. A space called the Hoap temple was built due to the situation of the foundation of the complex, such as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founding of the palaces, the fire that was poured out of the mountain, the introduction of the Bibo Feng Shui to prevent it. Based on this historical background,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story reflected in the structure of Garam and the composition of the Hoap Temple, and to find out how to use Buddhist cultural contents. The formation of the mysterious space of the Hoap temple in the background of the narrative is based on the reality of the dual combination of Hierophany and Kratophany, according to which the cohesive structures of palaces and temples, Military, and folklore backgrounds have been developed together. You can make contents by composing characters mainly around the Hoap Mountain, Tiger, Bibo Feng Shui, Joseon, Zelkova, Stone Buddhist, and Bhaisajyaguru. A variety of storytelling will be possible through the structures on the grounds, and relics outside of the temple, which make up the Garam construction of the Hoap temple. At the same time, storytelling can be done on a multi-layered world consisting of many beings on different layers. Imagine that the events thought to have occurred in the Hoap temple were made between the gates of the open world formed by multi-layered structures. The various ev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time of the Hoap temple were beyond the axis of time and space, and the recognition of the present consciousness. 산의 형상이 호랑이를 닮았고 호랑이의 기운을 누르기 위해서 이름 붙여진 호압사는 창건 배경에 비보풍수의 이론이 도입되었고 조선의 개국 그리고 궁궐의 조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1391년 무학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호압사는 역사적 기록과 설화, 전설 그리고 풍수이론이 함께 사찰의 창건배경을 설명한다. 종교 건축물에서 개인 가정집에 이르기까지 건물에 내재된 상징적 의미는 집 곧 우주(宇宙)를 표상하기도 한다. 호압사라고 하는 공간은 창건 당시에 ‘조선의 건국, 궁궐의 창건, 삼성산에서 뿜어져 나오는 화기(火氣), 이를 막기위한 비보풍수의 도입, 무학대사의 등장’이라는 복합적인 상황이 전개되어 특정한 장소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했다고 하겠다.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호압사의 가람구조와 조영에 반영된 배경설화를 고찰하고 불교문화콘텐츠의 활용방안을 강구해보고자 함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대부분 문화콘텐츠의 전개가 역사적 배경이나 문헌을 토대로 형성된 원소스(One Source)가 주축을 이루고 이를 바탕으로 확대 재구성되어 활용하게 되는 멀티 유즈(Multi Use)를 통해서 실용적인 콘텐츠의 활용이 이루어진다. 학문은 사실의 확인이 중요하지만 이에 따른 해석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호압사 스토리텔링은 한편으로 가려져 있는 진실을 드러낼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 줄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호압사의 원형을 복원할 수 있다면 더욱 의미 있는 작업이 되리라 여겨진다. 호압사의 창건 동기가 조선건국을 돕기 위한 비보사찰의 역할만을 했다고 본다면 이는 왕족이나 귀족들의 현실이나 사후의 복을 위한 원당사찰의 기능에 머문 것이라고 하겠다. 송화방, 감은사, 봉덕사, 불국사 등이 이에 해당하는 사찰들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다양한 해석을 통한 스토리텔링이 가능할 것이다. 원형의 모티프에 가공의 시간과 공간을 설정하고 실제적이라고 추론할 수 있는 행위와 사건을 부여함으로서 실제의 역사적 사실인 것으로 꾸며내는 형상화의 작업을 스토리텔링의 기법에 적용할 수 있다. 설화를 배경으로 하는 호압사의 신비적인 공간의 형성을 궁궐과 사찰 건축의 습합적인 구조인 히에로파니(聖顯)와 크라토파니(力顯)의 이중적인 습합의 실재성을 중심으로 본다면 지리적, 정치적, 군사적, 호교적 배경 등이 함께 병행하여 전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영역이 “실존적 공간에서 공간을 동질화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공간의 이미지를 완성시키고 어떠한 이미지체계 아래에서 그것이 하나의 긴밀한 공간이 되도록 한다.”는 논리에서보면 호압사와 조선의 궁궐은 여러 가지 사건 발생의 배경으로서 장소적 특성을 지녔으며 긴밀한 유기적 관계를 가졌을 것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호압산, 호랑이, 비보풍수, 조선, 느티나무, 석구상(石狗象), 약사여래 등을 중심으로 캐릭터를 구성하여 콘텐츠를 만들어 볼 수 있다. 호압사 가람을 구성하고 있는 경내의 구조물이나 경외의 유물 및 유적 등을 통해서 다양한 스토리텔링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함께 다른 층위에 존재하는 숱한 존재들로 구성된 다층세계를 소재로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다. 호압사에서 발생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사건들이 다층의 구조로 형성된 열린 세계의 문들 사이를 오가면서 이루어졌다고 ...

      • KCI등재

        천리교의 ‘공간・장소・방위・시간’에 대한 인식과 정토세계 ‒ 나카야마 미키의 종교체험을 중심으로 ‒

        장재진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9

        천리교의 교조인 나카야마 미키의 종교체험에 있어서 ‘으뜸의 신(元の神)’과의 만남은 하나의 성현(聖顯)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종교적인 체험에 따른 공간과 장소에 대한 인식은 ‘으뜸의 신’과 나카야마 미키의 합일적인 공간인 ‘신체’와 이 신체가 머무는 집터에서 비롯된다. 세계의 중심인 이 장소에 감로대(甘露臺)가 있으며 이의 확장이 전 우주를 상징하는 만대(萬代)의 세계이다. 인간창조의 기본적인 토대가 된 본과 도구의 원형이 존재했던 방위는 북서, 남동, 동, 남서, 서, 북동의 여섯 방위로 언급된다. 그리고 ‘열 가지 완전한 신(十全の神)’들 중에서 네 명의 신이 배속된 방위는 동북, 동남, 서북, 서남의 방위이다. 이와 함께 나카야마가 인식한 ‘만대의 세계’는 지나가버린 세상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에 모두 동시적으로 존재하는 중첩된 시간으로 믿어진다. 이와 같은 공간·장소·방위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전개된다고 믿어지는 정토세계는 나카야마의 신체, 으뜸의 신, 그리고 감로대가 셋이면서 하나로 통일되어 존재하는 초월적인 시공간으로 보인다. 이를 중심으로 확장된 만대의 세계에서 사람들의 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신의 창조목적과 일치하는 것으로 믿어지는 양기생활(陽氣生活)의 실천이다. The encounter with ‘the Truth of Origin’ in the religious experience of Nakayama Miki, the founder of Tenrikyo is revelation of the saint. Recognition of place and space through such a religious experience originates from body the space where ‘the Truth of Origin’ and Nakayama Mink become one and the site where this body resides. This is where the center of the world, Kanrodai is and its expansion is ‘Ten Thousand Generations’ symbolizing the entire world. The directions where the original frame and tools existed as the fundamental foundation of creation of humans are six, including northwest, southeast, east, southwest, west and northeast. Also the directions where four of ‘the ten complete gods’ are northeast, southeast, northwest and southwest. ‘Ten Thousand Generations’ recognized by Nakayama is not a past-gone world but a overlapped time where all exist simultaneously right at the moment. The Pure Land, believed to be formed and developed around space, place and direction, may be a transcendent time-space where Nakayama’s body, the Truth of Origin and Kanrodai exis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and are unified. The ultimate goal of humans in such a world expanded from this is to live in God’s purpose of creation, which is to practice ‘Joyous Life’.

      • KCI등재

        近代期 日本 新宗敎에 나타난 神話的 世界觀 ‒天理敎와 金光敎를 중심으로‒

        장재진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Just as most religions have a mythical worldview behind them, so new religions formed in modern East Asia seem to have been formed in connection with mythical worldviews. A mysterious story tries to convey something to people while embracing transcendence and reality. There is a ‘center’ in the representation of this transmission, and this center has a symbol system. This mystery has always been with religion, whether it is fiction or any other form of expression of fact. Through the new religions formed in the modern era, we can see the mythical world view that implies ‘the symbolism of the center‘ and ‘the tradition of fantasy’. Although new religions may be understood as a different aspect of the legitimacy of traditional religions, it is important that they present a clue to solve the problem of reality facing the ‘symbolism of the center’ and ‘fantasy tradition’ The fantasy tradition in the two new religions formed in the modern era, today shows the transformation of the awareness that welcomes the modern by the religiou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the two doctrines. 대부분의 종교가 그 이면에 신화적인 세계관을 갖고 있는 것처럼, 근대기 동아시아에서 형성된 신종교들도 신화적인 세계관과의 연관성을 지니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신비스러운 이야기는 초월성과 현실성을 내포하면서 사람들에게 무엇인가를 전달하고자 한다. 이 전달의 표상에는 ‘中心’이 있고 이 중심은 상징체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신비스러움은 그것이 허구이든 사실의 다른 형태적인 표현이든 항상 종교와 함께 해 왔다. 근대기에 형성된 일본의 신종교를 통해서 ‘중심의 상징성’과 ‘환상의 전통’을 함의한 신화적 세계관을 볼 수 있다. 신종교가 전통종교와의 정통성 시비에 있어서는 다른 면으로 이해되기도 하겠지만, 신화가 지니고 있는 ‘중심의 상징성’과 ‘환상의 전통’을 당면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실마리를 제시했다는 점에 있어서는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환상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는 오늘날, 근대기에 형성되었던 두 신종교에서 보이는 환상의 전통은 두 교조의 종교적 체험과 자각에 의해 근대를 맞이하는 인식의 전환을 보여준 것이라 하겠다.

      • 가야 불교의 전래시기에 관하여 -인문학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장재진 바른역사학술원 2018 역사와융합 Vol.- No.3

        ‘가야불교’의 전래시기와 전승주체에 관련해서 분분하게 논의되어 왔다. 문헌과 유적 및 유물이 부족한 이천여 년 전에 발생했을 것이라고 믿어지는 사건에대해 정의하고자 하니 간단한 문제가 될 수 없다.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는 ‘가야불교’에 대한 개념정립과 함께 정의할 수 있는 문제인데 과연 어떤 종류의 불교가 전래되었는지가 모호하다. 학문하는 방법에 대한 보편적인 인식이 문헌과 고증에 초점을 맞춘 사회과학적 방법론에 의거한 것인지, 인문학적 방법론을 토대로 한 관점인 것인지에 따라서 연구방법과 결론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가야에 전래된 불교가 어떤 종류의 불교인가? 어떤 루트를 통해서 전래되었는가? 어떤 인물이나 전승집단을 통해서 전래되었는가? 그리고 어떤 지역에 전래되었는가? 에 대한 의문으로 가야불교 전래시기에 대한 문제의식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가야불교 전래의 시기를 고찰해 볼 때, 불교의 수용과 공인 그리고 불교의 융성에 따른 흐름을 고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전래시기’라고 하는 것이 초기의 전래에서 어느 시기까지를 규정할 것인지가 하나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래 시기와 수용된 시기에 대해서 처음으로 전래되어 민간에서 유포되었다면 어느 정도의 상황을 전래된 시기로 볼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줄 만한 문헌상의 정확한 기록은 없다. 불교의 시작점을기록한 공식적인 입장을 국가에서 공인된 시점으로 전래의 시기를 삼고 있지만, 가야불교의 경우는 이와 다르다. 문헌과 사료에만 의존했던 연구의 한계를 문화교류사의 관점에서 폭 넓은 시각으로 확장시켜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문제이다. 이제까지의 연구를 종합해서 가야불교 전래의 시기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방불교 전래설을 따르든지 남방불교 전래설을 따르든지 상관없이왕후사 창건을 역사적 사실의 시작점으로 보고자 하는 견해(AD 452년)가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의 순서로 공식적인 불교의 공인이정해진다. 둘째, 김수로왕이 즉위하고 도읍을 정할 때(즉위 2년)를 가야불교의시작점으로 보는 견해(AD 44)가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기존의 가야불교 전래설(AD 452년)보다 불교전래의 시발점을 372년 올려 잡을 수 있다. 셋째,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를 왕후사 창건의 시기(AD 452년)나 김수로왕 즉위 후 도읍을정하는 시기(즉위 2년)로 보는 견해는 왕이나 ‘국가에 의해서 불교가 공인’된 시기를 시발점으로 본 것이다. 이와 달리 불교가 전래되어 민간에 유포된 경우를고려해 본다면 훨씬 이전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넷째, 허왕후의 한반도 도래와 동시에 불교가 전래(AD 48)되었다고 본다면 가야불교 전래의 시기는 허왕후와함께하게 된다.

      • KCI등재

        한국 신종교사상에 나타난 ‘이상세계관’ 고찰 - 증산교의『천지개벽경』을 중심으로 -

        장재진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3

        This thesis studied 'the view of the ideal world' focusing on『Chunjigyebyuk-kyoung』that contains works and quotations of Kang Jeung-San (1871-1909), a figure of the Greater Korean Empire, among ‘New Religion’ ideologies occurred in East Asia in the 19th century. It criticized the problems of the preexisting world and considered ‘Haewon’ as the solution, and it explained Jeung-San's ideology divided into categories, which mentioned the political affairs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ideal world' that will unfold after ‘Haewon.’ Cultural elements are about memorial service, funeral, marriage, order of men-women relationship, education, ethics, farming, food, status order, population, good fortune, longevity, convention, and custom. The reason why Kang Jeung-San described and planned such ideal world as a world that can be actualized are not just dreaming of a fabricated world impossible to actualize; but rather, it is a production of introspection about the ideal and reality of intellectuals who perceived the darkness and pain of the period. Such ideology seems to have shown a model of what kind of society is the ideal world that mankind should seek, the world where everyone can live well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