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과 서답형 문항의 주요 유형에 관한 연구 : NAEP의 지리과 4학년 문항을 사례로

        장의선(Jang, Eui-Sun)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6

        서답형 문항은 장소감, 도해력, 지리적 상상력 등 고차적 사고력을 추구하는 지리과의 주요 목표들에 대한 도달 여부를 측정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이 연구는 서답형 문항의 개념을 알아보고 지리과에서 적용 가능한 서답형 문항의 유형들을 구분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지리과 서답형 문항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서답형 문항의 개념 정리에 이어서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NAEP의 지리과 서답형 문항을 사례로 분석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서답형 문항은 문항 형식의 차원과 문항에서 평가하는 행동 영역의 차원에서 각각 분류할 수 있었다. 문항 형식의 차원에서는 문두 단독형과 자료 첨부형으로, 행동 영역의 차원에서는 지식 요구형, 이해 요구형, 적용 요구형으로 각각 구분하고 그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서답형 문항의 개발과 적용에 관련된 시사점 및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내용 영역과 행동 영역에 정합하는 서답형 문항들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로 하여금 최대한 다양한 종류의 지리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서답형 문항의 성패는 채점의 신뢰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채점의 단계 구분, 채점 기준, 의사 답안 등에 대한 후속적 연구가 요구된다. Constructed-response items are useful to estimate a higher-order thinking abilities such as sense of place, graphicacy, and geographical imaginations which are aimed by geography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ception of the constructed-response items, to classify those feasible items in geography education, and to propose some comments and suggestions fo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n Korea. The author tries to classify the constructed-response items by analyzing the NAEP items in the formal aspect and the aspect of cognitive dimension respectively. In the formal aspect, they are classified as ‘question-standalone’ type and ‘material-presenting’ type. In the aspect of cognitive dimension, they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s ‘knowledge-requirement’, ‘understanding-requirement’, and ‘applying-requirement’. Some commen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e the constructed-response items that coherent to both content and cognitive dimensions. Second, it is required for students who take an examination to use a great variety of graphics, photos, thematic maps related to geography. Third, we need to inquire the rubric, grade, process to scoring because they are vital to success of the constructed-response items.

      • KCI등재

        국내외 주요 제도권 문서에 나타난 ‘문화다양성’ 개념의 해석적 고찰

        장의선(Eui Sun Ja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6 글로벌교육연구 Vol.8 No.4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4년 국제사회가 조인한 「문화다양성 협약」의 국내 이행을 위해 「문화다양성 법률」을 제정하고 시행하였다. 이는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선언」에 근거한 「문화다양성 협약」을 비준한 국가들이 이행해야할 의무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화다양성의 교육적 적용을 위해서는 그 개념적 전거라 할 수 있는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선언」과 「문화다양성 협약」에 대한 천착과 논의를 토대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의 문화다양성 교육과 이를 표방한 관련 정책 및 연구들 중에는 위에 언급한 유네스코의 주요 전거들과 충분히 부합하지 않는 사례가 적지 않고, 그 결과 다문화교육이나 국제이해교육 등에서 다루던 주요 주제나 내용들을 문화다양성 교육의 이름 아래 그대로 가져다 쓰는 등 잘못된 개념 적용에서 비롯된 여러 문제들이 파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선언」과 「문화다양성 협약」, 그리고 우리나라의 「문화다양성 법률」을 중심으로 국내외 주요 제도권 문서에 나타난 문화다양성 개념을 해석적 관점에서 비평 및 고찰하고, ‘제도권 수준의 이들 문헌에서 확인되는 문화다양성 개념이 적어도 제도권의 교육, 문화 영역에서 표준적 정의로 자리잡아야 한다.’는 점과 ‘문화다양성 교육이 국제 수준의 개념 정의에 정합하도록 기존의 다문화교육과 차별화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상호보완적 관계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양자의 바람직한 관계를 정립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Korea legislated and enforced the 「Low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to implement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which was internationally signed in 2014. This was also the responsibility for the countries that ratified the convention according to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Therefore when it come to applying cultural diversity to our education, this would be only possible on the basis of research and discussion of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which is the conceptual chapter and verse of cultural diversity. However, among our cultural diversity related education and some educational policies and studies in this area, we found many of them do not coincide with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Many educational practices that are from so-called multi-cultural education or Education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have been applied as part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also there is some confusion on the main concept and some of the concepts have been incorrectly, which causes various problems.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sidered and reviewed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mainly described in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the 「Cultural Diversity Law in Korea and related documents within regime. Then, we suggested that the actual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that are found in above mentioned documents should be the standard definition i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지리 용어에 대한 학습자의 블러핑(Bluffing) 유형에 관한 연구

        장의선(Eui-Sun Jang)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4

        본 연구는 서답형 문항의 채점에서 평가의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주제의 하나인 블러핑 문제를 탐구한 것이다. 먼저 연구자는 블러핑의 개념과 주요 유형을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수준에서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지리 교과의 주요 용어를 사례로 학습자의 블러핑 전략과 유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기존의 연구 보고와 비교할 때, 본 연구에서 밝혀진 전체 학생들의 평균적 블러핑율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녀 학생의 블러핑율이 유사하다는 점, 최고 성적 집단의 블러핑율이 가장 낮았다는 점은 기존의 연구 보고와 유사하였다. 블러핑의 실제 유형은 크게 ‘발문의 반복 서술형’, ‘기존 지식 편중형’, ‘추상적 개념 활용형’, ‘채점자 공감 유도형’의 네 가지로 구분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다 타당성과 신뢰성이 있는 서답형 문항 채점을 위해 몇 가지 시사점 및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블러핑과 학생들의 성별 및 학령, 학습 성적 및 지적 수준,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 등과의 관계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블러핑 유형과 사례 분석 내용이 포함된 서답형 문항 채점 매뉴얼 개발 보급 및 채점 관련 연수가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일반적인 블러핑 유형 외에 지리 영역의 특수한 블러핑 유형을 탐구하는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bluff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order to ensure the objectivity, validity, reliability of scoring of constructed-response items. The author identifies the conception of bluffing, and classifies major types of bluffing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on the theoretical level. Next, the author analyzes empirically the bluffing strategies and types of learners on key terms of Korean Geography subject.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search repor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a significantly lower average bluffing score. On the other hand, it is consistent in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average bluffing score is similar between genders and that those students who got highest grades did least bluffing. Actually bluffing type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repeating the question’ type, ‘depending on a well-known or existing knowledge’ type, ‘applying some basic concepts regardless of understanding’ type, and ‘inducing scorer’s basic beliefs’ type. Some commen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es of the relations among bluffing and age, gender, grade, intelligence and learning styles. Second, it is required for scorers who score constructedresponse items to develop and supply the scoring guide including analysis contents of bluffing types and cases, and increase opportunity for training. Third, we need to inquire the domain-specific bluffing types in geography subject based on the generalizable sample size.

      • KCI우수등재

        지리교육의 5대 빅아이디어를 적용한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의 내용 체계 개발

        장의선(Eui-Sun, Jang)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2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리교육의 5대 빅아이디어를 적용해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의 내용 체계 개선 방안을 탐구하였다. 먼저 연구자는 현행 초등 사회과 지리 영역의 내용 체계가 지리학의 분류 체계와 환경확대 원리의 모호한 결합이라는 점 외에 어떤 명료한 교육적 근거와 논리가 미흡하다고 진단하였다. 연구자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우리나라 지리교육 역사상 처음으로 지리교육의 5대 빅아이디어를 명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것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그러나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리교육의 5대 빅아이디어는 초등 지리 영역의 내용 체계와 충분히 상응하지 않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연구자는 5대 빅아이디어와 내용 체계를 호응시키기 위한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보수적 관점에서 현행 초등 사회과의 내용 체계 안에서 반영하는 방안이고 다른 하나는 지리교육의 내용 체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이다. 끝으로 초등 지리교육의 내용 체계 개발을 위해서는 내용 조직자에 대한 연구와 그것을 내용 체계와 호응시키는 연구, 그리고 초등 사회과의 다른 두 영역인 역사 및 일반사회의 내용 체계와 어떻게 조응하도록 할 것인가하는 연구가 차후의 주요 연구 주제임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ways to improve the contents framework of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by applying the five big ideas of geography education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irst of all, the author diagnoses that the contents framework of the current elementary geography is an ambiguous combination of the classification of geography as a discipline and the expanding environments sequence, and that there is a lack of clear educational grounds and logic. The author notes that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pecifies five big ideas of geography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and summarizes their educational significances and that, but, five big ideas of geography education present in the curriculum have some problems which do not fully correspond to the contents framework of elementary geography. The author proposed two ways of interworking between the five big ideas and curriculum framework: one is to reflect in contents framework of the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from a conservative point of view and the other is to reconstruct the contents framework of the geography education. Finally, the author mentions that it is major research themes to research on the contents organizer of geography education, to develop the contents framework compatible with the contents organizer, and to research on how to correspond to the contents framework of history and civics as two other areas of social studies.

      • KCI등재후보

        미래형 교육을 위한 민주시민성의 주요 지표와 세부 역량

        장의선(Jang, Eui-Su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1 기전문화연구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시민 사회의 대두에 따른 시민성 개념의 성찰 연구를 토대로 미래형 교육을 위해 한국 사회에서 요구되는 민주시민교육 및 민주시민성의 개념, 민주시민성의 6대 지표와 세부 역량을 설정하였다. 나아가 학교 교육 수준의 교수·학습과 같은 구체적 상황에서 민주시민성 지표의 활용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6대 지표별 세부 역량에 대해 교육 목표 분류의 3대 영역(지식·이해, 가치·태도, 행동 및 사고 기능)으로 변환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형 교육에서 요구되는 민주시민성의 개념을 갱신하고 추가적인 역량을 도출하였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실태에 대한 비교・분석 준거를 마련함으로써 향후 민주시민성 함양에 대한 개선 방안 모색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셋째, 민주시민성 함양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의의를 토대로 본 연구는 미래형 교육을 위한 학생들의 민주시민성 함양을 체계적・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esented the six indicators and detailed competencies of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ship and democratic citizenship required in Korean society for future education.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utilize democratic citizenship indicators in classroom, the detailed competencies converted into three areas of general educational goal classification (knowledge, understanding, value, attitude, behavior and thinking function). These were based on research on the concept of citizenship at the forefront of global civil soc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ship required in future education was updated and additional competencies were derived. Second, the standards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were prepared. This will make it easier to find ways to improve future democratic citizenship. Third, the foundation of follow-up research was laid to measure the level of democratic citizenship cultivation. Based on this significa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support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for future education.

      • KCI등재

        웹 기반 지리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

        강창숙,장의선,김일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3 사회과교육 Vol.42 No.2

        지금까지 인터넷을 활용하는 대부분의 지리교육 연구가 인터넷 환경인 웹 상의 정보를 지리과 교수-학습에 활용하는 정도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으며, 대부분 교사 중심의 전통적인 교실 수업의 테두리 속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들 연구들은 실제적인 교실 수업의 활용을 고려한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매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웹의 특성과 지리 교육의 목적, 내용, 대상 등을 고려하여 웹 기반 지리과 교수-학습에 효과적인 모형을 탐색하고 실제를 개발했다. 문제중심학습 모형과 자원중심학습 모형에 해당하는 웹 기반 지리과 교수-학습 실제 사례를 통해 각각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웹 기반 지리과 교수-학습이 보다 효과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호작용 환경의 구축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에 학습자간, 학습자-자료간, 학습자-교사간의 상호작용 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Use of the Internet is proliferating rapidly, with mounting speculation as to the practical applications for teaching in education, yet few published or evaluated case studies are available in geography education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bout Web-Based Instruction(WBD model and to develop WBI materials in geography, especially focused o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technique and networking of the Intern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BI application model suitable to geography are Problem-Based Learning(PBL) as the teaching plan model and Resource-Based Learning(RBL) as the learning information resources model. PBL with individual learning program and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which requires the learner to actively participate in solving given problems. RBL can be defined as a student centered learning mode in which the student learns from their own interaction with a wide range of databases found on the Web to solve problems. These models are common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geographical thinking competence by WBI. Second, Learning purpose of students is achieved through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the constructivist environment by Web. Also related research and studies show that CMC is the effective technique in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Thus, the development of Web-Based geographical teaching-learning models has based on the CMC techniques such as learner-learner interaction, learner-content interaction,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This materials established homepage for the geographical instruction board utilizing Web.

      • KCI등재

        제7차 환경교육과정 특성에 대한 미학적 고찰

        이민부,박승규,장의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9 No.1

        제 7차 환경과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이 균형있는 환경인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치관, 지식, 기능, 태도, 참여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서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내용영역에서도‘인간과 환경’, ‘환경문제’, ‘환경보전’이라는 세 영역을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에서 계속적으로 다루면서 심화·확대시키고 있다. 특히 고등학교에서는 이들 세 영역 이외에‘환경과 사회’의 영역 등을 추가하여 학습자들이 자연과학적인 측면에서의 이해에서 벗어나 인문·사회과학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을 통해 우리의 삶과 환경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인식하고, 환경문제해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제 7차 환경과 교육과정에서도 학습자들의 일상적인 삶의 영역과의 관련성을 염두에 두고 있으면서도 대부분의 내용들이 환경파괴나 환경오염, 그리고 그에 대한 대책 등과 관련된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환경적 감수성이나 환경에 대한 아름다움을 통한 환경교육의 가능성이 그만큼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을 매개로 한 미학적인 관점에서 제 7차 학교급별 환경교육의 특성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focuses on consideration of learner’s ability, learner’s activities, and learner’s region of everyday life.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re scattered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s and an independent subject as ‘Environment’ in middle school and ‘Environment and Ecology’ in high school of the secondary school. With upgrading of schools, the aims and activities of environmental learning move up from valuecentered, through activity-oriented and to cognition-centered. The esthetic considerations, such as landscape sensitivity, are required for better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focusing on value and attitudes in everyday life space or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