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수학적 변환의 관점에서 본 지리교육 내용의 적절성 연구

        장의선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7 사회과교육연구 Vol.14 No.1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Contents in Geography Subject in Didactic Transposition 》인본주의와 구성주의라는 사회적교육적 패러다임 속에서 교과교육은 학습자의 개별화다양화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교과에서는 교과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구조와 발달이 타 교과와 상이하다는 영역 특수적 입장을 개진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본 논의는 학습자의 개별화다양화를 고려한 사회과 지리교육 내용에 대한 영역 특수적 구성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학습자의 인지발달을 보편일반적으로 간주하는 영역 일반적(domain-general) 관점의 인지이론과 개별특수적으로 보는 영역 특수적(domain -specificity) 관점의 인지이론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두 이론에 각각 상응하는 Piaget의 인지발달이론과 Gardner의 MI 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함께 살펴보았다. 두 이론의 대조로 영역 특수적 관점이 자연과학에서부터 인문학에 이르는 광범한 영역의 내용을 포함하는 지리교육 내용구성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고등학교 1학년 <사회>교과서의 분석을 통해 영역 특수적 관점이 교과서에 의한 1차적 교수학적 변환에 거의 반영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편일반적 설명 위주의 이러한 구성은 지리교육 각 내용영역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지 방식과도 부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성과 역시 반영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학습자 개별성을 고려한 다면적인 지리교육 내용구성의 방향은 먼저 그 원리인 체계성의 측면에서 학습자의 인지 방식에 적절한 내용을 풍부하게 개발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적합성의 측면에서는 언어-논리 일변도의 설명적 구성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다양성이 고려된 적절한 교수학적 변환을 통한 내용구성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에는 지리 영역의 내적인 경향과 외적인 분야와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사회적교육적 요구의 반영 역시 필요하리라 본다.

      • KCI등재

        소규모 테마형 국토탐방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 - 2014년도 교육부 국토탐방 공모전의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

        장의선,서민철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5 사회과교육연구 Vol.22 No.4

        This research consists of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2014 School Field Contest of Discovering Exemplar Cases of Management of Exploration of the Land’ through a survey. As a form of a large scale field trips has extremely shrunk after the Sewol incident, schools have begun to search for alternative outdoor activities. ‘Land Exploration Program,’ planned and carried forwar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prior to the Sewol incident, takes a form of a small scale thematic field trip and is rising as a strong alternative to the large scale field trip which has a high risk of accidents. For these reasons, suggesting a direction for small scale thematic field trips by analyzing exemplar cases of the 2014 land exploration program is very timely.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ed that land exploration programs can cultivate essential personality values such as territorial attachment, patriotism, cooperation, responsibility and thoughtfulness. In addition, the following has been identified from the research; first, constant maintenance of land exploration programs most actively requires a secured budget and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Second, a training course for the teachers should include a plan for linking the learning contents of students (geography, history and etc) and exploration programs. A training course for safety should be set up independently. Lastly, the training course for the teachers should be in a form of an occupational training.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there is a need for providing incentives through school records and rewards. 교육부는 2014년부터 국토사랑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교육현장의 소규모 테마형 국토탐방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공모전을 통해 우수 사례를 표창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이 사업은 수학여행과 같은 대집단 중심의 체험학습이 안전사고에 취약할 뿐 아니라 교육적 실효성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들을 감안할 때, 기존의 대규모 현장 체험 학습을 대체할 수 있는 한 가지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4년 교육부 국토탐방 프로그램 공모전의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소규모 테마형 국토탐방 프로그램의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국토탐방 프로그램을 토대로 국토애를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는 사회과 교육뿐 아니라 책임감, 협동심, 배려심 등의 덕목 함양을 위한 범교과적 인성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국토탐방 지원 사업이 기존의 여타 체험학습과 상호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재정 지원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 운영 및 행정의 간소화가 필요하다. 셋째, 국토탐방의 본래 취지를 널리 공유하고 현장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여타 유형의 현장 체험 학습과 차별되는 국토탐방 고유의 탐방 주제를 지역별로 발굴하여 보급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 MPEG Video-based Point Cloud Compression 표준 소개

        장의선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 방송과 미디어 Vol.26 No.2

        본 고에서는 최근 국제표준으로 완성된 MPEG Video-based Point Cloud Compression(V-PCC) 표준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AR/VR 등 새로운 미디어 응용의 출현과 함께 그 관심이 3D 그래픽 데이터에 더 많이 모아지는 가운데, 지금까지는 효율적인 압축에 관심이 높지 않았던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의 표준 압축 기술로 만들어진 V-PCC 표준의 표준화 현황과 주요 응용분야, 그리고 주요 압축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다양성 및 문화다양성 역량에 대한 초·중학교 학생 및 교사의 인식 실태 연구

        장의선,강민경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8 글로벌교육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in our school education and to come up with policies to suppor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 defined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by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 According to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f Cultural Diversity, cultural diversity is necessary for humankind as biodiversity is for nature. This is the main source of exchange works in humankind, renovation and creativity and a facto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heritage to be shared for all mankind. In this study,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is defined in three domains; In cognitive domain, "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diverse culture and coexistence ", in affective domain, "to believe cultural diversity makes creativity and sustainability in our society" and "to work on cultural exchange". In this study, a survey on the awareness and competence of cultural diversity was don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sixth graders and 3rd graders in middle schools). The educational implicatio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working on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teachers need to students’ interests and have proper understanding on cultural diversity. Second, when working on programs to enhanc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it would be desirable to appreciate our own cultural identity and add appropriate contents by analyzing other cultures. Third, in respect of ways for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 need to focus on cross 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also consider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 Teachers' awareness and attitude of our own culture and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showed similar to that of students. For the actual condi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 found that it is hard to say there is proper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our schools. There were demands on teacher training in the area of cultural diversity. 본 연구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문화다양성 역량에 대한 필요성에 주목하여 학생 및 교사의 문화다양성 개념 인식 및 문화다양성 역량 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및 구성 측면에서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자료 개발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교수학습 방법적 측면에서는 자문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 육성과 타 문화에 대한 존중과 함께 타 문화에 속한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문화 간 소통 역량 강화에 강조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학교급별 교수학습 방안에서는 추상적․정신적 영역에 대한 학생의 인지 발달 단계와 자신감 및 적극성 등 정서적 영역에서 청소년기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문화다양성 역량과 같이 새롭게 강조되거나 범교과적인 교육 내용에 대해서는 교사를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교사가 문화다양성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학생들의 문화다양성 역량 함양을 위해 수업을 계획․운영할 수 있는 전문성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사회과 학습 실태에 관한 연구

        장의선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5 글로벌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외국인 인구 증가와 함께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과 학습 실태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이들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지원 방안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에 의한 양적 분석과수업 관찰 및 면담에 의한 질적 분석을 종합하여 접근하였다. 연구대상은 사회과의 영역별 분화 및 심화 학습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중학교의 다문화가정 학생 중, 언어소통과 가정환경 변화 등으로 학습 장애가 상대적으로 우려되는 중도입국 학생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두었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교수학습 지원 방안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사춘기라는 정서적 특징과 중도입국에 따른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교사는 수업 내용 외에 학생들의 심리․정서적 안정에 특별히 유의해야 한다. 둘째, 사회과의 학습 내용들은 대부분 한국의 지리, 역사, 문화 등에 관한 기초적 사전 지식과 맥락적 이해를 필요로 하므로 이를 지원하는 보조 교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동일한 다문화가정 학생일지라도 사회과의 전문 용어와 개념에 대한 이해도 및 학습 수준은 개인적 특성과 배경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으므로이 점을 교수학습 지원 방안을 강구함에 있어 각별히 고려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zed the actual situation of social studies learning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author tried to propose suggestions for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This study approached to the aims by both qualitative analysis by interviews and classroom observ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by questionnaire survey.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placed a special interest in learning disabilities of relatively high mid-entry students who had been changed in the language communication and hom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ve to especially not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eatures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in considerations of changes in the environment in the course of contents. Secondly,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teaching aids should help the lack of contextual understanding required to learning content related with korean historis, geographies, cultures, and so on. Third,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suitable to student groups who have different multicultural backgrounds is also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