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무열분해(噴霧熱分解) 공정(工程)에 의한 주석(朱錫) 산화물(酸化物) 나노 분말(粉末) 제조(製造)

        유재근,차광용,김명춘,한정수,장재범,이용화,김동희,Yu, Jae-Keun,Cha, Kwang-Yong,Kim, Myung-Choun,Han, Joung-Su,Jang, Jae-Bum,Lee, Yong-Hwa,Kim, Dong-Hee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8 資源 리싸이클링 Vol.17 No.6

        본 연구는 폐 주석의 리싸이클링을 통한 고기능성 주석 산화물 나노 분말의 대량제조 기술개발을 위한 전 단계 연구로서 주석 염화물 용액을 원료로 하여 분무열분해 반응에 의하여 평균입도 50nm 이하의 주석 산화물 분말을 제조하였으며 반응온도의 변화에 따른 생성 입자들의 특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열분해 반응온도가 $800^{\circ}C$로부터 $85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형성된 입자들의 평균입도는 20 nm로부터 30 nm로 증가하였다. 또한 XRD 피크의 강도도 증가하였으며 비표면적은 1/2 정도로 크게 감소하였다. 반응온도 $900^{\circ}C$의 경우에는 액적 형태는 평균입도 30 nm 정도의 나노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독립된 입자들의 경우에는 평균입도가 $80{\sim}100\;nm$로 현저하게 증가 하였으며 입자 표면이 더욱 치밀화되어 있었다. 또한 XRD 피크 강도도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비표면적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반응온도 $950^{\circ}C$의 경우에는 액적 형태의 비율 및 크기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대부분의 입자들은 독립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평균입도는 약 70 nm로 $900^{\circ}C$의 경우보다 오히려 감소하였다. 또한 XRD 피크의 강도도 $900^{\circ}C$의 경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비표면적은 2배 정도 크게 증가하였다. This study is the previous stage for the mass prod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nano-sized tin oxide powder by the recycling of the wasted tin metal, and nano-sized tin oxide powder with the average particle size below 50 nm is prepared from the tin chloride solution by the spray pyrolysis process. As the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s from 800 to 850,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generated powder increases from 20 to 30 nm. As the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s to 900, the droplet type is composed of the particles with the average size of the 30 nm. while the average size of the independent particles increases up to $80{\sim}100$ nm and the surface microstructure becomes more solid. Until $900^{\circ}C$, as the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s, the XRD peak intensity increases, while the specific surface area decreases. When the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s to 950, most of the powder appears with the independent type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decrease down to 70 nm. The XRD peak intensity greatly decreases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increases almost twice.

      • KCI등재

        부재료 침지처리가 김치의 냄새 및 발효 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아름(A Reum Choi),박동일(Dong Il Park),유귀재(Guijae Yoo),김소영(Soyoung Kim),장재범(Jae Bum Jang),채희정(Hee Jeong Ch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1

        김치와 각각의 부재료들의 향기 성분을 비교하기 위하여 GC/MS로 정성 분석한 결과, 김치의 향기 성분은 sulfide 계열의 황 화합물과 유기산, 알코올류 등으로 나타났고, 김치의 냄새를 구성하는 물질들은 김치의 냄새를 각각의 부재료에서 검출된 향기 성분들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김치 특유의 이취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김치의 부재료인 마늘, 생강, 양파 및 파를 각각 5 ㎜의 길이와 0.3 ㎜의 두께로 세절하고 100℃에서 2분간 데친 후, 정수된 물 4℃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처리 하였다. 부재료 침지처리가 김치의 군덕내(moldy odor)와 신내(sour odor)에 미치는 영향을 관능검사로 평가한 결과, 세절침지처리김치에서 일반김치에 비하여 신내와 군덕내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재료의 침지처리가 숙성 중 김치에서 pH, 산도, 유산균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kimchi and its sub-ingredients were analyzed using GC/MS.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of kimchi were identified as sulfide compounds, organic acids and alcohol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kimchi originated from sub-ingredients such as garlic, ginger, onion and reek. To reduce the characteristic odor of kimchi, the sub-ingredients (garlic, ginger, onion and reek) were chopped into a length of 5 ㎜ and a thickness of 0.3 ㎜, blanched at 100℃ for 2 min, and then soaked in water at 4℃ for 12 hr. The effects of soaking of the sub-ingredients on sensory evaluation with regard to characteristic odor of kimchi such as sour and moldy odor were investigated. The sour and moldy odors of kimchi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soaking of sub-ingredients. Additionally the addition of soaked sub-ingredients in kimchi had influences on the change of pH, total acidity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